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태풍 명칭)] [목차] == 개요 == 하이쿠이(Haikui, 海葵)는 [[중국]]에서 제출한 [[태풍]]의 이름으로, [[말미잘]]을 뜻한다. 2005년 제명된 '[[룽왕]]'을 대체한다. == 2012년 제11호 태풍 == [include(틀:2012년 태풍)] ||<#3594D3> [[틀:2012년 태풍|{{{#FFF '''2012년 태풍'''}}}]] || ||<#FFF,#1F2023> 제10호 [[담레이(2012년 태풍)#s-1|담레이]] → '''제11호 하이쿠이''' → 제12호 [[기러기(태풍)#s-4|기러기]] || ||<-3> '''{{{+5 {{{#!html 2012년 제11호 태풍 하이쿠이}}}}}}''' || ||<#3594D3> {{{#ffffff 진로도}}} ||<-2>[[파일:1211track.png|width=100%]] || ||<#3594D3> {{{#ffffff 활동 기간}}} ||<-2> 2012년 8월 3일 9시 ~ 2012년 8월 9일 21시 || ||<#3594D3> {{{#ffffff 영향 지역}}} ||||<:> [[필리핀]], [[류큐#s-3.1|류큐 제도]], [[대만]], '''[[중국]]'''|| ||<#3594D3> [[템플릿:태풍#s-2.2.3|{{{#white 태풍 등급}}}]] ||<-2><:><#ffffcc> {{{#000 '''1등급'''}}}[*JTWC] || || {{{#white 10분 등급}}} ||<-2><:> {{{#000 '''강한 태풍'''}}}[*JMA] || ||<#3594D3> {{{#ffffff 태풍 크기}}} ||<-2> '''중형(직경 950 km)''' || ||<#3594D3> {{{#ffffff 최저 기압}}} ||<-2> '''965 hPa''' || ||<|2><#3594D3> {{{#ffffff 최대 풍속}}} || 1분 평균 || '''33 m/s''' || || 10분 평균 || '''33 m/s''' || ||<#3594D3><:><|4>{{{#ffffff 피해}}}||<:>사망자||<:>'''118명'''|| ||<:>피해총액||<:>'''59억 1,000만 달러'''[* 2012 USD]|| === 2012년 제11호 태풍 하이쿠이 진로 경과 === || 발표 시각 || 1분풍속 || 10분풍속 || SSHS 등급 || JMA 등급 || || 8월 3일 9시 || 20kn || 35kn ||<#80ccff> 열대요란 ||<|10><#00faf4> 약 || || 8월 3일 15시 || 30kn || 35kn ||<|3><#5ebaff> 열대저기압 || || 8월 3일 21시 || 30kn || 35kn || || 8월 4일 3시 || 30kn || 35kn || || 8월 4일 9시 || 35kn || 35kn ||<|10><#00faf4> 열대폭풍 || || 8월 4일 15시 || 35kn || 40kn || || 8월 4일 21시 || 45kn || 40kn || || 8월 5일 3시 || 45kn || 40kn || || 8월 5일 9시 || 45kn || 45kn || || 8월 5일 15시 || 55kn || 45kn || || 8월 5일 21시 || 55kn || 50kn ||<|8><#ccffff> 중 || || 8월 6일 3시 || 55kn || 55kn || || 8월 6일 9시 || 55kn || 55kn || || 8월 6일 15시 || 60kn || 60kn || || 8월 6일 21시 || 65kn || 60kn ||<|4><#ffffcc> 1등급 || || 8월 7일 3시 || 65kn || 60kn || || 8월 7일 9시 || 65kn || 60kn || || 8월 7일 15시 || 65kn || 60kn || || 8월 7일 21시 || 60kn || 65kn ||<|3><#00faf4> 열대폭풍 ||<|2><#fdaf9a> 강 || || 8월 8일 3시 || 60kn || 65kn || || 8월 8일 9시 || 60kn || 55kn ||<#ccffff> 중 || || 8월 8일 15시 || - || 45kn ||<|6><#fff> '''소멸''' ||<|6><#00faf4> 약 || || 8월 8일 21시 || - || 40kn || || 8월 9일 3시 || - || 35kn || || 8월 9일 9시 || - || 35kn || || 8월 9일 15시 || - || 35kn || || 8월 9일 21시 || - || 35kn || || 8월 10일 3시 ||<-4><#fff> '''소멸 및 감시 종료''' || == 2017년 제24호 태풍 == [include(틀:2017년 태풍)] ||<#3594D3> [[틀:2017년 태풍|{{{#FFF '''2017년 태풍'''}}}]] || ||<#FFF,#1F2023> 제23호 [[담레이#s-5]] → '''제24호 