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얼음과 불의 노래)] ||<-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00, #000000)" {{{#ffffff '''하우스 오브 드래곤의 수상 이력'''}}}}}} || ||<-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0C0000><-5><:> {{{#E5D85C ''' 역대 [[골든글로브상|{{{#E5D85C 골든 글로브 시상식}}}]]''' }}} || ||<#FFFFFF,#191919><-5><:> [[파일:goldenglobe.png|width=55]] || ||<#0C0000><-5><:> {{{#E5D85C '''최우수 작품상 - 드라마(TV)'''}}} || || ''' [[제79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제79회]] [br] ([[2022년]]) ''' || {{{+1 → }}} || ''' [[제80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제80회]] [br] ([[2023년]]) ''' || {{{+1 → }}} || ''' [[제81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제81회]] [br] ([[2024년]]) ''' || || [[석세션]][br](시즌3) || {{{+1 → }}} || '''하우스 오브 드래곤'''[br](시즌1) ||<:> {{{+1 → }}} || || ||<#0C0000><-5> || ---- }}} || ||<-3> '''[[HBO/드라마 목록|[[파일:HBO 로고 화이트.svg|width=7%]] {{{#fff 오리지널}}}]]''' [br] '''{{{+1 하우스 오브 드래곤}}}''' (2022)[br]House of the Dragon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하오드포.jpg|width=100%]]}}}|| ||<-2> '''장르''' ||[[판타지]], [[드라마]] || ||<-2> '''채널''' ||[[HBO|[[파일:HBO 로고.svg|width=40]]]]|| ||<-2> '''방송 기간''' ||시즌 1: [[2022년]] [[8월 21일]] ~ [[10월 23일]][br]시즌 2: [[2024년]] || ||<-2> '''방송 횟수''' ||시즌 1: 10부작[br]시즌 2: 8부작(예정) || ||<-2> '''제작사''' ||1:26 Pictures[br][[HBO|[[파일:HBO 로고.svg|width=40]]]]|| ||<-2> '''원안''' ||라이언 콘달, [[조지 R.R. 마틴]]|| ||<-2> '''원작''' ||[[조지 R.R. 마틴]]의 《[[불과 피]]》|| ||<|9> '''제[br]작[br]진''' || '''제작''' ||미겔 서포크닉, 라이언 콘달, [[조지 R.R. 마틴]], 론 슈미트, 조슬린 디아즈, 사라 헤스, 빈스 제라디스|| || '''연출''' ||미겔 서포크닉, 그렉 야이타네스, 게타 바산트 파텔|| || '''극본''' ||라이언 콘달, 조지 R.R. 마틴, 사라 헤스, 카마인 드그라테, 게이브 폰세카, 케빈 라우, 아이라 파커, 아일린 심|| || '''음악''' ||[[라민 자와디]]|| || '''촬영''' ||파비안 와그너, 페페 아빌라 델 피노|| || '''편집''' ||팀 포터, 셀리나 맥아더|| || '''캐스팅''' ||케이트 로즈 제임스|| || '''미술''' ||클레어 니아 리처즈[* 영화 《[[벨파스트]]》, 《[[킬러의 보디가드]]》, 《[[사랑에 대한 모든 것]]》 미술 담당.]|| || '''의상''' ||제니 테미[* 영화 《[[해리 포터 실사영화 시리즈]]》, 《[[블랙 위도우(영화)|블랙 위도우]]》 의상 담당.]|| ||<-2> '''출연''' ||패디 콘시다인, [[에마 다시]], [[맷 스미스]], [[올리비아 쿡]] ,,외,, || ||<-2> '''촬영 기간''' ||시즌 1: [[2021년]] [[4월 26일]] ~ [[2022년]] [[2월]][br]시즌 2: [[2023년]] [[4월 12일]]~|| ||<-2> '''제작비''' ||회당 2천만 달러[* [[https://variety.com/2022/tv/news/house-of-the-dragon-budget-episode-cost-1235238285|출처]]]|| ||<-2> '''스트리밍'''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HBO Max|[[파일:맥스 로고.svg|width=70&theme=light]][[파일:맥스 로고 화이트.svg|width=70&theme=dark]]]]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wavve|[[파일:wavve 로고.svg|height=13]]]] [[https://www.wavve.com/player/vod?programid=F3501_F35000000213|▶]] || ||<-2> '''시청 등급'''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청소년 이용불가|[[파일:영등위_18세이상_2021.svg|width=30]] {{{#373a3c,#dddddd 청소년 관람불가}}}]]''' [*18세 1회, 4회] | '''[[15세 이용가|[[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width=30]] {{{#373a3c,#dddddd 15세 이상 관람가}}}]]''' [*15세 2회, 3회, 5회] || ||<-2> '''링크''' ||[[https://www.hbo.com/house-of-the-dragon|[[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hbo.com/house-of-the-dragon/official-guide|[[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5 가이드 홈페이지}}} | [[https://www.facebook.com/houseofthedragon|[[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twitter.com/HouseofDragon|[[파일:트위터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instagram.com/houseofthedragonhbo|[[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https://www.youtube.com/c/hbomax/featured|[[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왕좌의 게임(드라마)|왕좌의 게임]]》의 [[프리퀄]]이자 [[얼음과 불의 노래]] 시리즈의 외전 소설 《[[불과 피]]》를 원작으로 하는 드라마. 