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한국 언어학 올림피아드]]에 출제된 문제를 연도별로 정리하는 문서. == 유의사항 == 2016년 이전의 KLO 문제지는 공개되지 않는다. == KLO 2017 == ||<-4> {{{#white KLO 2017[br]개최일: 2017.2.18}}} || ||<-4> [[https://krlo.co.kr/wp-content/uploads/booklets/klo-2017-prob.pdf|문제지]] [[https://edu.krlo.co.kr/problems/klo/klo-2017/klo-2017-sol/|해설]] || || {{{#black 번호}}} || 배점 || 소재 || || {{{#black 1}}} || 9 || 한국어 동사 || || {{{#black 2}}} || 5 || [[터키어]] || || {{{#black 3}}} || 11 || 루간다어 || || {{{#black 4}}} || 10 || 다니어 || || {{{#black 5}}} || 15 || 캄어 || || {{{#black 6}}} || 16 || [[헝가리어]] || || {{{#black 7}}} || 9 || 영어 명사화 || || {{{#black 8}}} || 12 || 영어 의미관계 || || {{{#black 9}}} || 13 || 영어 복수형 || == KLO 2018 == ||<-4>
{{{#white KLO 2018[br]개최일: 2018.3.17}}} || ||<-4> [[https://krlo.co.kr/wp-content/uploads/booklets/klo-2018-prob.pdf|문제지]] [[https://eonol.com/problems/klo/klo-2018/klo-2018-sol/|해설]] || || {{{#black 번호}}} || 배점 || 소재 || || {{{#black 1}}} || 10 || 한국어와 루간다어 || || {{{#black 2}}} || 10 || 콘조어 || || {{{#black 3}}} || 10 || 한국어 받침 || || {{{#black 4}}} || 10 || [[아랍어]] || || {{{#black 5}}} || 10 || 후아어 || || {{{#black 6}}} || 10 || [[몽골어]] || || {{{#black 7}}} || 10 || [[인도네시아어]][br][[힌디어|힌디]]·[[우르두어]][br][[터키어]] || || {{{#black 8}}} || 10 || 함의 관계 || || {{{#black 9}}} || 10 || 중의성 || || {{{#black 10}}} || 10 || 문법 규칙 || == KLO 2018/2019 == ||<-4>
{{{#white KLO 2018/2019[br]개최일: 2018.11.10}}} || ||<-4> [[https://krlo.co.kr/wp-content/uploads/booklets/klo-2019-prob.pdf|문제지]] [[https://krlo.co.kr/wp-content/uploads/booklets/klo-2019-sol.pdf|해설]] || || {{{#black 번호}}} || 배점 || 소재 || || {{{#black 1}}} || 8 || 한국어와 [[IPA]] || || {{{#black 2}}} || 8 || [[핀란드어]] || || {{{#black 3}}} || 8 || 한국어 넣다/끼다/놓다 || || {{{#black 4}}} || 10 || 아리아바타 수사 || || {{{#black 5}}} || 10 || 서부 크리 문자 || || {{{#black 6}}} || 10 || [[중세 국어]][br][[동남 방언|경북 북부 방언]] || || {{{#black 7}}} || 10 || [[몽골어]] || || {{{#black 8}}} || 12 || 유한 상태 기계 || || {{{#black 9}}} || 12 || 상하이어 || || {{{#black 10}}} || 12 || 콰자어 || 2019년부터 국가대표 선발전을 [[아시아 태평양 언어학 올림피아드]]가 대체하게 되면서 KLO의 개최 시기가 변경되었다. 그와 더불어 문제 형식이 IOL에 가까워지는 등 깔끔하게 개편되었다. == KLO 2019/2020 == ||<-4>
