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3> '''{{{#fff {{{+1 하리코프 인민공화국}}}[br]Харьковкая народная республика[br]Kharkov People's Republic}}}''' || ||<-2> [[파일:하리코프 인민공화국 국기.svg|width=100%]] || [[파일:하리코프 인민공화국 국장.svg|width=65%]] || ||<-2> {{{#fff '''국기'''}}} || {{{#fff '''국장'''}}}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Kharkov Oblast, 너비=100%, 높이=100%)]}}} || ||<-3> {{{#ffffff '''역사'''}}} || ||<-3> '''건국 선언''' [[2014년]] [[4월 7일]][br]'''해산''' [[2014년]] [[4월 8일]] || ||<-3> {{{#ffffff '''지리'''}}} || ||<-3><^|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 {{{#fff '''수도[br]최대도시'''}}} ||<-4>[[하르키우|하리코프]] || ||<-2> {{{#fff '''면적'''}}} ||<-4>31,415km² ,,(명목상),,[* [[하르키우주]] 전체] ||}}}}}}}}} || ||<-3> {{{#ffffff '''인문 환경'''}}} || ||<-3><^|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 {{{#fff '''공용어'''}}} ||<-4>[[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 || ||<-2> {{{#fff '''공용 문자'''}}} ||<-4>[[키릴 문자]] || ||<-2> {{{#fff '''군대'''}}} ||<-4>비정규 민병대[* 대부분이 [[도네츠크 인민 민병대]]와 [[루간스크 인민 민병대]]로 흡수되었다.] ||}}}}}}}}} || ||<-3> {{{#ffffff '''정치'''}}} || ||<-3><^|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 '''정치 체제''' ||<-4>[[과도 정부]] || ||<-2> '''지도자''' ||<-4>유리 아푸트힌 || ||<-2> '''인민대표회의 의장''' ||<-4>안톤 구리야노프 ||}}}}}}}}} || ||<-3> {{{#ffffff '''경제'''}}} || ||<-3><^|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 {{{#fff '''화폐'''}}} ||<-4>[[러시아 루블]][br][[우크라이나 흐리우냐]] ||}}}}}}}}} || ||<-3> {{{#ffffff '''단위'''}}} || ||<-3><^|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 {{{#fff '''법정연호'''}}} ||<-4>[[서력기원]] || ||<-2> {{{#fff '''시간대'''}}} ||<-4>UTC+2 || ||<-2> {{{#fff '''도량형'''}}} ||<-4>[[국제단위계|SI 단위]] ||}}}}}}}}} || ||<-3> {{{#ffffff '''외교'''}}} || ||<-3><^|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 {{{#fff '''대한수교현황'''}}} ||<-4>미수교 || ||<-2> {{{#fff '''국제연합 가입'''}}} ||<-4>미가입 ||}}}}}}}}} || [목차] [clearfix] == 개요 == '''하리코프 인민공화국'''은 2014년 4월 7일 [[유로마이단 혁명]]에 반발한 일부 [[친러]] 성향 시위대가 하르키우 주정부 청사를 점령한 이후 건국하였던 [[미승인국]]이다. == 건국과 멸망 == 2013년 말부터 [[유로마이단 혁명]]과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2014년 크림 위기]]가 겹쳐 친러와 반러 성향 국민들의 갈등이 극에 달했다. [[오데사]], [[도네츠크]], [[루한스크]], [[하르키우]], [[미콜라이우]] 등에서는 [[2014년 우크라이나 친러 반란|유로마이단 혁명에 반대하는 시위]]가 격화되었다. 2014년 3월 2일 [[모스크바]]에서 온 '''러시아인 관광객'''이 하르키우 주정부 청사 건물에서 [[우크라이나]] 국기를 [[러시아]] 국기로 교체하는 소동이 있었다.[[https://www.nytimes.com/2014/03/04/world/europe/russias-hand-can-be-seen-in-the-protests.html|#]] 그로부터 얼마 지나지 않은 4월 6일, 친러시아 시위대가 해당 건물을 점령하고 "하리코프 인민공화국"으로 우크라이나로부터의 독립을 선언하였다.