[include(틀:나가이 타츠유키 감독 애니메이션)] [include(틀:초평화 버스터즈)] ||<-2>
'''{{{+1 {{{#000000 하늘의}}} {{{#3859A3 푸르름}}}{{{#000000 을 아는 사람이여}}}}}}''' {{{#000000 (2019)}}}[br]{{{#000000 空の青さを知る人よ。[br]Her Blue Sky}}}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하늘 푸르름 국내.jpg|width=100%]]}}}|| || '''{{{#ffffff 장르}}}''' ||[[청춘]], [[성장물|성장]], [[드라마]] || || '''{{{#ffffff 감독}}}''' ||[[나가이 타츠유키]] || || '''{{{#ffffff 각본}}}''' ||[[오카다 마리]] || || '''{{{#ffffff 원작}}}''' ||초평화 버스터즈(超平和バスターズ) || || '''{{{#ffffff 기획 및 제작}}}''' ||시미즈 히로유키[br][[카와무라 겐키]][br]사이토 슌스케 || || '''{{{#ffffff 캐릭터 디자인}}}''' ||<|2>[[타나카 마사요시]] || || '''{{{#ffffff 총작화감독}}}''' || || '''{{{#ffffff 콘티}}}''' ||[[나가이 타츠유키]] || || '''{{{#ffffff 연출}}}''' ||[[나가이 타츠유키]][br][[쿠로키 미유키]] || || '''{{{#ffffff 작화감독}}}''' ||[[타나카 마사요시]][br]유키무라 아이(雪村 愛)[br][[오오야 코지]][br][[타카하시 사키]][br][[스기야마 카즈타카]] || || '''{{{#ffffff 미술감독}}}''' ||나카무라 타카시(中村 隆) || || '''{{{#ffffff 색채설계}}}''' ||나카시마 카즈코(中島和子) || || '''{{{#ffffff 음악}}}''' ||[[요코야마 마사루]] || || '''{{{#ffffff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카베 나루미(賀部匠美) || || '''{{{#ffffff 주제곡}}}''' ||[[아이묭]] - [[空の青さを知る人よ]] || || '''{{{#ffffff 출연}}}''' ||[[요시자와 료]], [[요시오카 리호]], [br] [[와카야마 시온]], [[마츠다이라 켄]] 외 || || '''{{{#ffffff 제작사}}}'''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CloverWorks]] || || '''{{{#ffffff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미디어캐슬]] || || '''{{{#ffffff 배급사}}}'''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도호]] [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NEW]] || || '''{{{#ffffff 개봉일}}}'''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9년 10월 11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2년 3월 16일 [br][[파일:싱가포르 국기.svg|width=20]] 2019년 12월 12일 || || '''{{{#ffffff 화면비}}}''' ||[[비스타비전|1.85:1]] || || '''{{{#ffffff 상영 시간}}}''' ||107분(1시간 47분)|| || '''{{{#ffffff 제작비}}}''' ||- || || '''{{{#ffffff 월드 박스오피스}}}''' ||$4,736,031(최종)[[https://www.boxofficemojo.com/title/tt10981202/?ref_=bo_se_r_1|#]] || || '''{{{#ffffff 대한민국 총 관객 수}}}''' ||11,407명 ([[2022년]] [[3월 28일]] 기준) ||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ffffff 상영 등급}}}]]''' ||{{{#!wiki style="margin: 0px 10px" '''[[12세 관람가|[[파일:영등위_12세이상_초기.svg|width=40]] {{{#373c3c,#dddddd 12세 이상 