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국의 개신교 선교단체)] [include(틀:한국교회총연합)] ||<-2> '''{{{+3 한국대학생선교회}}}[br]Korea Campus Crusade for Christ'''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한국대학생선교회 신 로고.jpg|width=100%]]}}} || || '''영문명칭''' ||Korea '''C'''ampus '''C'''rusade of '''C'''hrist || || '''한문명칭''' ||韓國大學生宣敎會 || || '''약칭''' ||CCC || || '''설립연도''' ||[[1958년]] || || '''소속국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8]] '''[[대한민국]]''' || || '''소속교단''' ||[[파일:카이캄.png|width=40]] [[한국독립교회선교단체연합회]]|| || '''소속단체''' ||'''CRU''' || || '''설립자''' ||[[김준곤(목사)|김준곤 목사]] || || '''대표''' ||박성민 목사 || || '''표어''' ||'''오늘의 학원 복음화는 내일의 세계 복음화!''' || || '''비전''' ||'''Movements Everywhere[br]{{{-2 (영적 운동을 모든 곳에)}}}''' || ||<|2> '''위치''' ||'''본부''': [[서울특별시]] [[종로구]] 백석동1가길 2-8 ([[부암동(종로구)|부암동]]) ||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한국대학생선교회, 높이=224px, 너비=100%)]}}} || || '''링크''' || [[http://nh.kccc.org/|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height=20]]]] / [[https://www.youtube.com/user/soontvccc/videos| [[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20]]]] / [[https://www.facebook.com/cccvlm|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height=20]]]] / [[https://www.instagram.com/cccgram/|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height=20]]]]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n, Build, Send. Movements Everywhere(so that everyone knows who truly follows Jesus.) > ---- > CCC의 기본 정신. 원래는 win, build, send였으며, 빌 브라이트 박사 사후에 추가됐다. 한국대학생선교회는 [[개신교]] [[선교단체]]이다. [[한국]] 한정으로는 [[두문자어]]인 KCCC(Korea Campus Crusade for Christ) 또는 CCC(Campus Crusade for Christ)로 불리는데, 여기에는 특별한 사연이 있다. 한국 CCC 초기 대표 [[김준곤(목사)|김준곤 목사]]가 바로 국제 CCC의 창립자인 빌 브라이트 박사와 친우였으며,[* [[김준곤(목사)|김준곤 목사]]가 수학하던 [[풀러 신학교]]에서 빌 브라이트 박사가 [[김준곤(목사)|김준곤 목사]]의 [[간증]]을 들었다고 한다.] 한국 CCC가 국제 CCC 지부 중 원로급이기 때문이다.[* 국제 CCC는 [[1951년]], 한국 CCC는 첫번째 해외지부로 [[1958년]]에 개척되었다. 한국 CCC는 국제 CCC에서 2번째로 크다.] 