[* 이때 시위대가 초기에 '''오페라와 발레 극장'''을 시청으로 오인하고 습격한 이후 주민들로 하여금 시위대의 현지 기원에 대한 의문을 품게 하였다.] 이후 하리코프 영토 공동체 회의에서 150명의 하리코프 인민대표회의 의원들을 선출했다. 당초 이들은 [[베르쿠트]]와 안티마이단 성향을 보이던 하리코프 정치계의 지지를 기대했으나, 베르쿠트는 소극적인 지지 의사만 내비쳤고 한 의원[* 곧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을 제외한 기성 정치권이 우크라이나 정부에 붙는 것을 선택하면서 시위대는 수세에 몰렸다. 결국 [[우크라이나군]]이 특수부대를 파견하여 별다른 무장을 하지 못한 시위대를 해산시키고 청사를 탈환, 하루만에 진압하였다. 주 청사 점거를 주도한 2인은 체포되었다. [[https://amp.tsargrad.tv/articles/hnr-respublika-ostavshajasja-nezamechennoj_57612|#]] 4월 13일, 일부 친러 시위대가 하르키우 시청 건물 진입을 시도했다.[[https://www.kyivpost.com/article/content/war-against-ukraine/pro-russian-militants-attack-pro-ukrainian-demonstrators-in-kharkiv-including-at-least-three-severely-343292.html|#]] 이 과정에서 친서방 시위대와 친러 시위대 간에 폭력사태가 벌어져 약 50명이 부상을 입었다.[[https://www.unian.net/politics/907771-posle-napadeniya-antimaydanovtsev-na-miting-evromaydana-v-harkove-postradalo-50-chelovek.html|#]] 하리코프 시청 내부를 점거하는 데에는 성공했으나, 겐나디 케르네스 하리코프 시장이 하리코프 인민공화국 인민대표회의 개최를 반대하면서 경찰 병력으로 시청을 포위했고, 안톤 구리야노프 의장 등을 비롯한 일부 세력은 [[도네츠크]]로 도피했다. [[https://amp.tsargrad.tv/articles/hnr-respublika-ostavshajasja-nezamechennoj_57612|#]] 2014년 4월 21일, 블로거인 블라디미르 바르샵스키(Владимир Варшавский)가 시위대에 의해 하리코프 인민의 주지사로 임명되었다.[* 같은 날 [[루간스크 인민공화국]] 인민의 주지사로 [[발레리 볼로토프]]가 선출되었다.] 그러나 현장에 있던 시위대는 100여명 가량이었고, 이 때문에 시위대 내에서 내분이 발생했다. [[https://www.pravda.com.ua/rus/news/2014/04/21/7023174/|#]]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하리코프시 상징 조형물.jpg|width=100%]][br][[파일:하리코프 벽.jpg|width=100%]]}}} || || '''하리코프 인민공화국 국기가 그려진 하리코프 각지''' || 2014년 5월 경, 민병대 등 폭력적인 집단이 전부 하리코프에서 반마이단 시위대 세가 훨씬 강한 [[돈바스]]로 이탈하면서 하리코프 인민공화국은 투쟁 노선을 하리코프 지위에 관한 국민투표 개최와 [[노보로시야]] 가입 및 우크라이나의 연방화로 변경했다. 이에 따라 점차적으로 폭력 시위가 잦아들고 대신 대중적 민족 해방 운동으로의 변모를 위한 비폭력 [[시민 불복종 운동]]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예를 들어 세금을 하르키우주에만 납부한다거나 중서부 제품 불매운동 및 친정부 인사 기업 파업을 진행하는 한편 하리코프 인민공화국 국기, [[성 게오르기우스]] 리본, [[러시아]] 국기, [[노보로시야]] 국기 등 친러시아 상징물을 게양하거나 [[제2차 세계대전]] 관련 기념일에 집회를 여는 것을 계획한 사례가 있다. 그밖에도 투쟁의 의미로 우크라이나어를 반대하지 않더라도 러시아어를 사용하거나 동남부 '''분리주의자가 아닌 노보로시야 연방주의자'''임을 어필하고 내분을 자제하는 등 나름 체계적인 계획을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외국으로 호소한다거나 우크라이나군의 보급을 막고 항의 차원에서 공공 시설 낙서 등을 촉구하는 등의 활동을 했다. [[https://web.archive.org/web/20140602025952/http://kavpolit.com/blogs/kofner/4434/|#]] 이 덕분인지 하리코프 인민공화국의 지도자인 유리 아푸흐틴은 5월 17일 하리코프에서 열린 제2차 원탁회의[* 분리주의 세력 지도자들을 배제한 채 개최되었다.]