관람가}}}]]'''}}} || || '''{{{#ffffff 공식 웹사이트}}}''' ||[[https://soraaoproject.jp/|[[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3]]]]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https://twitter.com/soraaoproject, 크기=23)] [[https://instagram.com/soraaoproject?igshid=1k6hvpi0ijyw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3]]]] || [목차] [clearfix] == 개요 == >'''「우물 안 개구리, 큰 바다는 알지 못하나''' >'''하늘의 푸르름을 안다」''' >'''「井の中の蛙、大海を知らずー''' >'''されど、空の青さを知る」''' >'''과거와 현재를 잇는, 애절하고,''' >'''조금은 신기한 “두 번째 첫사랑” 이야기''' >'''過去と現在をつなぐ、切なくて、''' >'''ちょっと不思議な “二度目の初恋” 物語 ''' [[2019년]] 공개된 [[나가이 타츠유키]]의 [[애니메이션 영화]]. 약칭은 소라아오(空青). 감독 [[나가이 타츠유키]], 각본 [[오카다 마리]], 캐릭터 디자인 및 총작화감독 [[타나카 마사요시]]가 [[토라도라!/애니메이션|토라도라!]], [[그날 본 꽃의 이름을 우리는 아직 모른다]], [[마음이 외치고 싶어해]]에 이어서 합작한 네 번째 프로젝트다. 초평화 버스터즈 최신작으로 내걸고 있다. 다른 초평화 버스터즈 작품과 접점은 크게 없지만, 무대 배경은 전작들과 동일한 [[사이타마현]] [[치치부시]]이다. 기획 및 제작에 [[너의 이름은.]], [[날씨의 아이]] 의 카와무라 겐키가 참여한다. 개봉을 앞두고 2019년 [[시체스 영화제|시체스국제영화제]]의 공식 판타스틱 경쟁 부문 및 애니메이트 부문에 후보로 올랐다. 한국에서는 제24회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에서 처음 소개되었다. 2021년 [[미디어캐슬]]의 '시네마캐슬'에서 상영하다가 2022년 3월 16일 [[CGV]] 단독으로 개봉했다.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g3xlfjxr1WQ)]}}} || || '''{{{#ffffff 티저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J4flcFjC0_o)]}}} || || '''{{{#ffffff 메인 예고편}}}''' || == 시놉시스 == >13년 전, 아이오이 아오이에게는 빛나 보이는 매일이 있었다. >모든 일을 곧잘 해내던 언니인 아카네와 >언니의 연인이자 기타리스트가 꿈인 신노 >드럼을 치던 미칭코와 >보컬담당 반바, 베이스 담당 아보 >매일 같이 사당에 모여 밴드 연습을 하며 >때로는 소규모 극장에서 공연을 하기도 하는 그들에게 >도시락을 갖다주는 언니와 함께 지켜보기도 하고 >베이스를 배우기도 하는 것이 아오이의 빛나는 매일이었다. > >13년이 지난 후 > >부모님은 예고도 없는 교통사고로 돌아갔으며 >언니와 미칭코는 시청의 재미없는 공무원이 됐다. >거물 뮤지션이 되어 꿈을 이루고 돌아오겠다며 도쿄로 떠난 신노는 아직까지도 소식이 없다. > >그렇게 > >[그럼 아오, 나중에 크면 우리네 베이스다.] > >그 말만을 믿고 베이스를 연습해오던 아오이는 >진로희망 조사에 밴드로 천하를 거머쥐겠다고 대답하는 아이가 되었다. > >13년 전의 신노가 눈앞에 나타나는 전까지는. == 등장인물 == * 아이오이 아오이(相生あおい) - [[와카야마 시온]] * 아이오이 아카네(相生あかね)[* 이름이 이름이라서 여동생인 아오이의 어릴 적 호칭은 あか姉(아카 언니)다. 