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하급 튜너 몬스터 카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싱크론)] [목차] == 설명 == === 원작 === [[파일:external/images1.wikia.nocookie.net/HyperSynchron-JP-Anime-5D.png]] || 한글판 명칭 ||<-4>'''하이퍼 싱크론'''|| || 일어판 명칭 ||<-4>'''ハイパー・シンクロン'''|| || 영어판 명칭 ||<-4>'''Hyper Synchron'''|| ||<-5> [[싱크로 소환/튜너|튜너]]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빛|빛]] || [[기계족]] || 1600 || 800 || ||<-5>이 카드가 드래곤족 몬스터의 싱크로 소환에 사용되어 묘지에 보내졌을 경우, 이 카드를 싱크로 소재로 한 싱크로 몬스터는 이하의 효과를 얻는다.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공격력은 800 포인트 올린다. ●이 턴으로부터 2번째 자신의 스탠바이 페이즈시에 게임에서 제외된다.|| [[유희왕 5D's]]에서 [[후도 유세이]]가 사용한 [[싱크론]] 시리즈 중 하나. '하이퍼'라는 이름답게 자체로도 높은 능력치와 드래곤족 싱크로 몬스터를 소환했을 때 그 싱크로 몬스터를 대폭 강화시키는 효과를 지녔다. 시간이 지나면 제외되는 디메리트가 같이 부여된다고는 하지만, 2턴이라는 꽤 긴 시간동안 멀쩡하기 때문에 이걸로 소환한 [[스타더스트 드래곤]]은 대개 그동안 할 일이란 할 일은 다 하기 마련이었다. 원작에서는 [[잭 아틀라스]]와의 [[포츈 컵]] 특별 매치에서 등장. [[스타더스트 드래곤]]의 싱크로 소재가 되었다. 근데 그 직후 잭도 [[튜너 캡처|튜너 캡처]]로 하이퍼 싱크론을 먹튀하더니만, 역시나 [[레드 데몬즈 드래곤]]을 싱크로 소환해 서로 치고 박았다. [[유희왕 5D's/다크 시그너 편|다크 시그너 편]]에서는 [[다크 시그너]] [[키류 쿄스케]]와의 듀얼에서도 스타더스트 드래곤의 싱크로 소재가 되어 [[미라클 루커스]]를 이용한 [[더블어택]]으로 [[원헌드레드 아이 드래곤]]을 폭사시켰다. [[지박신|하지만…]] 3기 이후로는 똑같은 레벨에 드래곤족 전용 튜너인 [[데브리 드래곤]]이 등장하면서 [[슈팅 스타 드래곤]]의 효과로 덱에서 나오는 정도로 비중이 추락해버렸다.(...) [[유희왕 5D's/아크 크레이들 편|아크 크레이들 편]]에서는 [[안티노미]]와의 대전에서 캐릭터 붕괴에 대한 논란의 장면 중 뽑힌 카드이기에 한국 팬덤에서 ''''요시! 하이퍼 싱크론!'''으로 네타화되기도 했다. 저세한 것은 [[후도 유세이]] 항목 참조. 여담으로, 이 카드는 작중에서 처음으로 등장한 전용 [[워리어(유희왕)|워리어]]가 없는 싱크론 몬스터다. 또한, 이전까지 등장한 싱크론들은 짜리몽땅한 생김새에 목소리도 귀여운 톤인데, 이 카드는 기존 싱크론과는 이질적인 디자인이고, 덩치도 크며 목소리도 굵다. '''[[유희왕/원작과 OCG가 매우 다른 카드|그리고 지금부터 설명할 카드는 이 카드와 매우 다른 카드라고 봐도 무방하다.]]''' === OCG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3110_1.jpg]] || 한글판 명칭 ||<-4>'''하이퍼 싱크론'''|| || 일어판 명칭 ||<-4>'''ハイパー・シンクロン'''|| || 영어판 명칭 ||<-4>'''Hyper Synchron'''|| ||<-5> [[싱크로 소환/튜너|튜너]]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빛|빛]] || [[기계족]] || 1600 || 800 || ||<-5>이 카드가 드래곤족 몬스터의 싱크로 소환에 사용되어 묘지에 보내졌을 경우, 이 카드를 싱크로 소재로 한 싱크로 몬스터의 공격력은 800 포인트 올리고, 엔드 페이즈시에 게임에서 제외된다.|| 드래곤족 싱크로 몬스터의 싱크로 소재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그 싱크로 몬스터를 강화하고 '''턴 종료시에 제외하는''' [[유발효과]]를 가진 하급 [[싱크로 소환/튜너|튜너]] 몬스터. OCG화되면서 효과가 대폭 너프되어 그냥 바보가 되고 말았다. 여전히 [[드래곤족]] 몬스터를 [[싱크로 소환]]했을 시 그 몬스터를 강화시키는 효과를 지니고 있으나, 전투 파괴 내성이 사라져서 '''메리트가 너프된 주제에 디메리트는 더욱 강화되어''' 1턴도 못 버티고 그 턴의 엔드 페이즈에 제외되는 걸로 바뀐 것이 너무나도 치명적이다. 