본편 시점에서 200여년 전 [[웨스테로스]]에서 일어난 [[타르가르옌 가문]] 사상 최대의 왕위쟁탈전을 배경으로, [[라에니라 타르가르옌(하우스 오브 드래곤)|라에니라 공주]]를 지지하는 [[흑색파]]와 [[아에곤 2세]]를 지지하는 [[녹색파]] 사이에서 발생한 내전 '[[용들의 춤]]'을 다룬다. 라이언 콘달이 제작 총괄을 맡았으며 《왕좌의 게임》 시즌 6에서 '[[윈터펠 전투/서자들의 전투|서자들의 전투]]'를 비롯해 후반부의 핵심 에피소드들을 연출한 미겔 서포크닉이 수석 감독을 맡았다.[* 시즌 5 7화와 하드홈 전투가 벌어지는 시즌 5 9화, 세르세이가 대셉트를 폭파시키는 시즌 6의 파이널 에피소드, 파이널 시즌의 3화와 5화를 연출하였다. 파이널 시즌의 경우 욕을 엄청나게 먹긴 했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작가들의 무리수 각본 때문이었을 뿐, 미겔 서포크닉의 연출력 자체는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여담으로 서자들의 전투 에피소드로 에미상을 수상했다.] 2022년 8월 21일 첫 화 공개 당일 [[북미]] [[시청률]]만 천 만 명을 육박하며[* 방송 직후 사흘만에 2천만 명을 돌파했다.[[https://variety.com/2022/tv/news/house-of-the-dragon-season-2-renewed-1235345810/|#]]] '''[[OTT|스트리밍 시대]] 이전에 데뷔한 콘텐츠를 포함해 유료 TV 채널 역사상 가장 높은 시리즈 프리미어[* 첫 시즌 첫 에피소드.] 시청률'''을 기록했다.[[https://variety.com/2022/tv/news/house-of-the-dragon-episode-2-ratings-viewers-1235352102/|#]] 이와 같은 성공으로 첫 방송 직후 시즌 2 제작이 확정되었다. 한국에서는 [[wavve]]를 통해 독점 공개된다. 국내 기준 8월 22일에 첫 화가 방영되었으며 매주 월요일 오후 5시에 순차 공개된다.[[https://www.instagram.com/p/CgjZntBjKTn/|#]] == 공개 전 정보 == ===# 시즌 1 #=== * 2018년 *11월, [[조지 R.R. 마틴]]이 드라마 《[[왕좌의 게임(드라마)|왕좌의 게임]]》의 스핀오프로 《[[불과 피]]》를 제작할 가능성이 있다고 인터뷰에서 밝혔다.[[https://www.theguardian.com/books/2018/nov/10/game-of-thrones-george-rr-martin-the-winds-of-winter-interview|#]] * 2019년 *9월, [[HBO]]에서 '원작자 조지 R.R. 마틴과 작가 라이언 콘달이 [[타르가르옌]] 가문의 이야기를 다룰 스핀오프의 파일럿 제작을 시작한다'고 발표했다.[[https://deadline.com/2019/09/house-targaryen-prequel-game-of-thrones-series-ryan-condal-george-rr-martin-hbo-1202732221|#]] * 10월, 《[[왕좌의 게임(드라마)|왕좌의 게임]]》 시즌6 [[윈터펠 전투/서자들의 전투|서자들의 전투]] 에피소드를 연출한 미겔 서포크닉이 파일럿에 합류했다는 소식이 보도되었다.[[https://www.hollywoodreporter.com/tv/tv-news/game-thrones-prequel-house-dragon-gets-hbo-series-order-1250974|#]] 파일럿 외에도 추가 에피소드들을 연출할 예정이다. * 2020년 * 1월, [[HBO]] 대표 캐시 블로이스가 각본 작업이 진행중이며 2022년 방영 예정이라고 밝혔다.[[https://deadline.com/2020/01/game-of-thrones-prequel-house-of-the-dragon-premiere-date-2022-hbo-boss-more-got-pilot-naomi-watts-1202831792|#]] * 7월, 캐스팅이 시작되었다는 소식이 보도되었다.[[https://www.radiotimes.com/tv/fantasy/got-prequel-house-of-dragon-casting|#]] 10월, 패디 콘시다인이 [[비세리스 1세]]로 캐스팅 되었다.[[https://deadline.com/2020/10/house-of-the-dragon-paddy-considine-cast-star-hbo-game-of-thrones-prequel-series-1234591696|#]] 12월, [[올리비아 쿡]]이 [[알리센트 하이타워]]에, [[맷 스미스]]가 [[다에몬 타르가르옌]]에, 에마 다시가 [[라에니라 타르가르옌]]으로 캐스팅 되었다는 소식이 공식 발표되었다.[[https://deadline.com/2020/12/house-of-the-dragon-olivia-cooke-math-smith-emma-darcy-star-hbo-game-of-thrones-prequel-series-danny-sapani-1234655181|#]] * 2021년 * 4월, 시즌 1은 10부작이라고 발표되었다.[[https://deadline.com/2021/04/house-of-the-dragon-hbo-game-of-thrones-prequel-production-debut-2022-1234744235|#]] 또한 영국 [[콘월]]에서 촬영을 시작했다는 소식이 보도되었다.[[https://www.esquire.com/entertainment/tv/g36289047/game-of-thrones-prequel-set-photos-house-of-the-dragon|#]] 영국 [[런던]]과 미국 [[LA]], 스페인에서도 촬영이 진행된다.[[https://productionlist.com/production/house-dragon-w-t-red-gun|#]] 한편 본작은 [[워너 브라더스]]에서 제작한 지상 최대 규모의 버츄얼 세트장[* [[언리얼 엔진]]을 기반으로 한 초대형 LED 스크린 돔. [[월트 디즈니 컴퍼니]]에서 《[[만달로리안]]》을 제작한 방식으로 각광받으며 보급되었다.]에서 촬영되는 첫 번째 작품이다.[[https://deadline.com/2021/06/warner-bros-leavesden-virtual-production-stage-hbos-house-of-the-dragon-1234783179|#]] * 4월 27일, 주요 캐스트들의 대본 리딩 현장이 공개되었다.[[https://twitter.com/HouseofDragon/status/1386727680293412864|#]] * 5월 6일, 첫 스틸컷이 공개되었다.[[https://twitter.com/HouseofDragon/status/1389958071326175237|#]][[https://twitter.com/HouseofDragon/status/1389959318439530499|#]] [[https://twitter.com/HouseofDragon/status/1389960576475009024|#]] * 7월 18일, [[코로나]]로 인해 촬영이 이틀 동안 중단되었다.[[https://deadline.com/2021/07/house-of-the-dragon-hbo-pauses-production-on-game-of-thrones-prequel-covid-1234795440|#]] * 2022년 * 2월 프로덕션이 종료되었다.