{{{#white KLO 2019/2020[br]개최일: 2019.11.10}}} || ||<-4> [[https://krlo.co.kr/wp-content/uploads/booklets/klo-2020-prob.pdf|문제지]] [[https://krlo.co.kr/wp-content/uploads/booklets/klo-2020-sol.pdf|해설]] || || {{{#black 번호}}} || 배점 || 소재 || || {{{#black 1}}} || 9 || 코베어와 톡 피신 || || {{{#black 2}}} || 9 || 소말리어 || || {{{#black 3}}} || 12 || 사푸안어 || || {{{#black 4}}} || 12 || [[조지아어]] || || {{{#black 5}}} || 13 || 조선어 신 철자법 || || {{{#black 6}}} || 15 || 중국어 로마자 표기법 || || {{{#black 7}}} || 16 || 하이다어 || 이때부터 문제 수가 7~8문제로 변경되었다. == KLO 2020/2021 == ||<-4>
{{{#white KLO 2020/2021[br]개최일: 2020.11.29}}} || ||<-4> [[https://krlo.co.kr/wp-content/uploads/booklets/klo-2021-prob.pdf|문제지]] [[https://krlo.co.kr/wp-content/uploads/booklets/klo-2021-sol.pdf|해설]][* 어째서인지 공개되어 있지 않다.] || || {{{#black 번호}}} || 배점 || 소재 || || {{{#black 1}}} || 10 || 아베나키어 || || {{{#black 2}}} || 10 || 현대 [[그리스어]] || || {{{#black 3}}} || 10 || 하라리어 || || {{{#black 4}}} || 10 || [[말라가시어]] || || {{{#black 5}}} || 15 || 폴리네시아어군 || || {{{#black 6}}} || 15 || 쯔놈머이 문자[br]쯔꾸옥응으 || || {{{#black 7}}} || 15 || 촐어 || || {{{#black 8}}} || 15 || 야구 기록지 || 8번 '''야구 기록지''' 문제가 수많은 참가자들을 고생하게 만든 주제에 답지마저도 공개되지 않은 것으로 악명이 높다. 또한 이때부터 문제의 배점이 통일되었다. == KLO 2021/2022 == ||<-4>
{{{#white KLO 2021/2022[br]개최일: 2021.11.14}}} || ||<-4> [[https://krlo.co.kr/wp-content/uploads/booklets/klo-2022-prob.pdf|문제지]] [[https://krlo.co.kr/wp-content/uploads/booklets/klo-2022-sol.pdf|해설]] || || {{{#black 번호}}} || 배점 || 소재 || || {{{#black 1}}} || 10 || 고전 [[아르메니아어]] || || {{{#black 2}}} || 10 || 타블라어 || || {{{#black 3}}} || 10 || 바이 문자 || || {{{#black 4}}} || 10 || [[광동어]]와 [[베트남어]] || || {{{#black 5}}} || 15 || 항랑츠어 || || {{{#black 6}}} || 15 || 웨웨틀라 테페와어 || || {{{#black 7}}} || 15 || 아삼어 || || {{{#black 8}}} || 15 || 훈민정음언해 || 굉장히 좋은 평가를 받는 기출 중 하나이다. KLO를 맛보고 싶다면 이 기출을 풀어보자. == KLO 2022/2023 == ||<-4>
{{{#white KLO 2022/2023[br]개최일: 2023.1.18}}}[* 평소에 비해 이례적으로 늦게 개최되었다. 다음 KLO부터는 다시 원래 개최되던 시기에 개최되고 있다.] || ||<-4> [[https://krlo.co.kr/wp-content/uploads/booklets/klo-2022-prob.pdf|문제지]] [[https://krlo.co.kr/wp-content/uploads/booklets/klo-2022-sol.pdf|해설]] || || {{{#black 번호}}} || 배점 || 소재 || || {{{#black 1}}} || 15 || 고대 영어 || || {{{#black 2}}} || 15 || [[주음부호]]와 대어언문 || || {{{#black 3}}} || 15 || 우락라워이어와 르장어 || || {{{#black 4}}} || 15 || 트리오어 || || {{{#black 5}}} || 15 || [[아일랜드어]] || || {{{#black 6}}} || 15 || 가구주어 || 이때부터 문제의 수가 6문제로 변경되고 난이도 상승이 이루어졌다. 특히 6번 가구주어 문제는 거진 [[아시아 태평양 언어학 올림피아드|APLO]] 수준으로 어려워 당해 참가자들 사이에서 말이 많았다. == KLO 2023/2024 == ||<-4>