싱크로 소환 자체가 몬스터를 최소 2장 잃으면서 하는 건데 그 손실을 메워주기는 커녕 더 심각하게 만들어버리는 이 카드의 디메리트는 제정신으로 감수할 만한 게 아니다. 결국 디메리트를 고려한다면 오히려 드래곤족 몬스터의 싱크로 소환쪽은 기피되고 보통은 드래곤족 이외의 싱크로 소환을 한다. 문제는 드래곤족 이외의 싱크로 소환을 하자니 이놈은 효과가 전혀 없는 놈이나 다름없게 되어버린다는 것.(…) [[왕궁의 철벽]]이 있다면 일단 괜찮지만 그것도 한계가 있다. 이 카드의 디메리트는 소환된 턴에만 적용되는게 아니라 [[라이트닝 기어]]처럼 매 턴의 엔드 페이즈시 적용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즉 왕궁의 철벽이 날아가는 순간 그 턴에 싱크로 몬스터도 같이 사라져버린다.(…) 사라지는게 제외가 아니라 파괴였으면 소생이라도 시킬 수 있지 그것조차도 안 된다. 일단 [[스타더스트 드래곤]]만 해도 공격력 3300이 되고 [[레드 데몬즈 드래곤]]은 3800까지 올라가니 효과로 파괴하기 어려운 몬스터를 전투 파괴해야 하는 급한 상황이라거나 피니시를 낼 수 있는 상황에서는 효과가 빛을 발할 수 있고 공격 후 [[버스터 모드]]로 디메리트를 회피할 수 있다. [[스크랩 드래곤]]이라면 3600 공격력으로 때린 후 효과로 자기 자신을 파괴하면서 디메리트를 경감하고 상대 카드 1장을 추가로 부술 수 있다. [[일족의 결속]]을 쓰는 기계족 덱에서 일시적으로 드래곤족 싱크로의 힘이 필요할 때 이 카드로 불러내는 사용법도 있다. 그러나 다들 할 수 있는 상황이 한정되어 있고, 버스터 모드라도 아닌 이상 결국 공격력 800 올리려고 손해를 본다는 건 변함이 없기 때문에 이 카드의 효과를 활용하는 건 쉽지 않다. 그러나 효과를 안 쓰면 전술한대로 이놈은 의미가 없다. 공격력이 높고 디메리트가 없는 레벨 4 튜너로는 공격력이 더 높은 [[안개 골짜기의 전사]]가 있고, 빛 속성 레벨 4 튜너에도 공격력이 100 낮긴 하지만 효과가 거의 상위 호환에 디메리트도 없는 [[바이론(유희왕)|바이론 프리즘]], 그리고 디메리트가 될 수도 있지만 묘지 쌓기 효과를 지녔으며 공격력이 100 더 높은 [[라이트로드|라이트로드 어쌔신 라이덴]]이 있다. 기계족 레벨 4 튜너를 찾는다고 해도 [[톱 러너]]나 [[자동기계(유희왕)|자동기계수위 313 "삼일삼"]]이 있다. 결국 이 카드를 쓴다고 하면 이 카드가 [[싱크론]]이고, [[사이버(유희왕)|빛 속성'''이면서''' 기계족]]이라는 점을 모두 활용할 필요가 있다. 높은 공격력으로 하급과의 전투 정도는 가능하고, [[어니스트(유희왕)|어니스트]]나 [[리미터 해제(유희왕)|리미터 해제]]의 서포트를 모두 받는다. [[조율]]은 물론이요 [[초시공전투기(유희왕)#s-2.3|제이드 나이트]]와 [[제넥스 뉴트론]], [[사이버 리페어 플랜트]] 등으로 서치가 쉽다. 같은 조건을 가진 카드로는 [[로드 싱크론]]이 있는데 이녀석은 사실상 레벨 4 튜너로는 운용이 불가능하니 채용 경쟁에서 그리 뒤지지 않는다. 이 모든 조건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는 덱은 역시 빛 속성 기계족 위주의 [[사이버 드래곤]] 덱, [[초시공전투기(유희왕)|초시공전투기]] 덱, [[XYZ 드래곤 캐논]] 덱 등이 있다. 일단 채용했다면 다른 구성원들과 [[사이버(유희왕)|사이버]] 서포트를 공유할 수 있으며, 빛 속성 레벨 4 튜너라는 점을 살려 레벨 8 [[바이론(유희왕)|바이론 엡실론]]이나 [[파샤스|홀리나이트 파샤스]] 등을 싱크로 소환하며 싸우면 된다. 묘지로 가고 나면 [[사이버 트윈 드래곤]]이나 [[빅토리 바이퍼 XX03]] 등을 [[이지튜닝]]으로 강화해 화력을 극대화시키는데 써먹거나 후반에 [[사이버 엘타닌]]의 소재로 사용할 수 있다. 또 [[튜너 비트]] 덱에서도 어태커의 후보가 될 수 있다. 일단 이 덱은 어차피 [[하라는 공부는 안하고|하라는 싱크로 소환은 안 하고]] 그냥 튜너로 싸우기 때문에 이 카드의 디메리트가 그리 신경쓰이지 않으며, 딱히 제약이 없는 하급 튜너 중 2위의 공격력과 빛 속성이라는 점을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래도 여전히 [[라이트로드|라이트로드 어쌔신 라이덴]]이나 [[극성수|극성수 굴팍시]]에게 밀리지만(…) 이 카드에게는 [[조율(유희왕)|조율]]을 쓸 수 있다는 은근히 큰 장점이 있다. 