또한 한국의 경우, ''''[[십자군]]''''이라는 단어의 부정적 의미에 대해 영향을 받지 않는 편이고, CCC라는 이름으로 이미 자리 잡았기 때문에 이름을 바꾸는 것이 별로 이득이 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 대학생선교회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Campus_Crusade_Logo.jpg|width=100%]] || || '''국제 CCC 로고''' || [[http://cru.org/|국제 CCC 홈페이지]] Campus Crusade for Christ.[* 뜻만 보면 '대학을 정복하러 온 [[십자군]]'이라 거부감이 심해 다른 나라들에서는 이름을 바꿨다.] 국제 개신교 선교단체이다. '빌 브라이트(Bill Bright)'로 알려진 윌리엄 브라이트(William R. Bright, 1921–2003) 박사와 보넷 재커리 브라이트(Vonette Zachary Bright, 1926–2015) 여사가 [[1951년]]에 [[UCLA]]에서 설립했으며, [[2012년]] 기준으로 191개 국가에 지부가 있다. [[본부]]는 [[미국]] [[플로리다주]] [[올랜도(도시)|올랜도]]에 있으며, 현재 재임 중인 3대 총재는 스티브 셀러스 목사이다.[* [[2020년]] [[11월 3일]] 취임.][* 2대 총재는 스티브 더글러스 박사이며, 기존에 있던 CCC의 기본 정신 Win, build, send에 Movements Everywhere(영적 운동을 모든 곳에)를 추가했다.] 하지만 CCC는 변화의 바람면에서도 그렇고, 정식 명칭에 포함된 ''''[[십자군]](Crusade)''''의 부정적 의미로 인해 같은 CCC라 하더라도 지부마다 명칭이 다르다. [[캐나다]] 지부는 P2C(Power 2 Change), [[유럽]]-[[중동]]-[[아프리카]] 쪽은 AGAPE[* [[그리스어]]로 신적인 사랑을 뜻하는 ''''agape([[아가페]])''''에서 따왔다.], 남태평양 섬지역[* 피지, 바누아투, 통가, 사모아, 솔로몬제도 등]은 Student Life라고 한다. CCC가 시작된 [[미국]]에서는 [[2012년]]부터 CRU[* [[미국]]에서 CCC 관련 사람들이 CCC를 줄여서 흔히들 Cru라고 불렀다고 한다. 이 약칭을 공식화한 것이다. [[한국]] CCC에서 일반적으로 1학년 2학기부터 사용하는 Cru.com은 국제 CCC에서 만든 만국공용교재이다. 3–4학년 때부터 사용하는 Cru2도 마찬가지. [[미국]] 지부에서 만들었음을 이름에서 짐작할 수 있다.][* [[미국]]에서 활동하는 한국 CCC, 즉 한국 CCC의 미주지부는 Soon Movement라고 불린다.]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 역사 == [[1958년]], [[김준곤(목사)|김준곤]]([[金]][[俊]][[坤]], 1925–2009) 목사가 국제 CCC 지부 중 2번째로 창립했다. 처음엔 김 목사의 고향인 [[전라남도]] [[신안군]]에서 가까운 [[광주광역시|광주]]지구에서 시작하였으나, [[대구]]를 거쳐 [[서울]]에도 지구를 만들었다. [[1970년]] 정동 CCC 회관이 완공되자 CCC 소속이지만, 소속 [[교회]]가 없는 학생들을 위한 주일채플(주일 [[예배]])을 시작하였다. [[1995년]] [[6월]]에 정동 CCC 회관을 매각하고, [[1984년]]에 완공한 정동 훈련원을 개수하여[* [[2008년]]에 다시 개수하여 현재의 수준으로 바뀌었다. 이 외에도 [[2009년]]에 기념관이 신축되었으며, [[2022년]]에 D동이 신축되었다. 학생들에게 개방하는 건물은 A동이며, B/C/D동은 행정부서를 비롯한 업무동이다.] 본부 회관으로 삼았고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서울시]] [[종로구]] 백석동1가길 2-8. 지번주소로는 부암동 36-1][* 舊 정동회관 자리에는 정동빌딩( [[서울시 중구]] 정동길 21-15)이 신축되었다. 정동 난타극장과 인접해서 둘을 헷갈리는데, 난타극장은 구 MBC 사옥인 경향아트힐 1층(중구 정동길 3)에 있었으며, [[2013년]] [[1월]]에 철수하고, [[충정로]]로 이전하였다.] == 대표 == * 명예총재 * [[김준곤(목사)|김준곤]] 목사(2003~2009) * 총재 * [[김준곤(목사)|김준곤]] 목사 (1958~2003) * 대표 * 박성민 목사(2003~ ) == 조직 == 설립된 지 60년이 넘은 [[선교단체]]인 만큼 조직이 상당히 크다. 