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 문서는 2022년 벌어진 하르키우 전투를 다룹니다. 문서가 존재하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하르키우의 전투들 중 1942년의 전투, rd1=제2차 하르코프 공방전, other2=1943년의 전투, rd2=제3차 하르코프 공방전)] [include(틀: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2> {{{#fff {{{+1 '''하르키우 전투'''}}}[br]'''Бої за Харків[* 우크라이나어]'''[br]'''Бои за Харьков[* 러시아어]'''[br]'''Battle of Kharkiv[* 영어]'''}}} || ||<-2> {{{#fff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fff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의 일부}}} || ||<-2> 1차 전투 [br] [[2022년]] [[2월 24일]] ~ [[2022년]] [[5월 14일]] [br] 2차 전투 [br] [[2022년]] [[8월]] ~ [[9월 12일]] || ||<-2> '''{{{#fff 장소}}}'''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0px" [include(틀:지도, 장소=우크라이나 하르키우, 높이=200, 너비=100%)]}}} [[우크라이나]] [[하르키우]] 일대 및 도심부 || ||<-2> '''{{{#fff 교전국}}}''' || || [include(틀:국기, 국명=우크라이나, 크기=23)] ||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크기=23)] || ||<-2> '''{{{#fff 지휘관}}}''' ||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3]] 올레흐 시녜후보우[* 하르키우 주지사][br][[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3]] 이호르 테레호우[* 하르키우 시장.] ||<^|1>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3]] [[비탈리 게라시모프]] [[https://news.sky.com/story/russians-reportedly-take-out-own-secure-communications-system-during-kharkiv-assault-12560577|#]] [br]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3]] [[안드레이 콜레스니코프]] || ||<-2> '''{{{#fff 전력}}}''' || || [[제17전차여단]][br][[제92기계화여단]][br] [[제93기계화여단]][br]제81공중기동여단[br]제113영토방위여단[br]제127영토방위여단[br][[우크라이나 국가근위대]][br][[크라켄 연대]][br][[우크라이나 국제군단]] [br]우크라이나 경찰[br][[우크라이나 보안국]] || 제1근위전차군[br]제20근위제병협동군[br]제6근위제병협동군[br]제200독립차량화소총여단[br][[러시아 공수군]][br][[러시아 국가근위대]] || ||<-2> '''{{{#fff 피해규모}}}''' ||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3]] 전사 4명 이상[br][[우크라이나군]] 포로 471명[* 러시아 측의 발표로, 우크라이나는 거짓 정보라고 부인 중이다.][br]민간인 사망 133명 이상[* 어린이 8명 포함][br]민간인 부상 319명 이상 [br]민간인 60만명 이상 대피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3]] 전사 2명 이상[br]전차 6대 격파[br]수송기 1기 격추 || ||<-2> '''{{{#fff 결과}}}''' || ||<-2> '''우크라이나군의 승리''' || ||<-2> '''{{{#fff 