같은 조건의 [[로드 싱크론]]은 공격만 하면 레벨 변경 효과가 강제발동하는게 은근히 걸기적거리니 이 덱에서는 이 카드가 더 낫다. 전투 파괴 내성까지는 안 바라더라도 최소한 제외되는 게 원작처럼 2턴 뒤 스탠바이 페이즈였으면 그래도 드래곤족 싱크로 소환에 써볼만도 했을 것이다. [[스타더스트 드래곤]]의 약점인 맞아죽기 쉽다는 점이 커버되고, 다른 드래곤들의 경우도 어차피 제외되기도 전에 제거당할 가능성도 높은지라 그렇게까지 심한 디메리트는 아니었을 것이다. 제외되지 않고 남아있는 동안 [[새크리파이스 이스케이프]] 수단을 준비할 여유도 갖출 수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현실은 시궁창]]. 어지간하면 이 카드의 효과를 발동시키지 않으려고 할 테니 상관없겠지만(…) 이 카드의 효과는 드래곤족 몬스터의 싱크로 소환에 성공한 타이밍에 묘지에서 발동하는 유발 효과로, 체인 블록을 만든다. 여기서 묘지로 보내져야 하기 때문에 [[차원의 틈]] 같은 게 떠있어서 이 카드가 제외되는 경우에는 강화 효과가 발동되지 않는다. [[유희왕 5D's 오버 더 넥서스]]에서는 어째 빛 속성 천사족 덱을 굴리는 CPU 캐릭터들이 종종 이 카드를 사용한다. 홀리나이트 파샤스 때문이겠지만 사실 이 게임에는 전술한 바이론 프리즘이 수록되어 있기 때문에 굳이 이런 카드를 쓸 필요가 없었다.(…) 바이론 프리즘이 제작 막바지에 추가된 카드라서 그런 것으로 추정된다. 이 사실을 보면 알 수 있듯 사실 저 프리즘이나 [[극성수|극성수 굴팍시]]가 등장하기 전까지만 해도 이 카드는 공격력이 높은 빛 속성 레벨 4 튜너라는 점만으로도 일단 자리는 잡고 있었다. '''[[용기병(스타크래프트 시리즈)|이 카드가 좋아서 그런게 아니라 딱히 다른 카드가 없어서]].''' OCG 효과가 하도 별로여서 그런지 어지간하면 OCG 발매 이후 원작에서도 효과가 OCG에 준거해서 바뀌는데, 이놈은 바뀌지 않았다.(…) 아니, 2번밖에 싱크로 소재로 쓰지도 않았다. 한국 환경에서는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듀얼 터미널]] 1 카드들의 발매가 늦어지는 바람에 초기에는 우습게도 이 카드가 그나마 가장 디메리트가 없는 레벨 4 튜너 중 하나였다.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는 19년 7월 12일 출시된 [[사이버네틱 리벨리온]] 팩에서 OCG 효과로 수록되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심홍의 위기]] || CRMS-KR003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듀얼리스트 팩]] -[[후도 유세이|유성]]편 2- || DP09-KR005 || [[노멀]] || 한국 || || || [[스타터 덱 2010]] || YSD5-KR014 || [[노멀]] || 한국 || || || [[심홍의 위기|CRIMSON CRISIS]] || CRMS-JP003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수록 || || [[듀얼 터미널]] -마굉신 부활!!- || DT04-JP003 ||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노멀]] || 일본 || || || [[듀얼리스트 팩]] -[[후도 유세이|유세이]]편 2- || DP09-JP005 || [[노멀]] || 일본 || || || [[스타터 덱 2010]] || YSD5-JP014 || [[노멀]] || 일본 || || || DUELIST EDITION Volume 3 || DE03-JP069 || [[노멀]] || 일본 || || || [[심홍의 위기|Crimson Crisis]] || CRMS-EN003 ||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수록 || || [[듀얼리스트 팩|Duelist Pack]]: [[후도 유세이|Yusei]] 2 || DP09-EN005 || [[노멀]] || 미국 || || || [[듀얼 터미널|Duel Terminal]] 2 || DT02-EN053 ||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노멀]] || 미국 || || || Duelist League 17 참가상품 || DL17-EN006 || [[레어]] || 미국 || || [[분류:유희왕/OCG/기계족]][[분류:유희왕/OCG/튜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