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일본 내각)]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0ff00 0%, #00ff00)" {{{#000000 '''쇼와 시대 {{{-2 전전}}}[br]{{{+1 하마구치 내각}}}'''[br]'''濱口内閣 | Hamaguchi Cabinet'''}}}}}} || ||<-2> {{{#!wiki style="margin: -16px -11px" ||<-2> '''[[1929년|{{{#000000 1929년}}}]] [[7월 2일|{{{#000000 7월 2일}}}]] {{{#000000 ~}}} [[1931년|{{{#000000 1931년}}}]] [[4월 14일|{{{#000000 4월 14일}}}]]''' || || '''{{{#ffffff 출범 이전}}}''' || '''{{{#000000 이후}}}''' || || '''[[다나카 기이치 내각|{{{#ffffff 다나카 기이치 내각}}}]]''' || '''[[제2차 와카쓰키 내각|{{{#000000 제2차 와카쓰키 내각}}}]]''' ||}}} || || {{{#000000 '''내각총리대신'''}}} ||[[하마구치 오사치]] ,,/ 제27대 (중의원 의원, [[입헌민정당]] 총재),,|| || {{{#000000 '''여당'''}}} ||[include(틀:입헌민정당)]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하마구치 내각 출범 기념사진.jpg|width=100%]]}}}|| || '''{{{-1 {{{#000000 ▲ 하마구치 내각 출범 기념사진 }}}}}}''' || [목차] [clearfix] == 개요 == [[1929년]] [[7월 2일]], [[황고둔 사건]]의 책임으로 [[다나카 기이치 내각]]이 총사퇴하면서, [[입헌민정당]] 총재 하마구치 오사치가 제27대 내각총리대신으로 임명되어 설립된 내각이다. 일본 제국 시대의 내각 중에서 가장 [[일본의 자유주의|자유주의적]]이고, [[평화주의]]적인 내각들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나머지 하나는 [[와카쓰키 레이지로|본인의 후임자]]가 [[조각#s-4|조각]]한 [[제2차 와카쓰키 내각]]이다.] 이 시기 내각에선 하마구치 총리의 강력한 대중적 지지를 기반으로 [[금해금]], [[런던 해군 군축조약]] 등 군축, 긴축정책에 기반해 완강하게 개혁을 밀어붙혔으나, 금해금의 여파로 인한 경제 불황 및 여론 악화와 군부 강경파의 반발을 사게 되었다. [[1930년]] [[11월 14일]], 하마구치 총리가 [[도쿄역]]에서 극우 청년 사고야 도메오(佐郷屋留雄)에게 저격당해 입원하면서 시데하라 기주로 외무대신이 당일부터 [[1931년]] [[3월 9일]]까지 약 3개월간 총리 권한대행[* 엄밀히 말하면 내각총리대신 임시대리이지만, 하마구치 총리가 워낙 오랫동안 입원해있어서 사실상 내각총리대신 권한대행으로 활동했다.]을 맡았다. [[1930년]] [[3월 10일]] 하마구치가 [[중의원]], [[귀족원(일본)|귀족원]]에 등단하면서 직무에 복귀했으나, 부상 악화로 [[4월 14일]] 총사퇴했다. == 각료 목록 == [include(틀:하마구치 내각의 국무대신)] === 국무대신 === * 비고란에 쓰여진 것을 제외하고는 1929년 7월 2일 임명 ||<#00ff00> {{{#000000 '''직책'''}}} ||<#00ff00> {{{#000000 '''대수'''}}} ||<#00ff00> {{{#000000 '''성명'''}}} ||<#00ff00> {{{#000000 '''소속'''}}} ||<#00ff00> {{{#000000 '''특이 사항'''}}} ||<#00ff00> {{{#000000 '''비고'''}}} || || [[일본국 내각총리대신|내각총리대신]] || 제27대 || [[하마구치 오사치]] || [[중의원]][br][[입헌민정당]] || || [[입헌민정당]] 총재 || || [[일본 외무성|외무대신]] || 제40대 || [[시데하라 기주로]] || [[귀족원(일본)|귀족원]][br](동화회)[br][[남작]] || 하마구치 총리 암살 미수 사건으로 인해 [[1930년]] [[11월 14일]]부터 [[1931년]] [[3월 10일]]까지 총리 권한대행 수행 || 재입각 || || [[일본 제국 내무성|내무대신]] || 제41대 || 아다치 겐조 || [[중의원]][br][[입헌민정당]] || || 재입각 || || [[대장성|대장대신]] || 제30대 || 이노우에 준노스케 || [[귀족원(일본)|귀족원]][br][[무소속(정치)|무소속]] → [[입헌민정당]][br](무회파) || || 첫 입각 || ||<|2> [[육군성#일본|육군대신]] || 제35대 || [[우가키 가즈시게]] || [[일본 제국 육군|군인]][br]육군 대장[br]([[육군대학교|육군대학]] 14기) || || 재입각 || || 임시대리 || [[아베 노부유키]] || [[일본 제국 육군|군인]][br]육군 중장[br]([[육군대학교|육군대학]] 19기) || [[1930년]] [[6월 26일]]부터 [[1930년]] [[12월 10일]]까지 임시대리 || 무임소대신과 겸직 || ||<|2> [[해군성#일본 제국|해군대신]] || 제31대 || 다카라베 다케시 || [[일본 제국 해군|군인]][br]해군 대장[br]([[해군병학교]] 15기) || || 재입각[br]1930년 10월 3일 사임 || || 제32대 || 아보 기요카즈 || [[일본 제국 해군|군인]][br]해군 대장[br]([[해군병학교]] 18기)[br][[남작]] || || 첫 입각[br]1930년 10월 3일 취임 || || [[법무성|사법대신]] || 제32대 || 와타나베 치후유 || [[귀족원(일본)|귀족원]][br]연구회[br][[자작]] || || 첫 입각 || ||<|2> [[문부성|문부대신]] || 제39대 || 고바시 이치타 || [[중의원]][br][[입헌민정당]] || || [[1929년]] [[11월 29일]] 사임 || || 제40대 || 다나카 류조 || [[중의원]][br][[입헌민정당]] || || 첫 입각[br][[1929년]] [[11월 29일]] 취임 || || [[농림수산성|농림대신]] || 제6대 || 마치다 추지 || [[중의원]][br][[입헌민정당]] || || 재입각 || || [[경제산업성|상공대신]] || 제6대 || 다와라 마고이치 || [[중의원]][br][[입헌민정당]] || || 첫 입각 || || [[체신성|체신대신]] || 제33대 || 고이즈미 마타지로 || [[중의원]][br][[입헌민정당]] || || 첫 입각 || || [[일본 철도성|철도대신]] || 제8대 || 에기 다스쿠 || [[귀족원(일본)|귀족원]][br][[입헌민정당]][br](동성회) || || 재입각 || || 척무대신 || 제2대 || 마쓰다 겐지 || [[중의원]][br][[입헌민정당]] || || 첫 입각 || || [[무임소장관|무임소대신]] || - || [[아베 노부유키]] || [[일본 제국 육군|육군]][br]육군 중장[br]([[육군대학교|육군대학]] 19기) || 육군대신 임시대리 || 첫 입각[br][[1930년]] [[6월 16일]] 취임[br][[1930년]] [[12월 10일]] 면직 || [[분류:일본 내각]][[분류:쇼와 시대]][[분류:1920년대]][[분류:1930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