영향}}}''' || ||<-2> '''우크라이나군의 하르키우 사수 성공''' || [목차] [clearfix] == 개요 == [[2022년]] [[2월 24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개전 첫날부터 벌어진 전투다. [[하르키우]]는 우크라이나에서 2번째이자 러시아와 접한 동부지방 최대 도시이므로 수도 [[키이우|키이우]]를 두고 벌어지는 [[키이우 전투]] 다음으로 이 전쟁에서 가장 중요한 전투라고 볼 수 있다. 5월 우크라이나군의 동부 전선 공세를 통해 러시아군을 국경 밖으로 밀어내는 데 성공하여 사실상 우크라이나가 방어에 성공하며 승리했다. == 배경 == [[하르키우]]는 옛 [[우크라이나 SSR]]의 [[수도(행정구역)|수도]]였던 우크라이나 [[제2의 도시]]로, [[키이우]] 다음으로 [[인구]]가 많은 [[우크라이나]] 동부 [[최대도시]]이다. 또한 기갑차량 및 특수장비를 생산하는 공단과 유즈노예 설계국[* 유즈노예 설계국의 전신인 소련의 OKB-586 연구소에서 [[제니트 로켓]]이 개발되었다.]이 위치한, 우크라이나 군수산업의 핵심지 중 하나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곳을 두고 치열한 전투가 벌어지고 있다. 하르키우는 러시아와 매우 가까운 거리에 위치해 있다. 러시아군은 하르키우에 키이우보다 매서운 폭격을 가하고 있으며 실제로 러시아군이 아직 본격적으로 진입하지 못한 키이우에 비해 하르키우에서는 양쪽이 더욱 치열한 공방전이 벌어지고 있다. 하르키우 전투가 러시아군의 승리로 끝나면, [[동부 우크라이나 공세]] 역시 러시아군의 승리로 끝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 동부의 다른 지역에 전력을 집중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반대로 말하면, 하르키우를 계속 우크라이나군이 사수할 경우 러시아군의 공세를 분산시켜 동부 방어 및 반격의 가능성이 더욱 높아진다. === 향후 전망 === 전반적으로 볼 때 하르키우가 키이우에 비해 러시아와의 거리가 더 가깝고, 공격의 정도도 더욱 맹렬하므로 하르키우 전투가 러시아군의 승리로 끝나게 될 가능성이 키이우 전투에 비해 더 높다고 볼 수 있었다. 물론 러시아군은 수도 [[키이우]]를 72시간 내로 점령할 가능성이 높다는 전쟁 초의 예상에도 불구하고 키이우에 진입조차 못했으며 하르키우도 완전히 손에 넣고 있지 못하므로, 우크라이나군이 끝내 하르키우를 사수해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현재 가장 큰 변수는 러시아군의 남부 전선에서의 선전인데, 러시아군은 끝내 [[헤르손 전투]]에서 승리를 거두고 공세를 이어가고 있다. 남부 전선의 러시아군이 계속 북진하여 키이우와 하르키우까지 당도한다면 결국 이 전투는 우크라이나군의 패배로 끝나게 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었다. 하지만 마리우폴이 3월 17일 기준 보름이 넘는 장기간의 포위에도 함락되지 않고 있는데다, 3월 중순이 되어 본격적으로 [[라스푸티차]]가 시작되는 동시에 러시아군의 보급 문제까지 겹처서 사실상 진격이 돈좌된 상태다. 마리우폴이 단기간에 함락되지 않아 남부 전선의 러시아군이 계속 묶여있어서 중부, 동부에서 우크라이나군이 재정비가 되어감에 따라 하르키우 또한 함락될 가능성이 적어진 상태다. 물론 포격은 지속되고 있기에 피해는 계속 발생하고 있다. 결정적으로 우크라이나 예비군이 본격적으로 동원되어 반격을 시작한 상태라 상황이 바뀔 가능성이 매우 높아졌다. 현재 우크라이나군이 헤르손 지역으로 반격을 시작하고 있는 모습이고 러시아군은 지속적으로 진격은 커녕 발이 묶이고 있어서 쉽게 공격하긴 힘들어 보인다. 키이우만 해도 러시아군이 무려 방어벽을 세울 정도로 불리하다는 모습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이후 키이우 전투의 승리로 수미까지 우크라이나가 수복함에 따라 러시아의 하르키우 포위는 완전히 좌절되었으며, 하르키우 북부의 러시아군은 오히려 서부와 남부에서 협공당하는 판국이 되었다. 