일본어로 언니가 '네'인 걸 이용한 말장난.] - [[요시오카 리호]] * 신노/카나무로 신노스케(しんの/金室慎之介) - [[요시자와 료]] * 니토베 단키치(新渡戸団吉) - [[마츠다이라 켄]] * 나카무라 마사미치(中村正道) - [[오치아이 후쿠시]] * 나카무라 마사히로 - [[타이치 요우]] * 오오타키 치카 - [[타네자키 아츠미]] == 줄거리 == == 사운드트랙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e5pr9vcMh9g)]}}}|| || '''{{{#ffffff 주제가 「[[空の青さを知る人よ|{{{#ffffff 하늘의 푸르름을 아는 사람이여}}}]](空の青さを知る人よ)」 애니메이션 MV ver. - [[아이묭|{{{#ffffff 아이묭}}}]]}}}'''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ztdpBUDf00o)]}}}|| || '''{{{#ffffff 주제가 「[[空の青さを知る人よ|{{{#ffffff 하늘의 푸르름을 아는 사람이여}}}]](空の青さを知る人よ)」 아이묭 MV ver. - [[아이묭|{{{#ffffff 아이묭}}}]]}}}''' || 주제가곡은 제목과 같은 「[[空の青さを知る人よ|하늘의 푸르름을 아는 사람이여]](空の青さを知る人よ)」이며, [[아이묭]](あいみょん)이 담당했다. 극중에서는 신노스케의 발표곡으로 나와서 신노스케가 아카네를 위해 노래부르는 장면과 위기에 빠진 아카네를 신노와 아오이가 구하러 가는 장면에서 흘러나온다.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B6EKkD2QugM)]}}}|| || '''{{{#ffffff 엔딩 「아오이(葵)」- [[아이묭|{{{#ffffff 아이묭}}}]]}}}''' || 극중에서는 뒷이야기를 알려주는 사진과 함께 엔딩 크레딧이 올라올 때 흘러나온다. == 평가 ==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her_blue_sky, tomato=없음, popcorn=없음)] [include(틀:평가/IMDb, code=tt10981202, user=6.7)]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her-blue-sky, user=3.3)] [include(틀:평가/무비파일럿, code=her-blue-sky, user=7.0)] [include(틀:평가/TMDB, code=615165, user=71)]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1249273, user=7.7)]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367707, user=3.9)] [include(틀:평가/Filmarks, code=83593, user=3.7)]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264827, user=없음)]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33218345, user=7.7)] [include(틀:평가/왓챠, code=m5x1J2x, user=3.3)]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74498, light=92.86)]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189559, expert=6.17, audience=7.83, user=8.29)]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135548, expert=없음, user=7.4)] [include(틀:평가/CGV, code=85674, egg=87)] [include(틀:평가/라프텔, code=<영화 코드>, user=없음)] [include(틀:평가/MyAnimeList, code=39569, user=7.50)] > '''<[[스물다섯 스물하나]]>가 더 낫다''' > - [[김성찬]] ([[씨네21]]) (★★★) > '''시공간을 널뛰며 파릇파릇 돋는 감성''' > - [[박평식]] ([[씨네21]]) (★★★) 초평화 버스터즈 시리즈를 봐온 팬들은 호평을 보냈다. [[나가이 타츠유키]] 감독의 전작 [[기동전사 건담 철혈의 오펀스]]가 비판을 받았던지라 우려의 반응도 많았으나, 본작은 나가이 본인의 성향과 맞는 청춘 성장물이라는 장르였다는 점과 본인의 작화에 대한 [[완벽주의]] 성향 및 연출 특징과 장기를 발휘해 준수한 퀄리티의 청춘물을 만들어냈다는 평이다. 이 작품을 기점으로 나가이의 재평가 움직임이 싹트고 있다. 작품의 스토리 자체는 오히려 역대 [[오카다 마리]]와 [[나가이 타츠유키]] 작품 중 가장 규모가 작고, 인간관계도 단순하게 묘사되어 있다. 각본 자체와 심리 묘사도 건조하게 되어있지만 '''나가이 타츠유키 감독이 아예 드라마적 연출에 경지에 올랐다는 평'''을 받았을 정도로 '''극에 달한 감정 표현과 묘사'''가 일품이다. 