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김포시의 면]] [include(틀:김포시의 읍면동)] ||<-2> '''[[김포시|{{{#000000,#dddddd 김포시}}}]]의 [[면(행정구역)|{{{#000000,#dddddd 면}}}]]'''[br]'''{{{+1 하성면}}}'''[br]霞城面 | Haseong-myeo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경기도 김포시 하성면,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기초자치단체''' || 김포시 || || '''행정표준코드''' || 4090041 || || '''관할 법정리''' || 12리 || || '''하위 행정구역''' || 31행정리 58반 || || '''면적''' || 54.84㎢ || || '''인구''' || 8,002명[* 2023년 6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 밀도''' || 145.92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김포시 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박상혁(1973)|박상혁]] ,,(초선),, || ||<-2> '''경기도의원 | 제3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김시용]] ,,(재선),, || ||<-2> '''김포시의원 | 다 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배강민 ,,(재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유매희 ,,(초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한종우 ,,(재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애기봉로 845 (마곡리 623-3) || || [[https://www.gimpo.go.kr/portal/contents.do?key=3301|하성면 행정복지센터]] || [목차][clearfix] == 개요 == [[경기도]] [[김포시]]의 [[면(행정구역)|면]]. [[한강]] 하구에 있으며 한강 건너 [[파주시]], [[고양시]][* 일부 지번이 한강 건너에 위치해 있고 이 지번으로 [[고양시]]와 접해있긴 하나, [[실질월경지]]이다.], [[북한]]이 실효 지배 중인 [[개풍군]]과 마주한다. 분단 극초기만 해도 남북을 가르던 기준이 [[삼팔선|38선]]이었기 때문에 북쪽으로 인접한 [[개풍군]]도 남한령이었으므로, 당시만 해도 전방이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는 지역이었다. 하지만 [[정전 협정(6.25 전쟁)|휴전 협정]]을 거치면서 개풍군이 북한 수중으로 떨어지는 바람에 최전방 지역이 되었다. 이것 때문인지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에서도 평야 지대가 넓어서 지리적으로만 보면 개발이 용이함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개발되지 못한 채 농지만 널린 곳이 되었다. 만약 [[남북분단]]이 안 되었거나 혹은 분단되었어도 지금까지 38선을 기준으로 삼았다면, 지금보다는 꽤 개발이 되었을지도 모른다. 반대로 말하면, [[남북통일]]이 되면 더 이상 최전방 지역이 아니므로 대규모 개발이 이루어질 듯하다. [[한강]]의 하구로 바닷물이 들어오기에 사실상 [[황해|서해안]]이라고 봐도 되는 곳이며, [[북방한계선]]의 시점이다. 그래서 이쪽 강변 지역은 [[대한민국 해병대|해병대]]에 의해 통제된다. [[김포 버스 201, 202]]를 이용해서 강변에 위치한 최전방 동네인 시암리에 하차할 경우, [[남북관계]]가 경색되어 있을 때는 정류장에 있던 군인들이 외지인에 대해 검문을 한다. 별다른 방문 목적이 없으면 다음 버스에 강제로 태워서 내보낸다. 시암리 강변에는 자전거 도로가 조성되어 있으며, 그 옆으로 철책이 깔려 있다. [[대한민국 해병대|해병대]] [[해병대 제2사단|제2해병사단]] 예하 부대들이 이곳에 주둔하고 있다. [[대한민국 육군|육군]] [[수도군단]] 예하 방공부대, [[대한민국 공군|공군]] [[공군방공관제사령부|방공관제사령부]] 예하 부대도 같이 있어서 육·해·공 군인들을 모두 볼 수 있는 곳이다. 비율은 해군·해병이 80%, 타군이 20% 정도. 그리고 [[한강]] 하구인 봉성리, 전류리 일대에는 [[상륙장갑차]]도 훈련하러 자주 온다. 시암리 근처 산중턱에는 [[M46]] 혹은 [[M48]]로 추정되는 매우 오래된 [[탱크]] 한 대가 작전용으로 배치되어 있다. 시골이고 전방인 탓에 정치적으로도 보수 성향을 띄는 경향이 있으나, 경기권이라 그런지 민주당 지지세도 은근 만만치 않다. == 출신 인물 == * [[권덕규]] (석탄리) * [[권이혁]] (석탄리) * [[김창집(1960)|김창집]] (시암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