[[https://deadline.com/2022/02/game-of-thrones-spinoff-update-house-of-dragon-premiere-plans-1234934676|#]] * 한 화당 2천만 달러 이하의 제작비용이 들었다는 보도가 나왔다.[[https://variety.com/2022/tv/news/house-of-the-dragon-budget-episode-cost-1235238285|#]] === 시즌 2 === * 2023년 * 3월 29일, 보도에 따르면 시즌 2는 총 8부작이며, 시즌 3까지 기획이 완료되었다고 한다. [[https://deadline.com/2023/03/house-of-the-dragon-season-2-episode-count-season-3-greenlight-season-4-hbo-1235312044|#]] 초기에 구상했던 대규모 전투들이 시즌 2에서 시즌 3로 변경되었기 때문에 총 시즌 4까지 계획 중이며, 시즌 2의 첫 방영은 2024년 여름으로 예측된다. 이는 작년 10월, 원작자 [[조지 R.R. 마틴]]이 블로그에서 언급한 것과 일치하는데, 10부작씩 4시즌을 통해 [[불과 피]] 전체를 다루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https://deadline.com/2022/10/george-r-r-martin-house-of-the-dragon-needs-four-full-seasons-hbo-time-jumps-1235141958/|#]] * 4월 12일, 공식 트위터를 통해 제작 중임을 알렸다. [[https://twitter.com/HouseofDragon/status/1645803753227038720|#]] * 4월 25일, 사이몬 러셀 빌, 프레디 폭스, 게일 랜킨, 아부바카르 살림이 합류했다. [[https://twitter.com/HouseofDragon/status/1650530978308452353?s=20|#]] 사이몬은 [[스트롱 가문|시몬 스트롱]], 프레디는 [[하이타워 가문|그웨인 하이타워]][* [[오토 하이타워]]의 막내아들.], 게일은 [[알리스 리버스]], 아부바카르는 [[알린 벨라리온]]를 연기한다. [[https://deadline.com/2023/04/house-of-the-dragon-cast-simon-russell-beale-freddie-fox-gayle-rankin-abubakar-salim-season-2-1235334940/|#]] == 마케팅 == === 포스터 ===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하우스오브더드래곤티저포스터.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하우스오브더드래곤 티저포스터2.jpg|width=100%]]}}} || ||<-4> '''티저 포스터''' || || {{{#!wiki style="margin: -6px -10px" [[라에니라 타르가르옌(하우스 오브 드래곤)|[[파일:라이니라 타르가르옌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다에몬 타르가르옌(하우스 오브 드래곤)|[[파일:다에몬 타르가르옌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라에니스 타르가르옌(하우스 오브 드래곤)|[[파일:라에니스 타르가르옌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코를리스 벨라리온(하우스 오브 드래곤)|[[파일:코를리스 벨라리온 포스터.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6px -10px" [[알리센트 하이타워(하우스 오브 드래곤)|[[파일:알리센트 하이타워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비세리스 1세(하우스 오브 드래곤)|[[파일:비세리스 1세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오토 하이타워(하우스 오브 드래곤)|[[파일:오토 하이타워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크리스톤 콜(하우스 오브 드래곤)|[[파일:크리스톤 콜 포스터.jpg|width=100%]]]]}}} || ||<-4> '''캐릭터 포스터'''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하우스오브더드래곤 메인포스터.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FYO2ubyUUAEXgBd.jpg|width=100%]]}}} || ||<-2> '''메인 포스터''' ||<-2> '''스페셜 포스터'''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하우스오브드래곤 라에니라&시락스.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하우스오브드래곤 다에몬&카락세스.jpg|width=100%]]}}} || ||<-2> '''라에니라 & 시락스 포스터''' ||<-2> '''다에몬 & 카락세스 포스터''' ||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fNwwt25mheo)]}}}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Wg86eQkdudI)]}}} || ||<-2> '''티저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DotnJ7tTA34)]}}}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339paLFRKlo)]}}} || || '''공식 예고편''' || '''코믹콘 확장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94Ueumh6J4s)]}}} || || {{{#d27f3f '''원작자 조지 R.R. 마틴이 설명하는[br]《하우스 오브 드래곤》 세계관'''}}} || === 콜라보 === LA 자연사박물관과 방영 전부터 콜라보를 진행한다. 