대사보다는 영상으로 스토리텔링을 했음에도 쉽게 받아들여지도록 연출했다. 각본보다는 연출의 힘으로 성공한 사례. 광각 구도를 좋아하는 나가이 답게 장면의 70%가 광각 구도로 이루어져있다. 그의 역대 작품들 중 가장 광각 구도가 많으며, 그의 영상 연출 특징이 가장 극단적으로 드러난 작품이다. 나가이 타츠유키의 작품세계에 큰 변화가 생긴 작품이다. 기존의 주제와 클라이막스에만 몰빵하는 티징형 스토리텔링과 마지막에 웅축된 감정적 요소를 터트리는 신파적이라 평가받던 기존의 구성을 완전히 뒤집고 러닝타임 내내 캐릭터와 심리를 담담하게 묘사하는 것에 집중하고 있다. 동양과 서양의 평이 매우 크게 갈리는 작품이다. 동양 기준으로 야후 재팬 5점 만점에 4.0, [[빌리빌리]] 10점 만점에 9.6 등 매우 높은 평을 받는 작품인데 서양에서는 이해할 수 없는 작품이라며 낮은 평을 받는다. 아무래도 메인 갈등인 인간관계에서의 문제가 문화권 너머에서는 잘 이해되지 않는 모양이다. 성우진은 호평이다. 본작에서 처음으로 주연을 맡은 [[와카야마 시온]]은 사춘기 소녀의 극단적으로 넘나드는 감정선을 잘 소화하여 실력파 신예 성우로 주목을 받았고 성우 데뷔작인데다 1인 2역을 소화한 [[요시자와 료]]도 준수한 연기력을 보여줬다는 긍정적인 반응이 많다. == 흥행 == === [[대한민국]] === ||<-7>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 || '''주차''' || '''날짜''' || '''일일 관람 인원''' || '''주간 합계 인원''' || '''순위''' || '''일일 매출액''' || '''주간 합계 매출액''' || || 개봉 전 || || 380명 || 380명 || 미집계 || 2,972,580원 || 2,972,580원 || ||<|7> 1주차 ||2022-03-16. 1일차(수) || 2,051명 ||<|7> 8,714명 || 6위 || 15,790,800원 ||<|7> 78,714,400원 || ||2022-03-17. 2일차(목) || 861명 || 10위 || 7,040,400원 || ||2022-03-18. 3일차(금) || 988명 || 8위 || 8,850,500원 || ||2022-03-19. 4일차(토) || 1,905명 || 9위 || 19,497,100원 || ||2022-03-20. 5일차(일) || 1,804명 || 9위 || 17,993,300원 || ||2022-03-21. 6일차(월) || 435명 || 6위 || 4,185,900원 || ||2022-03-22. 7일차(화) || 670명 || 9위 || 5,356,400원 || ||<|7> 2주차 ||2022-03-23. 8일차(수) || 495명 ||<|7> -명 || 9위 || 3,489,900원 ||<|7> -원 || ||2022-03-24. 9일차(목) || 295명 || 24위 || 2,142,100원 || ||2022-03-25. 10일차(금) || 278명 || 14위 || 2,410,500원 || ||2022-03-26. 11일차(토) || 490명 || 15위 || 5,153,300원 || ||2022-03-27. 12일차(일) || 512명 || 16위 || 5,234,900원 || ||2022-03-28. 13일차(월) || 243명 || 17위 || 1,698,000원 || ||2022-03-29. 14일차(화) || -명 || -위 || -원 || ||<|7> 3주차 ||20XX-XX-XX. 15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XX-XX-XX. 16일차(목) || -명 || -위 || -원 || ||20XX-XX-XX. 17일차(금) || -명 || -위 || -원 || ||20XX-XX-XX. 18일차(토) || -명 || -위 || -원 || ||20XX-XX-XX. 19일차(일) || -명 || -위 || -원 || ||20XX-XX-XX. 20일차(월) || -명 || -위 || -원 || ||20XX-XX-XX. 21일차(화) || -명 || -위 || -원 || ||<|7> 4주차 ||20XX-XX-XX. 22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XX-XX-XX. 23일차(목) || -명 || -위 || -원 || ||20XX-XX-XX. 24일차(금) || -명 || -위 || -원 || ||20XX-XX-XX. 