하이쿠이''' → 제25호 [[기러기(태풍)#s-5|기러기]] || ||<-3> '''{{{+5 {{{#!html 2017년 제24호 태풍 하이쿠이}}}}}}''' || ||<#3594D3> {{{#ffffff 진로도}}} ||<-2>[[파일:1724track.png|width=100%]] || ||<#3594D3> {{{#ffffff 활동 기간}}} ||<-2> 2017년 11월 10일 9시 ~ 2017년 11월 12일 15시 || ||<#3594D3> [[템플릿:태풍#s-2.2.3|{{{#white 태풍 등급}}}]] ||<-2><:><#00faf4> {{{#000 '''열대폭풍'''}}}[*JTWC] || || {{{#white 10분 등급}}} ||<-2><:> {{{#000 '''열대폭풍'''}}}[*JMA] || ||<#3594D3> {{{#ffffff 태풍 크기}}} ||<-2> '''소형(직경 330 km)''' || ||<#3594D3> {{{#ffffff 최저 기압}}} ||<-2> '''998 hPa''' || ||<|2><#3594D3> {{{#ffffff 최대 풍속}}} || 1분 평균 || '''23 m/s''' || || 10분 평균 || '''21 m/s''' || == 2023년 제11호 태풍 == [include(틀:2023년 태풍)] ||<#3594D3,#27658f> [[틀:2023년 태풍|{{{#FFF '''2023년 태풍'''}}}]] || ||<#FFF,#1F2023> 제10호 [[담레이#s-6]] → --'''제11호 하이쿠이'''-- → --제12호 [[기러기(태풍)#s-6|기러기]]-- || |||||| '''{{{+5 {{{#!wiki style="text-shadow: 2px 2px 0px #999; color:#ffffff" 2023년 제11호 태풍 하이쿠이}}}}}}''' || ||<#3594D3,#27658f> {{{#ffffff 위성사진}}}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 || ||<#3594D3,#27658f> {{{#ffffff 진로도}}}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 || || {{{#ffffff 활동 기간}}} ||||<:>|| || {{{#ffffff 영향 지역}}} ||||<:>|| || {{{#white 태풍 등급}}} ||<-2><:><#80ccff,#3e627a> {{{#000 '''열대요란'''}}} || || {{{#white 10분 등급}}} ||<-2><:><#80ccff,#3e627a> {{{#000 '''열대요란'''}}} || || {{{#ffffff 태풍 크기}}} |||| '''(직경 {{{-km}}})''' || || {{{#ffffff 최저 기압}}} |||| '''-hPa''' || ||<|2> {{{#ffffff 최대 풍속}}} ||<:>1분 평균 || '''-m/s''' || ||<:>10분 평균 || '''-m/s''' || === 발생 이전 === ==== 93W 열대요란 ==== 8월 25일 9시, 북마리아나 제도 인근에 위치한 열대요란을 93W로 네이밍했다. GFS 예측으로는 상당히 강한 세력으로 일본을 강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어, 예의주시가 필요한 열대요란이다. 또한 JTWC의 25일 12시 전문에 따르면 이 93W 열대요란은 매우 거대한 태풍이 될 수 있다는 언급도 있으며 GFS/KIM 등 각국의 수치모델을 참고하면 중심이 일본에 있을지라도 영향권은 필리핀 북부, 대만, 중국 서부, 한국 등 굉장히 넓을 것으로 보이기에 더욱이 조심해야 할 열대요란이다. [* POTENTIAL INTERACTION WITH A VERY LARGE TROPICAL CYCLONE NORTH OF GUAM, IF IT ACTUALLY DEVELOPS, WILL HAVE A SIZEABLE IMPACT ON THE EXACT TRACK OF TS 09W. IF THE NEW SYSTEM DOES DEVELOP, THEN THE TRACK WILL LIKELY PUSH THROUGH THE LUZON STRAIT. ] [* 특히 한국 기상청 수치모델인 KIM은 태풍의 크기로서는 전설 중에 전설이었던 태풍 팁과 비슷하거나 약간 더 큰 상태로 오키나와를 통과하여 남해상에 상륙한다는 전망을 보여주고 있다.] 8월 25일 21시, JMA는 93W 열대요란을 1004hPa의 열대요란으로 분석하였다. 8월 26일 3시, JTWC에서 93W 열대요란의 발달 가능성을 LOW[낮음]로 지정했다. [[분류:2012년 태풍]][[분류:태풍/중국]][[분류:2017년 태풍]][[분류:2023년 태풍]][[분류:나무위키 태풍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