기간은 8월 5일부터 9월 7일. [[https://nhm.org/houseofthedragon|#]] == 시놉시스 == >The reign of House Targaryen begins: ''House of the Dragon'' tells the story of an internal succession war within House Targaryen at the height of its power, 172 years before the birth of Daenerys Targaryen. >[[타르가르옌 가문]]의 통치가 시작된다: 《하우스 오브 드래곤》은 [[대너리스 타르가르옌]]이 태어나기 172년 전, 타르가르옌 가문의 권력이 절정에 달했을 때 발생한 [[왕위 계승 전쟁]]에 관한 이야기이다. == 에피소드 목록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EP.''' || '''방영일''' ||<-2> '''제목''' || '''등급''' || || '''러닝 타임''' || '''각본''' || '''감독''' || '''링크''' || ||<|2> 1 || 2022.08.21. ||<-2> '''Heirs of the Dragon'''[br]{{{-5 ''드래곤의 계승자''}}} || [*18세] || || 66분 || {{{-2 라이언 콘달}}} || {{{-2 미겔 서포크닉}}} || [[https://www.wavve.com/player/vod?contentid=F3501_F35000000213_01_0001.1|[[파일:wavve 아이콘.svg|width=22]]]] || ||<|2> 2 || 2022.08.28. ||<-2> '''The Rogue Prince'''[br]{{{-5 ''건달 왕자''}}} || [*15세] || || 54분 || {{{-2 라이언 콘달}}} || {{{-2 그렉 야이타네스}}} || [[https://www.wavve.com/player/vod?contentid=F3501_F35000000213_01_0002.1|[[파일:wavve 아이콘.svg|width=22]]]] || ||<|2> 3 || 2022.09.04. ||<-2> '''Second of His Name'''[br]{{{-5 ''두 번째 이름''}}} || [*15세] || || 63분 || {{{-2 게이브 폰세카, 라이언 콘달}}} || {{{-2 그렉 야이타네스}}} || [[https://www.wavve.com/player/vod?contentid=F3501_F35000000213_01_0003.1|[[파일:wavve 아이콘.svg|width=22]]]] || ||<|2> 4 || 2022.09.11. ||<-2> '''King of the Narrow Sea'''[br]{{{-5 ''협해의 왕''}}} || [*18세] || || 63분 || {{{-2 아이라 파커}}} || {{{-2 클레어 킬너}}} || [[https://www.wavve.com/player/vod?contentid=F3501_F35000000213_01_0004.1|[[파일:wavve 아이콘.svg|width=22]]]] || ||<|2> 5 || 2022.09.18. ||<-2> '''We Light the Way'''[br]{{{-5 ''길을 밝히는 빛''}}} || [*15세] || || 60분 || {{{-2 카마인 드그라테}}} || {{{-2 클레어 킬너}}} || [[https://www.wavve.com/player/vod?programid=F3501_F35000000213&page=1|[[파일:wavve 아이콘.svg|width=22]]]] || ||<|2> 6 || 2022.09.25. ||<-2> '''The Princess and the Queen'''[br]{{{-5 ''공주와 왕비''}}} || [*18세] || || 68분 || {{{-2 사라 헤스}}} || {{{-2 미겔 서포크닉}}} || [[https://www.wavve.com/player/vod?contentid=F3501_F35000000213_01_0006.1&onair=n&order=new&page=1&programid=|[[파일:wavve 아이콘.svg|width=22]]]] || ||<|2> 7 || 2022.10.02. ||<-2> '''Driftmark'''[br]{{{-5 ''드리프트마크''}}} || [*15세] || || 59분 || {{{-2 케빈 라우}}} || {{{-2 미겔 서포크닉}}} || [[https://www.wavve.com/player/vod?contentid=F3501_F35000000213_01_0007.1&onair=n&order=new&page=1&programid=|[[파일:wavve 아이콘.svg|width=22]]]] || ||<|2> 8 || 2022.10.09. ||<-2> '''The Lord of the Tides'''[br]{{{-5 ''조수의 군주''}}} || [*15세] || || 68분 || {{{-2 에일린 심}}} || {{{-2 기타 바산트 파텔}}} || [[https://www.wavve.com/player/vod?contentid=F3501_F35000000213_01_0008.1&onair=n&order=new&page=1&programid=|[[파일:wavve 아이콘.svg|width=22]]]] || ||<|2> 9 || 2022.10.16. ||<-2> '''The Green Council'''[br]{{{-5 ''녹색 회의''}}} || 등급 || || 58분 || {{{-2 사라 헤스}}} || {{{-2 클레어 킬너}}} || [[https://www.wavve.com/player/vod?contentid=F3501_F35000000213_01_0009.1&onair=n&order=new&page=1&programid=|[[파일:wavve 아이콘.svg|width=22]]]] || ||<|2> 10 || 2022.10.23. ||<-2> '''The Black Queen'''[br]{{{-5 ''검은 여왕''}}} || 등급 || || 59분 || {{{-2 라이언 콘달}}} || {{{-2 그렉 야이타네스}}} || [[https://www.wavve.com/player/vod?programid=F3501_F35000000213&page=1|[[파일:wavve 아이콘.svg|width=22]]]] ||}}} == [[/등장인물|등장인물]] == {{{#!folding ※ 하우스 오브 드래곤 출연진 목록 [펼치기 • 접기] {{{#cefbc9 '''초록색'''}}}은 주연진, {{{#faf4c0 '''노란색'''}}}은 조연진, {{{#fae0d4 '''빨간색'''}}}은 게스트. ||<|2> '''배역''' ||<|2> '''배우''' ||<-2> '''시즌''' ||<|2> '''횟수''' ||<|2> '''비고''' || || 1 || 2 || || [[라에니라 타르가르옌(하우스 오브 드래곤)|라에니라 타르가르옌]] || [[에마 다시]][* 시즌1 6회부터 담당.][br](아역: [[밀리 앨콕]][* 시즌1 1회 ~ 5회]) ||<-1> || || || || || [[다에몬 타르가르옌(하우스 오브 드래곤)|다에몬 타르가르옌]] || [[맷 스미스]] ||<-1> || || || || || [[알리센트 하이타워(하우스 오브 드래곤)|알리센트 하이타워]] || [[올리비아 쿡]][* 시즌1 6회부터 담당.][br](아역: 에밀리 캐리[* 시즌1 1회 ~ 5회]) ||<-1> || || || || || [[라에니스 타르가르옌(하우스 오브 드래곤)|라에니스 타르가르옌]] || 이브 베스트 ||<-1> || || || || || [[코를리스 벨라리온(하우스 오브 드래곤)|코를리스 벨라리온]] || 스티브 투생 ||<-1> || || || || || [[오토 하이타워(하우스 오브 드래곤)|오토 하이타워]] || [[리스 이판]] ||<-1> || || || || || [[크리스톤 콜(하우스 오브 드래곤)|크리스톤 콜]] || 파비안 프란켈 ||<-1> || || || || || [[미사리아]] || [[미즈노 소노야]] ||<-1> || || || || || [[해롤드 