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신 타이거스/간략(투수))] ||<-2>
[[파일:20220731_hamachi_ay.jpg|width=100%]] || ||<-2> '''{{{#000000 한신 타이거스 No.36}}}''' || ||<-2> {{{#ffffff '''하마치 마스미'''[br]'''(浜地 真澄 / Masumi Hamachi)'''}}} || || '''{{{#ffffff 생년월일}}}''' || [[1998년]] [[5월 25일]] ([age(1998-05-25)]세) || || '''{{{#ffffff 출신지}}}''' ||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 [[니시구(후쿠오카)|니시구]] || || '''{{{#ffffff 국적}}}'''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 '''{{{#ffffff 학력}}}''' || 후쿠오카대학 부속 오오호리 고교[br]([[https://ja.wikipedia.org/wiki/%E7%A6%8F%E5%B2%A1%E5%A4%A7%E5%AD%A6%E9%99%84%E5%B1%9E%E5%A4%A7%E6%BF%A0%E4%B8%AD%E5%AD%A6%E6%A0%A1%E3%83%BB%E9%AB%98%E7%AD%89%E5%AD%A6%E6%A0%A1|福岡大学附属大濠中学校・高等学校]]) || || '''{{{#ffffff 신체}}}''' || 185 cm / 85 kg || || '''{{{#ffffff 포지션}}}''' || [[투수]] || || '''{{{#ffffff 투타}}}''' || [[우투우타]] || || '''{{{#ffffff 입단}}}''' || 2016 드래프트 4위 한신 || || '''{{{#ffffff 소속팀}}}''' || '''[[한신 타이거스]] (2017~)''' || || '''{{{#ffffff 등장곡}}}''' || || [clearfix] [목차] == 개요 == [[한신 타이거스]] 소속 우완 중간계투 [[투수]]. == 프로 입단 전 == 후쿠오카시 출신으로 초등학교 시절부터 야구를 시작했다. 초등학교 6학년 때는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주니어 팀에 소속되기도 했다. 후쿠오카시립 모토오카 중학교[*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미시마 카즈키]]가 8년 선배다.]를 거쳐 오오호리 고교로 진학했으며, 고교에서는 2학년 때 에이스 자리를 잡았다. 당시 [[야마모토 요시노부]], [[https://ja.wikipedia.org/wiki/%E6%A2%85%E9%87%8E%E9%9B%84%E5%90%BE|우메노 유고]][*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소속의 중간계투 투수], [[https://ja.wikipedia.org/wiki/%E5%A4%AA%E7%94%B0%E9%BE%8D|오오타 류]][* [[요미우리 자이언츠]] 소속의 유망주 투수], 그리고 하마치 본인을 묶어 '''[[규슈]]의 [[사천왕]]'''이라는 [[https://full-count.jp/2019/10/23/post582788/|말]]이 돌아다녔을 정도였다. 고3 때 [[일본 고교야구 전국대회]] 지역예선 1라운드에서 선발로 나갔으나 6실점 2자책을 하며 탈락, 결국 고시엔 대회에는 진출하지 못했다. 이후 2016년 드래프트에서 4위로 [[한신 타이거스]]의 지명을 받았고[* 해당 드래프트 1위 [[오오야마 유스케]] 지명에 대해서 말이 많던 그 드래프트였다. 결과적으론 대 성공이었다. 동기로는 오오야마 외에도 [[사이키 히로토]], [[이토하라 켄토]] 등이 있다.], 계약금 4천만엔에 연봉 5백만엔으로 입단하였다. == 프로 입단 후 == 입단동기 [[사이키 히로토]]와 같이 [[한신나루오하마 구장|2군]] 공식전에 등판했으나, 2017년 후반에 허리를 다치며 재활에 매진하게 되었다. 2018년 중순에 복귀 후 꾸준히 2군 경기에서 잘 던지며 [[요미우리 자이언츠]]와의 [[일본프로야구/2군|2군]] [[일본시리즈]]에도 등판하며 2군 리그 우승에 기여하기도 했다. [[한신 타이거스/2019년|2019년]] 입단 이래 처음으로 오키나와 1군 [[스프링캠프]]에 참가하며 가능성을 보여 줬고, 오픈전까지 잘 던지면서 개막 엔트리에도 진입에 성공했다. 4월 4일 [[도쿄 돔]] [[전통의 일전]]에 선발로 나가서 상대 선발 타카하시 유키와 맞붙어 4이닝 6실점으로 패했다.[* 상대 선발도 프로 첫 등판이었는데, 양팀 선발이 프로 첫 등판이었던 경우는 [[https://www.nikkansports.com/baseball/news/201904050000129.html|30년 만의 일이었다]]고 한다.] 이후로는 1군과 2군을 오가다가 중간계투로 고정되었다. 7월 30일 [[주니치 드래곤즈]] 전에서 극적인 끝내기 승리를 얻어내며 프로 첫 승리를 따냈다. 최종 성적은 21경기 1선발 2승 1패 28이닝 방어율 6.11. 2020년에는 1경기 등판에 그쳤지만 1이닝 무실점을 기록했다. 다만 9월 25일 [[후쿠도메 코스케]], [[이토하라 켄토]] 등과 함께 [[코로나 19]] 양성 판정을 받아[* 당시 [[나고야시|나고야]]에 원정을 가 있었는데, 당시 팀내 최고참이던 [[후쿠도메 코스케]]가 [[박석민|규정에 없는 회식을 주관했다]]가 그만 [[NC 다이노스 원정숙소 방역수칙 위반 사건|집단 감염이 터지고 말았다.]] 덕분에 한신은 2군에서 선수들을 대거 불러올려서 시즌을 치러야 했고, 후쿠도메는 시즌 후 한신을 떠나 [[주니치 드래곤즈|주니치]]로 돌아가게 되었다.]. 격리되기도 하는 등 순탄치만은 않은 시즌을 보냈다. 2021년에는 4경기 6이닝 3실점으로 있는 듯 없는 듯 던졌다. 2022년, 중간계투에서 포텐이 대폭발하며 일약 한신의 필승계투로 그 역할과 위상이 올라갔다. [[유아사 아츠키]], [[이와자키 스구루]], [[카일 켈러]][* 시즌 초엔 [[작가(야구)|작가]]였으나 [[교류전]] 이후부터는 1이닝을 믿고 맡길 만한 투수로 각성했다.] 등과 함께 철벽 계투진의 일원이 되었다. 이미 전반전만으로 30경기나 등판해 0승 2패로 아직 승은 없으나 평균자책점 1.27에 홀드 10개를 기록하고 있다. == 기타 == 가족이 후쿠오카시에서 양조장을 한다고 한다. 대대로 [[한신 타이거스]]의 팬으로 본가에는 [[카네모토 토모아키]]의 등신대가 있다고 한다. 성의 한자는 본래 '''濵'''地였으나, [[정자(한자)|정자]]로 쓴 '''濱'''地도 통용된 적이 있었다. 그러나 프로 입단 이후로는 현재의 '''浜'''地로 고정되었다. 이름의 한자는 [[쿠와타 마스미]]의 그것과 동일하다. 그래서 자신도 [[https://www.daily.co.jp/tigers/2016/12/06/0009727485.shtml|쿠와타처럼 영리한 투수가 되고 싶다]]는 인터뷰를 하기도 했다. [[분류:한신 타이거스/현역]][[분류:니시구(후쿠오카) 출신 인물]][[분류:1998년 출생]][[분류:2017년 데뷔]][[분류:일본의 야구 선수]][[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