夏侯和 생몰년도 미상 [목차] [clearfix] == 개요 == [[삼국시대(중국)|삼국시대]] [[위(삼국시대)|조위]]와 [[서진]]의 정치가이자 위의 명장 [[하후연]]의 7남으로 자는 의권(義權). 예주 패국 초현 사람. == [[삼국지(정사)|정사]] == 변설에 능해 논쟁에 재주가 있었으며, 태화 연간(227 ~ 233년)에 관내후가 되었다. 264년에는 촉 멸망 때는 [[사마소]]의 좌사마가 되어 주무와 함께 성도에 사자로 파견되면서 [[종회]]에게 같이 반란을 일으키자는 제의를 받지만 단호하게 거부해 난이 진압된 후에는 이 공으로 향후에 봉해졌으며, 이후에는 하남윤, 광록훈, 태상을 역임했다. [[사마염]] 때 하남윤을 지내 사마염이 병에 걸릴 때 하후화는 [[가충]]에게 두 명의 사위는 친소와 같다면서 마땅히 덕이 있는 사람을 세워야 한다고 해 [[사마유]]를 옹립하라고 권했는데, 사마염이 회복하자 이를 경계해 가충의 병권을 일시 박탈하면서 하후화도 광록훈으로 격하되었다. == [[삼국지연의|연의]] == [[제갈량]]이 오장원에 왔을 때 [[사마의]]의 추천사와 함께 [[하후패]]와 [[하후위]]는 좌우 선봉으로 [[하후혜]]와 하후화는 행군사마가 되어 출진하여 제갈량의 계책에 따라 연전연승하여 사마의가 상방곡에서 계책에 빠지게 되는 원인이 된다. 형과 비슷한 역할을 맡으나 기록이 묘하게 적다. == 미디어 믹스 == === [[코에이]] [[삼국지 시리즈]] ===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Xiahou_He_%28ROTK11%29.png]] || || 삼국지 11 || ||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110.jpg|width=400]] || || 삼국지 12, 13, 14 || [[삼국지 2]]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초반에는 문무겸비 기믹이었으나 통솔과 무력이 점차 낮아지며 후반으로 갈수록 전형적인 문관으로 변모한다. 후기 시리즈 기준으로 [[하후혜]]와 능력치가 비슷하다. [[삼국지 3]]에서는 육지 77, 수지 73, 무력 80, 지력 80, 정치 63, 매력 70에 야망 8, 운 7, 냉정 8, 용맹 6이라 [[하후혜|여섯째 형]]처럼 [[문무겸비]] 기믹의 장수로 등장한다. 연의에서 무예에 능했다고 하는 [[하후위|넷째 형]](무력 75)을 무력으로 압도하는 굴욕을 준 건 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4/무력 51/지력 72/정치 75. 기사, 배반, 고무를 가지고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0/무력 54/지력 72/정치 75/매력 66로 셋째 형 하후혜와 비슷한 능력치다. 특기는 치안, 화시, 고무, 반목. 총 4개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48/무력 51/지력 70/정치 76/매력 64로 평범한 문관이다. [[삼국지 12]]에서는 지력과 정치력이 70대로 그럭저럭 쓸만한 문관형 능력치를 지니고 있다. 열심히 내정을 시켜주면 좋은 장수. 일러스트는 검을 빼 든 상태로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48/51/71/76으로 전작에 비해 지력이 1 하락했다. 특기는 농업 1, 문화 2. 전수특기는 문화이며 전법은 기동강화. 생몰년도가 207~265년으로 설정되어 있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48, 무력 51, 지력 70, 정치 76, 매력 65로 전작에 비해 지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독려, 주의는 명리, 정책은 성벽확장 Lv 3, 진형은 봉시, 충차, 전법은 저지, 고무, 충차,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에 비해 생몰년도가 210~275년으로 변경되었다. === [[영걸전 시리즈]] === [[삼국지 공명전]]에서 [[오장원]] 전투 직후 [[사마의]]가 물러난 후 [[조상(삼국지)|조상]] 4형제와 함께 하후씨 4형제 시리즈로 등장한다. 미성전투에서 손위 형인 하후위는 하후패와 함께 연노기병으로 첫 등장하는 반면, 하후혜화 하후화는 문관 얼굴에 대포차로 등장한다. 형들은 활쏘기와 무예에 능하지만 동생들은 병법에 능하다는 연의의 비평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미성전투에서 [[강유]]와 일기토가 있다. === [[요코야마 미츠테루 삼국지]] === [[파일:하후혜하후화.png]] 사마의에게 간언하는 모습으로 잠시나마 등장한다. [각주] [[분류:조위의 인물]][[분류:서진의 인물]][[분류:초군 하후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