25일차(토) || -명 || -위 || -원 || ||20XX-XX-XX. 26일차(일) || -명 || -위 || -원 || ||20XX-XX-XX. 27일차(월) || -명 || -위 || -원 || ||20XX-XX-XX. 28일차(화) || -명 || -위 || -원 || || '''합계''' ||<-6> '''누적 관객수 11,407명, 누적 매출액 101,815,680원'''[* ~ 2022/03/28 기준] || *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 === [[일본]] === ||{{{#!folding[  개봉 1주차 순위  ] [[파일:243twrfegwrgwrgwrg.png]]}}} || 개봉 첫 주차에 [[조커(2019)|조커]], [[최고의 인생을 찾는 법]], [[기억에 없습니다!]]에 밀려 4위에 그쳤다. ||{{{#!folding[  개봉 2주차 순위  ] [[파일:efe3r23rewqfwefwef.png]]}}} || 개봉 2주차에 조커, [[말레피센트 2]], [[극장판 스타☆트윙클 프리큐어 별의 노래에 마음을 담아서]], [[세상에서 희망이 사라졌다면]], 최고의 인생을 찾는 법, 기억에 없습니다!에 밀려 7위로 내려 앉았다. ||{{{#!folding[  개봉 3주차 순위  ] [[파일:fe24tr3tg34grsgf.png]]}}} || 개봉 3주차에 조커, 말레피센트 2, 세상에서 희망이 사라졌다면, [[제미니 맨]], [[시원찮은 그녀를 위한 육성방법 Fine]], 극장판 스타☆ 트윙클 프리큐어 별의 노래에 마음을 담아서, 최고의 인생을 찾는 법, [[예스터데이(영국 영화)|예스터데이]], 기억에 없습니다!에 밀려 10위로 내려앉았다. === [[싱가포르]] === [[2019년]] [[12월 12일]]에 개봉했다. [[파일:Her_blue_sky_poster_SG.jpg|width=500]] == 미디어 믹스 == === 소설 === 개봉을 앞두고 카도카와 문고에서 소설판이 8월 23일 발매할 예정이다. 저자는 2015년 "옥상의 윈드노츠(屋上のウインドノーツ)"로 제22회 마쓰모토 세이초 상, "외톨이들(ヒトリコ)"로 제16회 쇼가쿠칸 문고 소설상을 수상한 작가 누카가 미오(額賀澪). 한국에도 [[영상출판미디어]]의 레이블인 [[노블엔진 팝]]을 동해 2022년 4월 29일 쯤에 정발한다. 스핀오프 소설도 발매된다. 제목은 "하늘의 푸르름을 아는 사람이여 Alternative Melodies". 작가는 미사키 사기노미야(岬鷺宮). 다른 사람의 시점으로 보는 이야기라고. == 무대탐방 == [include(틀:무대탐방/일본 애니메이션)] ||
<#FFFFFF><:>{{{#!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iframe, src= https://www.google.com/maps/d/embed?mid=1oBSMmdx5VC_J0UHetaPUlf-p6WxPok2Q&ehbc=2E312F, width=640, height=480)]}}} || 주무대는 [[사이타마현]] [[치치부시]]이다. 아래 이외의 더 자세한 무대탐방지에 대한 정보는 [[https://habusan.hatenablog.jp/entry/soraao1|이 링크]] 참조. ||<-4>
'''[[세이부치치부역|{{{#ffffff 세이부 치치부역}}}]]''' 니토베 단키치와 신노스케의 밴드가 도착해서 깜짝 공연을 하는 역.[* 실제 [[치치부시]]에서 이 작품에 대한 무대탐방을 적극적으로 유치하고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 이 작품과 관련된 현수막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 ||<-4>{{{#!wiki style="margin: -6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세이부 지치부역, 너비=100%, 높이=225px)]}}}|| || '''장소''' || [[사이타마현]] [[치치부시]] 노사카마치 1 || ||<-4>
'''{{{#ffffff 치치부 시청(秩父市役所), 치치부시 역사문화계승관(歴史文化継承館)}}}''' 극중 아카네가 일하는 직장이자, 콘서트 준비를 하는 장소이다. 작품의 주무대라 많은 장면이 나온다. 역사문화계승관은 시청에 바로 옆에 붙어있다. || ||<-4>{{{#!wiki style="margin: -6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秩父市役所, 너비=100%, 높이=225px)]}}}|| || '''장소''' || [[사이타마현]] [[치치부시]] 쿠마기마치 8-15 || ||<-4>