웨스털링]] || 그레이엄 맥타비시 ||<-1> || || || || || [[라리스 스트롱]] || 매튜 리드햄 ||<-1> || || || || || [[멜로스]] || 데이비드 호로비치 ||<-1> || || || || || [[라이먼 비스버리]] || 빌 패터슨 ||<-1> || || || || || [[라에노르 벨라리온]] || 존 맥밀란[* 시즌1 6회부터 담당.][br](아역: 테오 네이트, 아기: 메튜 카버) ||<-1> || || || || || [[아에곤 2세]] || 톰 글린-카니[br](아역: 타이 테넌트[* 시즌1 6회~], 아기: 제이크/로리 허드) ||<-1> || || || || || [[호버트 하이타워]] || 스테펀 로드리 ||<-1> || || || || || [[제이슨 라니스터]] || 제퍼슨 홀[*A 1인 2역] ||<-1> || || || || || [[타일랜드 라니스터]] || 제퍼슨 홀[*A] ||<-1> || || || || || [[바에몬드 벨라리온]] || 윌 존슨 ||<-1> || || || || || [[아릭 카길]] || 루크 티튼서 ||<-1> || || || || || [[에릭 카길]] || 엘리엇 티튼서 ||<-1> || || || || || [[바엘라 타르가르옌]] || 베서니 안토니아[br](아역: 샤니 스미서스트) ||<-1> || || || || || [[라에나 타르가르옌]] || 피비 캠벨 ||<-1> || || || || || [[루케리스 벨라리온]] || 엘리엇 그리홀트[br](아역: 하비 새들러) ||<-1> || || || || || [[헬라에나 타르가르옌]] || 피아 세이븐[br](아역: 에비 앨런) ||<-1> || || || || || [[아에몬드 타르가르옌]] || 이원 미첼[br](아역: 레오 애쉬튼) ||<-1> || || || || || [[스테폰 다클린]] || 앤서니 플래너건 ||<-1> || || || || || 랜딜 배렛 || 프랭키 윌슨 ||<-1> || || || || || [[제라디스]] || 필 다니엘스 ||<-1> || || || || || [[하이 셉톤]] || 게리 레이몬드 ||<-1> || || || || || [[재스퍼 와일드]] || 폴 케네디 ||<-1> || || || || || 리콘 스타크 || 데이빗 하운슬로우 ||<-1> || || || || || [[보어문드 바라테온]] || 줄리안 루이스 존스 ||<-1> || || || || || [[보로스 바라테온]] || 로저 에반스 ||<-1> || || || || || [[오르윌]] || 커트 에지아완 ||<-1> || || || || || [[비세리스 1세(하우스 오브 드래곤)|비세리스 1세]] || 패디 콘시다인 ||<-1> || || 9회 || || || [[라이오넬 스트롱]] || 개빈 스폭스 ||<-1> || || 6회 || || || [[자캐리스 벨라리온]] || 해리 콜레트[br](아역: 레오 하트) ||<-1> || || 4회 || || || [[라에나 벨라리온]] || 나나 블론델[* 시즌1 6회 한정.][br](아역: 사바나 스테인, 아기: 노바 풀리스-모세) ||<-1> || || 4회 || || || [[하윈 스트롱]] || 라이언 코르 ||<-1> || || 4회 || || || [[크라가스 드라하]] || 다니엘 스콧-스미스 ||<-1> || || 2회 || || || [[조프리 론마우스]] || 솔리 맥레오드 ||<-1> || || 1회 || || || [[아엠마 아린]] || 시안 브루크 || || || 1회 || || || [[재해리스 1세]] || 마이클 카터 || || || 1회 || ||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하우스 오브 드래곤/등장인물)] == [[/줄거리|줄거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하우스 오브 드래곤/줄거리)] == OST == ||<-4> '''하우스 오브 드래곤 OST''' || ||<-4>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하우스 오브 드래곤 OST.jpg|width=100%]]}}} || ||<-4> '''2022. 10. 24. 발매''' || || '''트랙''' || '''제목''' || '''작곡''' || '''링크''' || || 1 || Main Title (From [[왕좌의 게임(드라마)|Game of Thrones: Season 5]]) ||<|44> [[라민 자와디]] || [[https://youtu.be/xzefbu2ye3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 2 || The Heirs of the Dragon || [[https://youtu.be/ZLDiFM4trI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 3 || Reign of the Targaryens || [[https://youtu.be/geJqFx7x5q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 4 || Rhaenyra’s Welcome || [[https://youtu.be/rzLAXgN2hj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 5 || A Pack of Hounds || [[https://youtu.be/ni8x6ICJlq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 6 || The Tournament || [[https://youtu.be/CJA4C9zTnb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 7 || An Impossible Choice || [[https://youtu.be/ViDZF8aw0L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 8 || The Rogue Prince || [[https://youtu.be/OUmPEgt_b6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 9 || The Prince That Was Promised[*A 싱글로 선발매.] || [[https://youtu.be/FJ_eHXN6gR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 10 || Compromise and Consequences || [[https://youtu.be/tEfS_DCLf-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 11 || The Power of Prophecy || [[https://youtu.be/Iz4pnCrxdR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 12 || Trouble in the Stepstones || [[https://youtu.be/k-moXjwn5k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 