{{{#white KLO 2023/2024[br]개최일: 2023.11.12}}} || ||<-4> [[https://krlo.co.kr/wp-content/uploads/booklets/klo-2024-prob.pdf|문제지]] [[https://krlo.co.kr/wp-content/uploads/booklets/klo-2024-sol.pdf|해설]] || || {{{#black 번호}}} || 배점 || 소재 || || {{{#black 1}}} || 15 || 르완다어 || || {{{#black 2}}} || 15 || 남부 키시어 || || {{{#black 3}}} || 15 || 아제르바이잔어 || || {{{#black 4}}} || 15 || 아르바니티카어 || || {{{#black 5}}} || 20 || 케트어 || || {{{#black 6}}} || 20 || [[타밀 문자]][br][[싱할라어]] || 전년도의 가구주어 문제에 이어서 '''타밀 문자''' 문제가 시간을 많이 뺏는 문제로 출제되었다. 그래서인지 만점은 20점이지만 최고점이 5점(...)일 정도로 버린 참가자가 많았다. == KLO 공식 연습문제 == ||<-4>
{{{#white KLO 공식 연습문제}}} || ||<-4> [[https://krloedu.files.wordpress.com/2018/11/samples-ko-20181106.pdf|문제지]] [[https://krloedu.files.wordpress.com/2018/11/samples-sol-ko-20181106.pdf|해설]] || || {{{#black 번호}}} || 난이도 || 소재 || 출제자 || || {{{#black 1}}} || 쉬움 || 고대 [[그리스어]] || 토도르 체르벤코프 || || {{{#black 2}}} || 쉬움 || 아라곤어 || 브루노 라스토리나 || || {{{#black 3}}} || 쉬움 || 일본 점자 || 패트릭 리텔 || || {{{#black 4}}} || 쉬움 || 랄라나 치난텍어 || 레이첼 노드링거 || || {{{#black 5}}} || 쉬움 || [[페르시아어]] || 율리아 마주로바 || || {{{#black 6}}} || 쉬움 || 오오드함어 || 토머스 페인 || || {{{#black 7}}} || 중간 || [[암하라어]] || 앨버트 빅포드 등 || || {{{#black 8}}} || 중간 || [[카자흐어]] || 표트르 줍코프 || || {{{#black 9}}} || 중간 || 투피어와 [[과라니어]] || 빅토리아 플로리우 || || {{{#black 10}}} || 중간 || [[바스크어]] 수사 || 안나 파젤스카야 || || {{{#black 11}}} || 중간 || [[하와이어]] || 양재영[* IOL 2016에서 한국 대표팀 소속으로 금메달(탑골드)를 수상한 바 있다. 현재는 KLO 조직위원회에 속해 있다.] || || {{{#black 12}}} || 중간 || [[바스크어]] 친족어 || 안나 파젤스카야 || || {{{#black 13}}} || 어려움 || [[아이슬란드어]] 친족어 || 호브송 카라페투 || || {{{#black 14}}} || 어려움 || 마남어 || 패트릭 리텔 || || {{{#black 15}}} || 어려움 || [[과라니어]] || 보지다르 보자노프 || || {{{#black 16}}} || 어려움 || 아이마라어 || 패트릭 리텔 || || {{{#black 17}}} || 어려움 || [[도기보나]] || 브루노 라스토리나 || || {{{#black 18}}} || 어려움 || 멘디·앙갈어 || 라잔 달랄 || == 기타 == KLO 신청자를 대상으로 하는 겨울 통신학교를 수강하면 추가 연습문제를 받을 수 있다. 대부분 다른 나라의 기출을 번역한 것이며, 가끔 IOL 기출도 준다. == 관련 문서 == * [[언어학 올림피아드]] * [[아시아 태평양 언어학 올림피아드 #s-4|APLO 기출문제 목록]] * [[국제 언어학 올림피아드/기출문제|IOL 기출문제 목록]] [[분류:한국올림피아드]][[분류:언어교육]][[분류: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