'''{{{#ffffff 야오백화점(矢尾百貨店) 앞 교차로}}}''' 아오이가 아카네를 기다렸다가 차에 탑승하여 지나가는 교차로. || ||<-4>{{{#!wiki style="margin: -6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矢尾百貨店, 너비=100%, 높이=225px)]}}}|| || '''장소''' || [[사이타마현]] [[치치부시]] 카미마치 || || '''거리뷰''' || [[https://www.google.com/maps/@35.9932615,139.0795726,3a,75y,123.08h,77.88t/data=!3m6!1e1!3m4!1sD9lWGvofXzSrdVcWWHptJQ!2e0!7i16384!8i8192|거리뷰]] || ||<-4>
'''{{{#ffffff 타카사고 호르몬(高砂ホルモン)}}}''' 니토베 단키치와 밴드를 맞이하여 시청 직원들이 준비한 회식자리를 가진 곳. || ||<-4>{{{#!wiki style="margin: -6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高砂ホルモン, 너비=100%, 높이=225px)]}}}|| || '''장소''' || [[사이타마현]] [[치치부시]] 히카시마치 || ||<-4>
'''{{{#ffffff 치치부 제1호텔(第1ホテル秩父)}}}''' 아카네가 만취한 신노스케를 데려다가 재운 호텔. [[치치부역|{{{#ffffff 치치부역}}}]] 바로 앞에 있다. || ||<-4>{{{#!wiki style="margin: -6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第1ホテル秩父, 너비=100%, 높이=225px)]}}}|| || '''장소''' || [[사이타마현]] [[치치부시]] 미야카와초 || ||<-4>
'''{{{#ffffff 세븐일레븐 치치부미야카와초점(セブン-イレブン 秩父宮側町店) 뒷 돌담길[* 정확히 이 돌담길은 치치부 신사의 일부이다.]}}}''' 고등학생 시절의 아카네와 신노가 악기를 들고 걸어가던 길. || ||<-4>{{{#!wiki style="margin: -6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7-Eleven Chichibu Miyakawacho, 너비=100%, 높이=225px)]}}}|| || '''장소''' || [[사이타마현]] [[치치부시]] 미야카와초 || || '''거리뷰''' || [[https://www.google.com/maps/@35.9984724,139.0836948,3a,75y,104.93h,80.61t/data=!3m6!1e1!3m4!1shC8jqDvl0IKIRxi0N6Vg2Q!2e0!7i16384!8i8192|거리뷰]] || ||<-4>
'''{{{#ffffff 치치부 제1병원(秩父第一病院)}}}''' 니토베 단키치의 백밴드 중, 드럼과 베이스 멤버가 과식으로 입원하는 병원이다. || ||<-4>{{{#!wiki style="margin: -6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秩父第一病院, 너비=100%, 높이=225px)]}}}|| || '''장소''' || [[사이타마현]] [[치치부시]] 나카무라마치 || ||<-4>
'''{{{#ffffff 구치치부교(旧秩父橋)}}}''' 시작할 때, 아오이가 베이스로 버스킹하는 장소. [[아노하나|{{{#ffffff 아노하나}}}]]의 그 다리 맞다. [[나가이 타츠유키|{{{#ffffff 나가이 타츠유키}}}]]가 감독을 맡았기 때문에 아노하나에 대한 오마쥬로 이곳을 무대로 설정한 것으로 보인다. || ||<-4>{{{#!wiki style="margin: -6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旧秩父橋, 너비=100%, 높이=225px)]}}}|| || '''장소''' || [[사이타마현]] [[치치부시]] 아보마치 || ||<-4>