그리고 9월이 되어 우크라이나군이 하르키우 주를 완전 수복하면서 하르키우가 러시아의 포격 사정권에서 벗어나게 되었고, 역으로 러시아의 벨고로드를 포격으로 위협할 수 있게 되었다. 현재 우크라이나군은 하르키우 주 국경의 방비를 강화하면서 이지움 축선을 공략하고 있으며, 슬로뱐스크의 방어군과 협공해 이지움-쿠퍈스크 측선으로 반격할 것으로 보인다. == 전개 == === 2022년 2월 24일 === 러시아군이 하르키우 인근 및 도심부 곳곳을 포격하여 민간인 사망자가 발생했고, 이 중에는 어린 소년도 포함되어 있었다. 하르키우를 포함하여 드니프로, 자포리자의 공항이 현지 시간 기준으로 1월 24일 오전부터 오전 6시 35분까지 일시적으로 폐쇄되었다.[[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20224000356|#]] === 2022년 2월 27일 === 이날 새벽 러시아군의 공격으로 천연가스 송유관이 폭파됐다.[[https://www.donga.com/news/Inter/article/all/20220227/112063059/1|#]] 우크라이나군은 하르키우에 보관되어있던 [[BMP 케블라-E|Kevlar-E]]의 시제품을 전투에 투입시켰다.[* 해당 시제품은 이후 북부 전선으로 재배치되어 [[키이우 전투]]에도 동원되었다.] 러시아군의 미사일이 공군 기지 활주로 남서쪽에 있는 유류 저장고를 타격했다. 나탈리야 발라시노비치 바실키우 시장은 이 사실을 온라인을 통해 밝혔으며, 우크라이나 국영 통신사도 이후 해당 사실을 확인했다.[[https://newsis.com/view/?id=NISX20220227_0001774625|#]] 전투 4일차에 [[러시아군]]이 하르키우 시내로 진입했으며 현재 시내에서 교전이 벌어지고 있는 중이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003&aid=0011030003|#]] 이후 우크라이나군이 하르키우를 탈환했다는 보도가 나오고 있다. 우크라이나 검찰이 하르키우주 [[쿠퍈스크]] 시장 헨나디 마체호라를 러시아에 협력했다는 반역 혐의로 기소했다. 2022년 2월 27일,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중 [[러시아군]]이 시장 헨나디 마체호라와의 협상을 통해 마체호라의 시장 직이 유지되는 조건으로 전쟁이 발발한지 3일만에 전투나 폭격 한 번 없이 러시아로 귀속되었다. 마체호라 시장은 [[친러]] 정당 [[지역당]] 소속으로 정계에 입문해 [[인생을 위한 야권연단]] 소속으로 시장에 당선된 전형적인 우크라이나 내 친러 인사이다. === 2022년 2월 28일 === 하르키우 남서쪽에서 전투가 벌어졌다고 한다.[[https://m.dcinside.com/board/war/2307439?headid=&recommend=&s_type=subject_m&serval=%ED%95%98%EB%A5%B4%ED%82%A4%EC%9A%B0|#]] === 2022년 3월 1일 === [[하르키우]] 주 시청 건물이 러시아군의 미사일 폭격에 의해 큰 타격을 입었다. 폭발로 인해 화재가 일어났고, 차량 여러 대가 휩싸였다.[[https://www.news1.kr/articles/?4601094|#]] 이 폭격으로 민간인 9명이 숨지고 37명이 부상을 입었다. 러시아군이 정부청사에 대규모 폭발을 일으키는 등 이호르 테레호우(Ігор Терехов) 하르키우 시장을 노린 암살을 시도했지만 실패했다.[[https://newsis.com/view/?id=NISX20220301_0001777108&cID=10101&pID=10100|#]] === 2022년 3월 2일 === 영국 국방부에 따르면, 아직까지는 우크라이나군이 수비중이긴 하지만 러시아군에 의해 포위당했다고 한다. [[파일:하르키우 대학교 3월 2일.jpg]] 200년 역사의 [[하르키우 대학교]] 등 민간 지역에 무차별적인 폭격이 이어지고 있으며 러시아 공수부대가 군병원 장악을 시도 중이다. [[https://www.google.com/amp/s/amp.dw.com/en/ukraine-russian-paratroopers-land-in-kharkiv-live-updates/a-60977270|폭격당한 하르키우 시청사]] 동남쪽 방향에서 러시아군이 시내에 진입하고 있다. === 2022년 3월 7일 === 러시아군이 하르키우 원자력 발전소를 공격한 뒤 실패한 것을 우크라이나에 덮어씌운 것이 발각됐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5&aid=0001510313|#]] === 2022년 3월 18일 === 이후 교착상태에 돌입하며 포격만 하고 있고 별다른 진전없이 시간만 흐르면서 우크라이나가 포위를 어느정도 밀어내는데 성공했다. 