크게 SLM, GSM, P2C 3개의 영역으로 나뉜다. 본부 사역은 총괄 운영 및 기획조정, 지원 업무를 담당한다. 대표 직속부서인 ND(National Director's Office)[* 대표 [[비서실]], 문서 출판부(교재 제작), GCTC(신입간사훈련원), ELTS(전도리더십훈련학교), 기도부, MRD(사역연구소), 미래사역연구소, NK사역부(대북지원)이 존재한다.], [[간사]] 및 공동체 지원을 맡는 HR(Human Resource)[* Staff Administration(인사행정 및 관리), Mission HR([[선교사]] 파견 및 관리), Leadership Development(역량 개발 및 교육훈련), Member Care([[간사]] 지원), BPMT(팀사역 지원), Crisis Management(위기관리 및 대응)], OPS[* [[전산]], [[행정]] 및 [[자료]] 수집과 관리], 재정[* [[간사]] 및 지구 후원 관리와 재정 운영]으로 구성되어 있다. [[캠퍼스]]는 아래에 서술된 각 광역 및 지구 사역이며, 해외(GSM)는 CCC가 파견한 해외선교사 및 선교, A6, STINT 등이다. P2C는 대학교 사역을 넘어 사회 사역 위주[* 나사렛 사역, BI(외국인사역), 교수선교회, AIA(스포츠사역), TIA(태권도사역), 음악선교부, 아가페선교부(의료) 등이 존재한다. 더 나아가 LLM(졸업생 평신도), GCM(교회), SSM(지역 사회와 지구 공동체) 등이 존재한다.]이며, VLM(온라인, 미디어)이다. === 광역별 지구 목록 === 한 지구가 여러 도시를 맡기도 한다. 예를 들어 서울지구에는 [[서울특별시]] 뿐 아니라, [[고양시]]에 위치한 [[대학]]이 소속되었다. 또한, 캠퍼스의 상황 등에 따라 지구간의 통/폐합[* [[21세기]] 들어 대학 통폐합이 이루어졌기 때문. [[전남]]에서 [[순천]]+[[여수]]의 통합이 이루어져 순천여수지구로 개편되었고, [[강원]]에서는 [[강릉]]+[[속초]]의 통합이 이루어져 강릉속초지구로 개편되었다. 남원지구는 [[서남대학교]] 폐교 때문에 지구가 문을 닫았다.]이나 분립[* [[대학교]]가 1, 2개 밖에 없는 [[지역]]은 인접한 지구가 [[간사]]를 파견하여 관리하거나, 1주일에 1~2번씩 출장을 가서 관리했다. [[1980년대]]부터 [[대학]]의 숫자가 늘어나면서 [[지방]]을 중심으로 하여 지구의 분립이 이루어졌다. 분립은 현지 사역의 상황을 두고 지역 나사렛들이나 [[간사]]들의 요청이 지속적으로 있으면, [[김준곤(목사)|김준곤 총재]]의 승인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사역]] 중인 [[간사]]를 [[본부]]에서 [[인사이동]]을 통해 분립 지구로 파견시켰다. 대구지구의 경우는 [[2012년]]에 구 대구지구 회관의 인원 수용 문제로 대구지구와 경산지구로 총단과 [[채플]]이 분립된 적이 있었으나, 행정적인 운영의 어려움으로 인해 [[2013년]]에 다시 통합되었다.]도 이뤄진다. * '''[[서울특별시|서울]]''' * '''서울지구 - [[1958년]] 개척.''' 지구로만 따지자면 한국 CCC 최대 규모. 유이하게 한 광역에 한 지부만 속한다. 그래서 각 지부로 나뉘는데, 각 지부가 웬만한 지구 1개 규모에 맞먹는다. 규모가 원체 크다 보니 여름수련회 등 행사에 '서울지구'가 아니라 서울동지부, 서울서지부 등 지부별로 행동한다. 이후 [[2022년]]부터는 지부를 다시 1, 2팀으로 분리하여 팀 구조로 개편이 되었다. 개편 이후에는 '지부'가 아닌 '1/2팀'을 붙여서 각 팀을 지칭한다. (ex. 