'''{{{#ffffff 토마에가가와교(巴川橋)}}}''' 아오이와 신노가 하늘을 나는 장면의 배경인 다리. || ||<-4>{{{#!wiki style="margin: -6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巴川橋, 너비=100%, 높이=225px)]}}}|| || '''장소''' || [[사이타마현]] [[치치부시]] 아보마치 || || '''거리뷰''' || [[https://www.google.com/maps/@35.9823775,139.0595719,3a,75y,87.18h,131.75t/data=!3m7!1e1!3m5!1svh80n-pCbuAjKBo5NTRZPw!2e0!6shttps:%2F%2Fstreetviewpixels-pa.googleapis.com%2Fv1%2Fthumbnail%3Fpanoid%3Dvh80n-pCbuAjKBo5NTRZPw%26cb_client%3Dsearch.revgeo_and_fetch.gps%26w%3D96%26h%3D64%26yaw%3D130.02133%26pitch%3D0%26thumbfov%3D100!7i16384!8i8192|거리뷰]] || ||<-4>
'''{{{#ffffff 뮤즈파크음악당(ミューズパーク音楽堂)}}}''' 니토베 단키치가 콘서트를 하게 될 장소. 극중에서는 콘서트를 준비하는 장면과 신노스케가 아카네를 위해 '하늘의 푸르름을 아는 사람이여' 노래를 들려주는 장면이 나온다. || ||<-4>{{{#!wiki style="margin: -6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ミューズパーク音楽堂, 너비=100%, 높이=225px)]}}}|| || '''장소''' || [[사이타마현]] [[치치부시]] 타무라 || || '''거리뷰''' || [[https://www.google.com/maps/place/%E9%9F%B3%E6%A5%BD%E5%A0%82/@35.9971699,139.0546213,3a,55.5y,174.91h,99.01t/data=!3m8!1e1!3m6!1sAF1QipO0BBwZjlwEyS1qF7mQUnQpTxDI70SNn26qjbTn!2e10!3e11!6shttps:%2F%2Flh5.googleusercontent.com%2Fp%2FAF1QipO0BBwZjlwEyS1qF7mQUnQpTxDI70SNn26qjbTn%3Dw203-h100-k-no-pi-20-ya180-ro0-fo100!7i5760!8i2880!4m11!1m2!2m1!1z44Of44Ol44O844K644OR44O844Kv6Z-z5qW95aCC!3m7!1s0x601ec9e8e929e917:0x1f3cc6bfe33be008!8m2!3d35.9970972!4d139.0549326!14m1!1BCgIgARICCAI!15sCh7jg5_jg6Xjg7zjgrrjg5Hjg7zjgq_pn7Pmpb3loIKSAQRoYWxs|신노스케가 아카네에게 노래를 들려주는 장소의 거리뷰]] || == 기타 == * 영화 개봉을 앞두고 극장판 [[아노하나]]와 [[코코사케]]의 Blu-ray와 DVD를 스페셜 프라이스로 판매한다. 이미지로 보기엔 띠지 같은 게 붙는듯. * 또한 기념으로 아노하나와 코코사케의 주제가와 극중극의 음악을 모은 컴필레이션 CD도 발매 예정. CD는 당시에 수록되지 않고 이 음반에서 첫 CD화 되는 곡이 있다. New Flower와 HANABI가 이번에 첫 CD화하는 곡. New Flower는 아티스트가 [[Galileo Galilei]]로 되어있었으나 [[오자키 유키]](尾崎雄貴)로 바뀌었다. 아무래도 밴드가 해산했다 재결성하면서 밴드명을 BBHF로 바꾸었기 때문인듯. * 2019년 제43회 일본 아카데미상 애니메이션부분 우수작품상을 수상했다. * 2020년 6월 10일 Blu-ray와 DVD 발매. * 엔딩 크레딧 중간중간 나오는 사진들이 쿠키 영상을 대체하고, 사실상 뒷이야기를 담고 있으므로 끝까지 보는 편이 좋다. * 아오이의 [[베이스 기타|베이스]]는 [[에피폰]] [[Thunderbird(Gibson)|썬더버드]], 신노의 [[일렉트릭 기타]]는 [[깁슨]] [[Firebird|파이어버드]]이다. [[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19년 애니메이션 영화]][[분류:2019년 4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일본의 애니메이션 영화]][[분류:CloverWorks]][[분류:도호]][[분류:일본의 드라마 영화]][[분류:성장 영화]][[분류:12세이상관람가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