현재 상태로는 뚫기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우크라이나의 우체국이 해당 지역에서 모든 업무를 다시 시작했다. === 2022년 3월 19일 === 러시아의 공세 속에서 버텨오던 마리우폴이 사실상 함락되면서,[* 아직까지 일부 우크라이나 병력과 아조프 대대원들이 잔존해 러시아군과 맞서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나, 러시아군이 마리우폴 시가에 진입하고 우크라이나군 수뇌부가 마리우폴을 포기하면서 마리우폴이 러시아의 손에 떨어졌다고 봐도 무방하다. 그러나 23일 다시 아조프 연대의 활약상이 들려오며 아직도 함락이 되지 않았다는 것이 드러났다.] 하르키우의 운명에 빨간불이 켜졌다. 물론 해당 지역이 무려 23일 동안 버틴 덕분에 헤르손쪽으로 우크라이나군이 반격을 시작하고 있으므로 추후 상황은 미지수다. === 2022년 3월 23일 === [[러시아군]]이 현재 [[키이우 전투|키이우]]에서 [[공세종말점|동쪽으로 후퇴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우크라이나군이 하르키우까지 도와줄 수 있는 가능성은 열려있다. 이는 처음부터 주요전력이 키이우에 배치되었던 것을 생각해보면 놀라운 소식이다.[[https://twitter.com/War_Mapper/status/1506783511201693699|#]][[https://n.news.naver.com/article/081/0003260515?cds=news_my|#]] 북서부쪽에 있는 러시아군은 역으로 포위된 상태고 북동부쪽 러시아군은 후퇴하고 있는 상황이다. 외신들은 러시아군의 보급품이 사흘밖에 남지 않은 상황에서 장기전으로 갈수록 러시아군에 불리하다고 보고 있다.[[https://www.bbc.com/korean/international-60837635?xtor=AL-73-%5Bpartner%5D-%5Bnaver%5D-%5Bheadline%5D-%5Bkorean%5D-%5Bbizdev%5D-%5Bisapi%5D|#]] 만약 우크라이나군이 반격을 하여 키이우를 완전히 장악한다면 동부까지도 진격할 수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현재 [[러시아군]]은 [[보급]]문제로 인하여 [[후퇴]] 중이고 [[우크라이나군]]은 [[반격]] 및 [[진격]]중인 상태이다. === 2022년 3월 24일 === 24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하르키우]]에서 구호품을 받기 위해 대기하던 [[민간인]]들이 [[러시아군]]의 [[포격]]으로 숨졌다고 현지 당국이 밝혔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3/0011082503|#]] 올레흐 시네후보우 하르키우 주지사는 "러시아 미사일이 하르키우 쇼핑몰 주차장을 강타해 6명이 숨지고 15명이 부상했다"고 전했고 사상자들은 인도적 지원을 받기 위해 쇼핑몰 우체국 밖에서 기다리고 있던 시민들이라고 설명했다.[[https://youtu.be/Cot1Lawss54|#]] === 2022년 3월 25일 === 하르키우에 있는 의료시설을 러시아군이 [[공습]]해 최소 4명의 [[민간인]]이 [[사망]]했다고 우크라이나 경찰이 25일(현지시간) 밝혔다. 이호르 테레호우 하르키우 시장은 "러시아군이 하르키우에 무차별 [[포격]]을 가했다"고 비난했고 "150만명 [[주민]] 중 거의 3분의 1이 러시아의 [[침공]]에 [[피난]]을 가야만 했다"면서 "러시아의 폭탄테러는 [[주택]]가와 [[민간인]], [[학교]] 같은 사회기반시설을 [[목표]]로 하고있다"고 말했다.