13 || Surrender || [[https://youtu.be/BHzdO6W3ZG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 14 || King of the Narrow Sea || [[https://youtu.be/7fGcnhioZt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 15 || Lanterns at Nightfall || [[https://youtu.be/BieDWqS_Hv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 16 || Whatever May Come || [[https://youtu.be/v8lSlQgvix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 17 || House Velaryon || [[https://youtu.be/Ulm1ehF-26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 18 || The Green Dress || [[https://youtu.be/WhrY5Z0MCJ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 19 || First Dance || [[https://youtu.be/GMjvvGAPFK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 20 || Celebration Dance || [[https://youtu.be/HYz8LQ4_Cq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 21 || Targaryen Dance || [[https://youtu.be/xnHvroTow4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 22 || We Light the Way || [[https://youtu.be/FOFtvTWMaD4|[[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 23 || Destiny || [[https://youtu.be/j_W3cNXhTr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 24 || Pass Judgement || [[https://youtu.be/heRRAaDQvs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 25 || Funeral by the Sea || [[https://youtu.be/r6Bf7xHT6l4|[[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 26 || Daemon and Rhaenyra || [[https://youtu.be/myCOLqsE9X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 27 || Aemond Rides Vhagar || [[https://youtu.be/G28_x7cpoX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 28 || The Hard Truth || [[https://youtu.be/RO6m8z4OMa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 29 || Sealed in Fire and Blood || [[https://youtu.be/qMiVXwmaa-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 30 || Protector of the Realm[*A] || [[https://youtu.be/fIDvKrUM1V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 31 || The Silent Sisters || [[https://youtu.be/-Jz265qro8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 32 || The Language of Girls || [[https://youtu.be/hp5R9rBkBR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 33 || A Warning || [[https://youtu.be/FJADNAtUKf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 34 || Lament[*A] || [[https://youtu.be/7cFSfj42il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 35 || Fate of the Kingdoms[*A] || [[https://youtu.be/BWwl7kwB2w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 36 || Interests of the Realm || [[https://youtu.be/R8ieeTUe9H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 37 || Coronation || [[https://youtu.be/j7KhIBlZsG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 38 || Dragons Will Rule the Kingdom || [[https://youtu.be/aKKyHkuEy_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 39 || The Crown of Jaeharys || [[https://youtu.be/C9bA5XPVye4|[[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 40 || Dragons Do Not Fear Blood || [[https://youtu.be/85-GjwKFQk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 41 || Death and Rebirth || [[https://youtu.be/4pfChRKH1v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 42 || True Meaning of Loyalty || [[https://youtu.be/QhmbgK5EP5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 43 || Bloodlines Will Burn || [[https://youtu.be/SqcPOt1agY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 44 || The Promise || [[https://youtu.be/i_CA1-D6ne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 평가 ==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드라마), code=house_of_the_dragon, tomato=93, popcorn=82)] [include(틀:평가/IMDb, code=tt11198330, user=8.6)]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드라마), code=house-of-the-dragon, critic=69, user=5.3)] [include(틀:평가/알로시네(드라마),code=25633, presse=3.3, spectateurs=4.1)]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드라마), code=1316601, user=8.5)] [include(틀:평가/Filmarks(드라마), code=10929/15234, user=4.3)]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266510, user=)]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34825964, user=8.8)] [include(틀:평가/야후! 키모, code=龍族前傳-house-of-the-dragon-13164, user=4.5)]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99814, light=100)] [include(틀:평가/왓챠, code=tPDOXBo, user=4.0)] [include(틀:평가/TMDB(드라마), code=94997-house-of-the-dragon, user=85)] [include(틀:평가/무비파일럿(드라마), code=house-of-the-dragon, user=7.1)] 전작 《[[왕좌의 게임(드라마)|왕좌의 게임]]》 후반부부터 제기된 문제점을 극복하고 시리즈의 자신감을 되찾은 작품이란 평가를 받고 있다.[* 드라마 《왕좌의 게임》은 후반부 원작 소설의 부재로 중심 서사와 등장인물들의 캐릭터성이 와해되는 문제점을 겪었다. 본작은 《[[불과 피]]》에서 개괄적인 인물 묘사와 결말이 정해졌기 때문에 용두사미로 끝날 가능성이 적다. [[HBO]] 관계자도 이와 같은 이유로 안정적으로 영상화 할 수 있다는 판단 하에 제작을 결정했다고 한다.] 세계관과 설정, 관계를 대사로 설명하기보다 작중 인물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보여주는 방식으로 풀어내며 연출도 준수하다. 타르가르옌 가문의 중심인물들인 라에니라, 다에몬, 비세리스 1세에게 집중하며 이야기의 중심을 잡다가 점차 벨라리온 가문과 녹색파인 알리센트와 오토 하이타워, 라리스 스트롱 등을 통해 다채로운 캐릭터들을 구축하며 권력을 향한 대립 구도를 탄탄하게 쌓아올린다. 극 초반에 불거진 블랙워싱과 미스캐스팅 논란이 무색할 만큼 주조연 배우들의 훌륭한 연기 또한 호평받고 있다. 여기에 [[타르가르옌 왕조]]의 최전성기를 다루며 회당 2천만 달러라는 예산을 쏟아부은 드라마답게 전작인 [[왕좌의 게임]]에서 세 마리 모두 [[팔레트 스왑|동일한 외형에 색깔만 바꿔서 나온 드래곤]]들인 [[드로곤]], [[라에갈]], [[비세리온]]과는 달리 그 당시에 생존했던 [[카락세스]], [[시락스]], [[바가르]], [[시스모크]], [[멜레이스]] 등 수많은 드래곤들이 한층 발전한 CG에 힘입어 다양하게 개성적인 외양으로 등장하며, 의상과 미술 디자인 부분에서도 [[왕좌의 게임]] 이상으로 호화찬란한 시각적 묘사를 보여준다. 또한 시리즈 초반임에도 등장한 '[[징검돌 군도 전쟁]]'의 대규모 전투 장면이 호평을 받으며 더욱더 기대감을 끌어올리고 있는 상황이다. 즉, 전개의 핵심이 되는 궁중 암투와 액션의 완급 조절이 함께 진행되며 프리퀄임에도 불구하고 자체적으로 높은 완성도를 자랑한다는 평이 중론이다. 다만 시즌 1은 전쟁이 본격화되지 않은 터라 주로 비세리스 1세의 후계 문제를 두고 흑색파와 녹색파 간의 정치적 알력싸움이 두드러진다. 원작인 [[불과 피]]에 비해 각색된 내용도 상당히 많은데, 일단은 드라마적 구성에 맞는 각색이라는 평가가 중론이라 원작과 비교해 보는 재미도 있다. == 흥행 == [[HBO]]도 전작 [[왕좌의 게임(드라마)|왕좌의 게임]]의 파이널 시즌이 일으킨 참사를 잘 알고 있는지[* 시즌 8의 형편없는 결말에 분노한 팬들이 [[https://www.change.org/p/hbo-remake-game-of-thrones-season-8-with-competent-writers|다른 유능한 작가를 섭외해 다시 파이널 시즌을 제작하라는 청원을 올리고]] 찬성만 무려 160만명을 돌파한 건 이미 유명하며, 원작 작가인 [[조지 R.R. 마틴]]부터 드라마에 출연한 대부분의 배우들까지 드라마의 마지막에 대해 실망스럽다며 제작진에게 불쾌함을 내보였을 정도다.], 실망한 팬들의 마음을 돌리기 위해 미국 'HBO MAX [[유튜브]]' 채널에서 1화를 '''그냥 풀어버리는''' 초강수를 두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XrMdo8jF5Dg&ab_channel=HBOMax|유튜브 영상은 이쪽]]. 참고로 영상은 지역제한이 걸려있다.] 결국 [[HBO]]와 [[HBO 맥스]]를 종합한 첫 방송 시청률만 북미 999만 명을 돌파하는 초대박을 터뜨렸다. 과도하게 집중된 트래픽 때문에 HBO 맥스 서비스가 마비되어 일부 이용자들은 시청할 수 없는 불편까지 발생했다고 한다.[[https://www.wsj.com/articles/hbo-max-crashes-house-of-the-dragon-game-of-thrones-prequel-11661172989?mod=hp_trending_now_article_pos3|#]] 방영 후 사흘 안에 2천만 명을 기록했으며 2화 시청률은 북미 1,020만 명을 넘으며 기록을 경신했다.[[https://www.thewrap.com/house-of-the-dragon-episode-2-ratings|#]]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eview of hotd against rop.png|width=100%]]}}} || [[아마존]]의 [[반지의 제왕: 힘의 반지]]와는 방영시기가 겹쳐 우려했던 팬들의 예상과는 달리, 과연 HBO 드라마다운 좋은 퀄리티와 팬들의 호평에 힘입어 초반 흥행은 하오드 측이 압도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두 드라마 모두 시즌 피날레를 맞이해 시즌1을 종영한 현 시점 상태에선 하오드가 완성도와 흥행력에서 힘의 반지를 그야말로 압도했다.[* 반지의 제왕: 힘의 반지는 원작의 캐릭터들을 너무 바꿔놨다는 비판과 너무 많은 pc 요소로 인해 많이 시끄러운 반면, 하우스 오브 드래곤은 벨라리온 가문의 인종 논란 빼고는 딱히 문제가 없었던 것 또한 외신들이 지적했다. 게다가 이 인종 논란 역시 드라마 공개 후 사그라든 상태.] 특히 시즌 1 피날레는 2일 전 HBO측의 사고로 2일전에 먼저 풀리는 사태가 터지며 시청률 하락을 예상했지만 예상을 엎고 930만명이 시청하면서 흥행과 비평면에서 모두 성공했다. [[https://variety.com/2022/tv/news/house-of-the-dragon-finale-ratings-viewers-1235412702|#]]. [[왕좌의 게임(드라마)|왕좌의 게임]] 이후 최고의 시즌 피날레 성적. == 여담 == * [[조지 R.R. 