에도 초청되었다. 그러나 본인이 참석을 거절했음을 밝혔으며 [[2014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 불참과 국민투표 강행 의지를 내비쳤다.[* 이러한 움직임으로 분리독립을 선언한 바 있는 하르키우주 및 오데사주의 투표율은 50%를 밑돌았고 [[쿠퍈스크]] 일대에서는 전직 하르키우 주지사를 역임한 [[지역당]]의 미하일로 돕킨 후보가 깜짝 1위를 차지했다.] 이후로도 비교적 평화로운 시위가 지속되었고 친러시아 시위대의 규모도 이전보다 줄어들었다. 9월 28일 친서방 시위대는 중앙 광장에서 집회를 열고 이곳에 있던 우크라이나에서 가장 큰 레닌 동상을 철거했다.[[https://www.forbes.com/sites/katyasoldak/2014/09/28/ukrainian-crowds-topple-lenin-statue-again/?sh=33c3cd012912|#]] 그해 9월부터 12월까지 현지에서 실시된 여론 조사에서는 러시아 합류에 대한 지지율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https://navalny.com/p/3836/|#]][[https://zn.ua/ukr/UKRAINE/lishe-3-ukrayinciv-hochut-priyednannya-yih-oblasti-do-rosiyi-160641_.html|#]] == 멸망 이후 == 2014년 4월 30일에서 5월 1일 사이에 남동부 시위대를 이끈 유리 아푸트힌(Юрий Апутхин)이 승리의 날 폭동을 조직하고 헌법을 위반한 혐의로 [[우크라이나 보안국]]에 체포되었으나 [[http://www.trinitas.ru/rus/doc/avtr/01/2487-00.htm|#]], 5월 7일 올레크 차료프의 보석금 납부로 풀려났다. [[https://www.kyivpost.com/ukraine-politics/kharkiv-peoples-republics-creatior-sentenced-6-years-prison-ukraine.html|#]] 2014년 12월, 아푸트힌은 다시 체포되었고 2017년 5월, 징역 6년형을 선고받았다. [[https://www.kyivpost.com/ukraine-politics/kharkiv-peoples-republics-creatior-sentenced-6-years-prison-ukraine.html|#]] 2017년 12월 27일 죄수 교환으로 석방되었다는 정보도 있으나 확실하지 않다. [[https://www.stalkerzone.org/69-year-old-political-prisoner-yury-apukhtin-released-kharkov-court/|#]] 2016년 9월 19일, 하리코프 인민공화국에서 오플롯 시위대를 이끈 예브게니 질린(Евгений Жилин)이 [[모스크바]]에서 암살당했다. 우크라이나에 의한 암살이 아니라면 원인은 질린의 비즈니스와 연관돼 있을 수 있다. [[https://www.rferl.org/a/ukraine-russia-anti-maidan-zhyin-killed/28002053.html|#]]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발발한 이후 [[러시아군]]이 [[하르키우 전투|하르키우 점령을 지속적으로 시도 중이며]], 만약 하르키우가 함락당한다면 러시아에서 주민투표를 통해 부활시킬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헤르손 인민공화국]] 건국 실패 이후 러시아로의 직접 편입으로 노선을 바꾸면서 [[하리코프 군민정청]]으로 부활했다. 2023년 5월 16일, [[벨고로드]]에서 [[러시아의 봄|하리코프의 봄]]을 주제로 한 전시회가 열렸고, [[비탈리 간체프]] [[하리코프 군민정청]] 민정장관 등이 하리코프 인민공화국 국기에 서명했다. [[https://news-kharkov.ru/society/2023/05/16/44703.html|#]] == 기타 == * 국기가 [[다게스탄 공화국]]의 국기와 매우 유사하다. [[https://mykharkov.info/news/flag-respubliki-dagestan-narisovali-na-xarkovskoj-vysotke-foto-18715.html/amp|이를 근거로 하리코프 인민공화국의 배후가 러시아라고 간접 언급하는 기사]]도 있다. == 관련 문서 == *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 [[루간스크 인민공화국]] * [[오데사 인민공화국]] [[분류:러시아-우크라이나 관계]][[분류:러시아의 괴뢰국]][[분류:동유럽 국가]][[분류:21세기 멸망]][[분류:신냉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