[[https://n.news.naver.com/article/421/0005990868|#]] 러시아는 민간 지역을 목표로 공격한 바는 없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미국]] VICE News 영상[[https://youtu.be/VAsf6dsq3rQ|#]]을 보면 명백한 러시아의 허위주장임을 알 수 있다. === 2022년 3월 26일 ===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 제2의 도시 [[하르키우]]에 있는 병원을 폭격한데 이어 [[핵]]연구시설에도 [[포격]]을 가했다고 로이터통신이 26일(현지시간) 보도했다.[[https://n.news.naver.com/article/421/0005991533|#]] 우크라이나 의회는 이날 트위터에 “러시아군이 하르키우의 핵연구시설에 포격을 가하고 있다”고 밝혔고, 국가원자력원은 “원전 부지 내에서 멈추지 않는 적대행위로 인한 피해 규모를 추정하는 것은 현재로서는 불가능하다”고 말했다.[[https://youtu.be/cWsUzsysuLM|#]] === 2022년 3월 28일 === 이호르 테레호우 시장은 하르키우가 러시아 침공 이후 1,410동의 건물이 파괴됐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3&aid=0011088667|#]] === 2022년 3월 30일 === 휴먼라이츠워치는 러시아군이 하르키우 전투에서 대인지뢰를 사용했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3&aid=0011093887|#]] === 2022년 4월 3일 === 하르키우에서 러시아군의 미사일 공격이 계속되고 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3&aid=0011100615|#]] === 2022년 4월 8일 === 러시아군이 하르키우 인근 베즈루키에서 살포식 지뢰를 사용한 것이 보도됐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hm&sid1=104&oid=003&aid=0011112378|#]] === 2022년 4월 9일 === 러시아군이 하르키우에 대한 공격을 계속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3&aid=0011112715|#]] === 2022년 4월 10일 === 러시아군 호송대가 하르키우 동쪽에서 진격하고 있는 모습이 포착됐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hm&sid1=104&oid=003&aid=0011113530|#]] === 2022년 5월 10일 === 우크라이나군이 러시아군을 국경 밖으로 몰아내기 시작하면서 사실상 우크라이나의 승리가 임박한 상태다. === 2022년 5월 14일 === 러시아군이 하르키우 외곽으로 퇴각했다. 테르노바가 해방되면서 하르키우 주의 러시아군은 양분되었고 하르키우 동북부의 러시아군은 국경지대로 밀려났다. === 2022년 5월 16일 === 자잘한 전투가 계속되고 있지만 사실상 우크라이나가 러시아군 잔당을 정리하는 형태이며 우크라이나군 일부는 러시아 국경까지 도달해 말뚝을 세우고 기념촬영까지 했다. 남아있는 러시아군은 참호 속에서 버티고 있다. === 2022년 9월 11일 === [[우크라이나의 가을 공세]]의 성공으로 하르키우 주가 거의 완전히 우크라이나에게 넘어갔다. 러시아군은 병참선을 절단당해 급히 철수하는 바람에 기갑차량을 포함한 각종 장비와 탄약 등을 모두 내버리고 패주했다. 러시아군은 3달 동안 수많은 사상자를 내며 이지움과 세베로도네츠크를 함락시켰지만 단 6일 만에 우크라이나의 대대적인 반격에 밀리며 동부 전선에서 공세가 멈추게 되었다. === 2023년 1월 9일 === 러시아가 하르키우 시를 공습하면서 2명이 사망하고 4명이 부상당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634193?sid=104|#]] [[분류: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전투]][[분류:2022년 전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