동1팀, 서2팀) 지방대 학생의 숫자가 전반적으로 줄어든지라 서울지구의 각 팀의 숫자가 1개 소규모 지구 수준의 규모이다. * '''서울동지부''' * 1팀: [[서일대학교]], [[세종대학교]], [[한양대학교]], [[한양여자대학교]] * 2팀: [[건국대학교]] * '''서울서지부''' * 1팀: [[감리교신학대학교]], [[명지전문대학]], [[명지대학교/인문캠퍼스|명지대학교(인문캠퍼스)]], [[서강대학교]], [[연세대학교]], [[한국방송예술교육진흥원]] * 2팀: [[경기대학교]](서울), [[농협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중부대학교]], [[추계예술대학교]], [[항공대학교]], [[홍익대학교]] * '''서울남지부''' * 1팀: [[서울대학교]], [[숭실대학교]], [[서울교육대학교]], [[중앙대학교]] * 2팀: [[백석예술대학교]], [[동양미래대학교]], [[강서대학교]], [[총신대학교]] * '''서울북지부''' * 1팀: [[고려대학교]], [[동덕여자대학교]], [[서경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 2팀: [[국민대학교]], [[덕성여자대학교]], [[한성대학교]] * '''서울중앙지부''' * 1팀: [[배화여자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 2팀: [[동국대학교]], [[상명대학교]], [[숭의여자대학교]] * '''서울북동지부''' * 1팀: [[삼육대학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여자대학교]], [[한국성서대학교]] * 2팀: [[경희대학교]][* 인접한 4년제 각종학교인 [[한국예술종합학교]]도 통합되어 경희한예종CCC로 활동], [[광운대학교]], [[인덕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 서울아가페: 서울지구와 협력관계, [[의예과]], [[간호학과]] 등 의료 계열 과들로 구성. 서울간호대 같이 아가페에 속한 학교도 있다. * '''[[경기도|경기]]·[[인천광역시|인천]]''' * '''인천지구 - [[1973년]] 개척''' * [[경인교육대학교]], [[경인여자대학교]], [[인천대학교]], [[인하공업전문대학]], [[인하대학교]], [[청운대학교]] * '''수원지구'''[* 수원시 주변 지역인 화성과 오산 소재의 대학에서도 사역하고 있다.] '''- [[1978년]] [[3월]] 개척''' * [[경기대학교]](수원), [[경희대학교]](국제), [[동남보건대학교]],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 [[수원대학교]], [[수원과학대학교]], [[수원여자대학교]], [[아주대학교]], [[오산대학교]], [[장안대학교]], [[한신대학교]], [[협성대학교]] * '''성남지구 - [[1990년]] [[10월]] 개척'''[* 원래 경기 광역의 성남지구였는데, [[2013년]] 서울지구와 통폐합되어 서울성남지부로 운영되었다. 이후 [[2019년]] 이전에 다시 성남지구로 환원되었다.] * [[가천대학교]](글로벌), [[동서울대학교]], [[신구대학교]], [[을지대학교]](성남), [[서울장신대학교]] * '''안양지구 - [[1989년]] [[10월]] 개척'''[* [[안양시]] 주변 지역인 [[군포시]], [[의왕시]] 소재의 [[대학]]에서도 사역하고 있다.] * [[한국교통대학교]](의왕), [[계원예술대학교]], [[성결대학교]], [[안양대학교]], [[연성대학교]], [[한세대학교]], [[대림대학교]] * '''용인지구 - [[1983년]] [[9월]] 개척''' * [[강남대학교]], [[단국대학교]], [[명지대학교/자연캠퍼스|명지대학교(자연캠퍼스)]], [[용인예술과학대학교]], [[용인대학교]], [[청강문화산업대학교]], [[칼빈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 * '''안산지구 - [[1995년]] [[9월]] 개척'''[* [[안산시]] 주변 지역인 [[시흥]] 소재의 [[대학]]에서도 사역하고 있다.] * [[한국공학대학교]], [[경기과학기술대학교]],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한양대학교]](ERICA), [[서울예술대학교]], [[신안산대학교]], [[안산대학교]] * '''평택안성지구 - [[1996년]] [[3월]] 개척'''[* 대외적으로는 '''평안지구'''라 불릴 때가 많다. 