마틴]]이 총괄 제작자로 참여하며 각본에 도움을 줬다. * HBO Max는 이전까지 《[[유포리아(드라마)|유포리아]]》 등의 TV 드라마와 《[[피스메이커(드라마)|피스메이커]]》 등의 오리지널 드라마를 타사보다 경쟁력이 훨씬 떨어지는 1080P SDR 화질로 공개했는데, 이번에는 드라마 최초로 [[4K UHD]]와 [[Dolby Vision]], [[Dolby Atmos]] 등의 높은 스펙의 화질과 음질을 지원한다. * 원작에서 은발자안에 흰 피부를 가진 발리리아 혈통의 백인으로 묘사된 [[코를리스 벨라리온]]을 포함한 [[벨라리온 가문]]의 일원이 [[흑인화|흑인으로 나와]] 일부 원작팬들 사이에서 설정 오류라며 논란이 일었다. 이에 대해서 제작진은 "지금 세상은 《[[왕좌의 게임(드라마)|왕좌의 게임]]》이 시작되었던 10년 전이나, [[피터 잭슨]]이 《[[반지의 제왕 실사영화 시리즈|반지의 제왕]]》을 만들었던 20년 전과는 매우 다르다. 이러한 유형의 이야기는 전통적으로 그래왔던 것보다 더 포괄적일 필요가 있다. 단도직입적으로 표현하자면 스크린에 또다시 백인들만 나오는 쇼가 아닌 다른 것을 만드는 게 매우 중요했다."[* 원문: The world is very different now than it was 10 years ago when 《Game of Thrones》 all started. It's different than 20 years ago when Peter Jackson made 《The Lord of the Rings》. These types of stories need to be more inclusive than they traditionally have been. It was very important for Miguel and I to create a show that was not another bunch of white people on the screen, just to put it very bluntly.[[https://www.indiewire.com/2022/07/house-of-the-dragon-game-of-thrones-showrunners-diversity-1234741925|#]]]는 입장을 밝혔다. 또한 이 아이디어는 '''원작자 [[조지 R.R. 마틴]]이 직접 제시한 원안이라고 한다.'''[* 소설을 쓸 당시 벨라리온을 해상 무역으로 부를 쌓은 흑인 뱃선원 가문으로 쓰려고 했던 계획이 있었다고 한다.[[https://ew.com/tv/house-of-the-dragon-house-velaryon-race-change-explained|#]]] 한편 [[리스(얼음과 불의 노래)|리스]] 출신의 [[미사리아]]도 백인으로 묘사된 원작과 달리 동양계 혼혈 배우가 맡았다.[* 전작 《왕좌의 게임》에서도 [[자로 쇼안 닥소스]], [[살라도르 산]], [[아레오 호타]] 등의 인물들의 피부색 설정에 변화가 있어서 이것도 설정 오류가 맞지만 줄거리에 영향을 끼치지 않아서 별 논란이 되지 않았다.] * 《[[왕좌의 게임(드라마)|왕좌의 게임]]》 시즌 5 블루레이 역사 및 설정 설명란에서 본작의 배경이 되는 '용들의 춤' 사건을 배우들이 나레이션으로 진행한 바 있다. * 전작 《[[왕좌의 게임(드라마)|왕좌의 게임]]》 에서 후반부로 갈수록 의상이 모두 무채색으로 통일되며 칙칙해진다는 비판을 의식해서인지, 이번에는 주연부터 조연들까지 할 것 없이 등장인물들의 의상이 모두 상당히 화려하게 나온다. 이 점 또한 원작자인 [[조지 R.R. 마틴]]이 직접 요구했다고. 전반적으로 [[흑색파]]와 [[녹색파]]의 대립을 예견하듯 [[라에니라 타르가르옌(하우스 오브 드래곤)|라에니라 타르가르옌]]은 검은색과 붉은색의 의상을, [[알리센트 하이타워(하우스 오브 드래곤)|알리센트 하이타워]]는 녹색과 푸른색의 의상을 많이 착용하고 나온다. * 배역을 맡은 배우들이 다양한 국가의 배우들을 캐스팅하던 왕좌의 게임과 달리 호주 출신의 밀리 알콕과 라이언 코르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영국 출신이다. * 공교롭게도 또 다른 판타지 대작 시리즈이자 본편 이전의 이야기를 다루는 《[[반지의 제왕: 힘의 반지]]》와 방영 기간이 겹치게 되었다. * [[HBO Max]]가 진출하지 않은 한국에서는 [[wavve]]에서 서비스한다. HBO Max와 달리 현재 wavve는 《[[트레이서(드라마)|트레이서]]》를 제외하고는 최신 업로드작조차 4K UHD와 [[HDR]], 멀티채널 오디오 등의 기본적인 포맷도 전혀 지원하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본 방송보다 훨씬 질이 낮은 영상과 음성 비트레이트로 스트리밍을 제공해서 국내 시청자들만 떨어지는 퀄리티의 화질, 음질로 시청하게 되었다. 현재 1080p SDR, 2채널 스테레오 오디오라는 처참한 품질로 공개되어 국내 시청자들의 불만이 매우 크다.[* 다만 한국 플랫폼에서 서비스되는 해외 컨텐츠들 중 최초로 장애인용 폐쇄 자막을 지원한다.] * 국내와 마찬가지로 HBO Max가 진출하지 않은 일본에서는 본 방송과 동일한 스펙으로 4K UHD와 Dolby Vision, Dolby Atmos까지 지원하는 [[U-NEXT]]를 통해 동시 공개되었다.[[https://news.yahoo.co.jp/articles/1b90c44090b84ce7b70a9ed4a506610cb3886a0d|#]] 심지어 1화 기준 12시간 가까이 지나고서야 자막 방영한 국내와 다르게 미국 현지 방영 시각과 거의 동시에 더빙판이 공개되었다. * 일본판 성우가 전작보다 화려한데, [[비세리스 1세]]는 [[호리우치 켄유]], [[라에니라 타르가르옌]]은 [[하야미 사오리]], [[다에몬 타르가르옌]]은 [[츠다 켄지로]], [[알리센트 하이타워]]는 [[사카모토 마야]], [[코를리스 벨라리온]]은 [[오츠카 아키오]], [[라에니스 타르가르옌]]은 [[다나카 아츠코]], [[크리스톤 콜]]은 [[스와베 쥰이치]], [[오토 하이타워]]는 [[오츠카 호츄]]다. * 번역은 [[불과 피]]를 바탕으로 하였는데 아무리 가족이라도 왕에게 반말을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 뜬금없게도 [[헨리 카빌]]의 캐스팅이 거론되고 있다고 한다. 심지어 HBO 미팅에서 [[헨리 카빌]]이 나오는 걸 봤다는 기사도 있으며, 그의 배역은 무려 [[아에곤 1세]] 아니면 [[크레간 스타크]]라고 한다. * 2022년 10월 21일, 시즌1 마지막 화인 10화 방영을 2일 앞두고, [[HBO Max]]에서 몇분간 '''올라왔다가 사라지는 해프닝이 있었다.''' 당연히 사고였으며 그 몇분간에 전체분량이 인터넷에 풀리며 스포일러들이 터저나오며 팬덤은 그야말로 혼돈의 도가니 상태에 빠졌다. [[분류:하우스 오브 드래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하우스 오브 드래곤/등장인물, version=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