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
[[파일:하야타 히나.jpg|width=100%]] || || '''{{{#eee156 이름}}}''' ||하야타 히나(早田ひな, Hina Hayata) || || '''{{{#eee156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 '''{{{#eee156 출생}}}''' ||[[2000년]] [[7월 7일]] || || '''{{{#eee156 랭킹}}}''' ||5위 || || '''{{{#eee156 전형}}}''' ||듀얼 윙 왼손 어택 || || '''{{{#eee156 종목}}}''' ||[[탁구]]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여자 탁구 선수로 2023년 현재 일본 여자탁구의 1인자이다. 현재 세계랭킹은 5위.[* 2023년 11월 14일 기준 [[https://www.ittf.com/wp-content/uploads/2023/11/2023_46_SEN_WS.html]]] 같은 해에 태어난 히라노 미우, 이토 미마 등과 함께 일본 여자 탁구 황금세대 중 한명이다. 166cm의 키와 긴 팔다리를 살려 강한 스핀의 포핸드 드라이브를 구사한다. 몸을 크게 쓰기 때문에 부상도 잦아 2016년도에 무릎 부상, 2017년도에는 팔뚝 부상, 2020년도에는 늑간근에 부상을 당했다. == 선수 경력 == === 2021년 === WTT스타컨텐더 혼합복식에서 [[도가미 슌스케]]와 짝을 이뤄 우승을 하였다. 아시아선수권에선 3관왕을 하였다. === 2023년 === 1월달에 열린 전일본 탁구 선수권 대회에서 [[키하라 미유]]를 꺽고 단식 우승을 차지했다. 또한 [[이토 미마]]와 짝을 이룬 여자복식, [[하리모토 토모카즈]]와 짝을 이룬 혼합복식에서도 우승을 차지하면서 3관왕을 이루어 냈다. 5월달에 더반에서 개최된 ITTF 세계탁구선수권 대회에서는 8강전에서 중국의 [[왕이디]]와 역대급 혈투를 벌인 끝에 4-3으로 승리했다. 특히 마지막 세트에서 왕이디의 9번의 매치포인트를 극복하고 21:19로 승리하는 명승부를 보여줬다.[* [[https://youtu.be/edi9lvhaRBA?si=og0o8xdnq35BkLnA]]] 준결승에서 세계랭킹 1위 [[쑨잉샤]]에 4:1로 패해 동메달을 획득했다. 이는 1965년 후카츠 나오코 이후 일본이 처음 획득한 세계선수권 여자단식 메달이다. 하리모토 토모카즈와 짝을 이룬 혼합복식에서는 중국의 쑨잉샤 - 왕추친 조에 패해 은메달을 획득했다. 8월달 WTT 컨텐더 리우데자네이루에 출전해 결승에서 스웨덴의 린다 버그스트롬을 4:1로 꺽고 우승을 차지했다. 9월달에 열린 항저우 아시안 게임에서는 준결승에서 다시 왕이디를 만나 4:3으로 꺽었다. 결승에서 또다시 쑨잉샤에게 4:1로 져서 은메달을 차지했지만 일본 선수로는 29년만에, 비 중국출신으로는 57년 만에 결승진출이라는 쾌거를 이루어 냈다. 10월달에 열린 WTT 컨텐더 무스카트 결승전에서 아드리아나 디아즈를 4:0으로 물리치고 우승 트로피를 획득했다. 비중국인 선수들이 참여한 대회지만 10월 말에 열린 WTT 컨텐더 안탈리야 대회에서도 리핏을 달성하며 세계랭킹 4위로 오름과 동시에 개인 최고 랭킹을 갱신했고 현재 넌차이니즈 선수 중 가장 압도적인 선수로서의 위상을 공고히 하고 있다. WTT 챔피언스에서는 천멍을 꺾고 올라온 베르나데트 쇠츠와의 혈투 끝에 4강에 올라갔지만 본인보다 훨씬 더 강한 드라이브를 선보이는 왕만위에게 벽을 느끼며 1:4로 완패했다. === 여담 === 동경하는 선수는 같은 왼손잡이며 전 세계 1위인 [[딩닝]]이라고 한다. 2016년 3월 카타르 오픈에서 왼손잡이 훈련 상대를 찾던 딩닝의 지명을 받아 훈련 상대를 맡아 "나를 넘어"라는 격려를 받았다고 한다. 의외로 다른 종목인 테니스 스타 로저 페더러를 이상적인 선수로 뽑았다. 경기중의 어떤 자세를 취하든 얼굴이 흔들리지 않고 몸의 축이 탄탄한 완벽한 자세를 취하는 모습을 닮고 싶어서 라고 한다.[* [[https://the-ans.jp/column/269655/3/]]] == 수상 기록 == ||<-3>
{{{#white 세계선수권}}} || || 은메달 || 2018 할름스타드 || 단체전 || || 은메달 || 2019 부다페스트 || 여자 복식 || || 은메달 || 2021 휴스턴 || 여자 복식 || || 은메달 || 2021 휴스턴 || 혼합 복식 || || 은메달 || 2022 청두 || 단체전 || || 은메달 || [[2023 더반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2023 더반]] || 혼합 복식 || || 동메달 || 2017 뒤셀도르프 || 여자 복식 || || 동메달 || 2023 더반 || 단식 || ||<-3> {{{#white 아시안 게임}}} || || 은메달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2022 항저우]] || 여자 단체전 || || 은메달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2022 항저우]] || 단식 || ||<-3> {{{#white 아시아선수권}}} || || 금메달 || 2021 도하 || 단식 || || 금메달 || 2021 도하 || 혼합 복식 || || 금메달 || 2021 도하 || 여자 단체전 || || 은메달 || 2017 우시 || 여자 단체전 || || 동메달 || 2017 우시 || 여자 복식 || || 동메달 || 2023 평창 || 여자 단체전 || [각주] [[분류:일본의 여자 탁구 선수]][[분류:2000년 출생]][[분류:기타큐슈시 출신 인물]][[분류:일본의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