둘을 줄이면, [[성경]]에도 많이 나오는 '''[[평안]]'''이라는 말과 같기 때문. 복수의 지명이 들어간 다른 지구와 달리 처음부터 두 지역을 관할하던 지구였다.] * [[평택대학교]], [[중앙대학교]](안성), [[한경대학교]], [[동아방송예술대학교]] * '''부천지구 - [[1997년]] [[3월]] 개척'''[* 유일하게 [[성공회대]]만 [[서울]]에 속해 있다. 지구들 중에서 가장 근접한 지구로 4개의 전철역에 모든 [[캠퍼스]]가 위치해있다.] * [[가톨릭대학교]], [[부천대학교]], [[서울신학대학교]], [[성공회대학교]], [[유한대학교]] * '''의정부지구 - [[1997년]] [[3월]] 개척'''[* [[고양시]]를 제외한 [[경기도]] 북부권([[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에 있는 모든 [[대학]]이 속한다. [[고양시]]는 서울서지부 소속.][* 개척 당시에는 의정부 신흥대학(現 [[신한대]] 1캠), [[경복대학교]], [[대진대학교]]만 있었으나, 이후 [[서정대]] 개교(2003), [[한북대]] 개교(2004/現 신한대 2캠)가 이루어지고, [[미군기지]] 반환사업 등으로 인해 의정부권에 [[지방대]]들의 진출로 인해 [[캠퍼스]]들이 [[개교]]하면서 [[캠퍼스]]의 수가 늘었다. 특히 [[경동대]]는 [[고성군(강원특별자치도)|고성군]]/[[속초시]]의 캠퍼스를 정리하고, [[양주시]]/[[원주시]]로 이전하면서 속초지구의 강릉지구 통합으로 이어진다.] * [[경동대학교]], [[경민대학교]], [[경복대학교]], [[대경대학교]], [[대진대학교]], [[동양대학교]], [[서정대학교]], [[신한대학교]], [[예원예술대학교]], [[웅지세무대학교]], [[을지대학교]], [[차의과학대학교|차의과대학교]] * '''[[강원특별자치도|강원]]''' * '''강릉속초지구 - [[1971년]] [[6월]] 개척'''[* [[1996년]] [[3월]], 강릉지구에서 [[동우대학]]과 [[관동대학교]] 양양캠퍼스를 담당하는 속초지구 분리. [[2013년]] [[2월]], 강릉지구 - 속초지구 재통합.] * [[가톨릭관동대학교]], [[강릉원주대학교]], [[강릉영동대학교]] * '''춘천지구 - [[1969년]] [[11월]] 개척''' * [[강원대학교]], [[춘천교육대학교]], [[한림대학교]], [[한림성심대학교]] * '''원주지구 - [[1973년]] [[5월]] 개척''' * [[강릉원주대학교]], [[경동대학교]], [[상지대학교]], [[상지영서대학교]], [[송호대학교]],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한라대학교]] * '''삼척지구 - [[1991년]] [[1월]] 개척'''[* [[삼척시]] 주변 지역인 ~~[[동해]]~~, [[태백]] 소재의 [[대학]]에서도 [[사역]]하고 있다.] * [[강원대학교]] 삼척캠퍼스, 도계캠퍼스, [[강원관광대학교]] * '''[[충청남도|충남]]·[[세종특별자치시|세종]]''' * '''대전지구 - [[1959년]] [[8월]] 개척''' * [[건양대학교]], [[대전과학기술대학교]], [[대전대학교]], [[대전보건대학교]], [[목원대학교]], [[배재대학교]], [[우송대학교]], [[중부대학교]], [[충남대학교]], [[침례신학대학교]],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한남대학교]], [[한밭대학교]] * '''공주지구 - [[1959년]] [[10월]] 개척''' * [[공주교육대학교]], [[공주대학교]], [[한국영상대학교]] * '''천안지구 - [[1973년]] 개척'''[* [[천안시]] 주변 지역인 [[아산]] 소재의 [[대학]]에서도 [[사역]]하고 있다.] * [[공주대학교]](예산, 천안), [[나사렛대학교]], [[남서울대학교]], [[단국대학교]](천안), [[백석대학교]], [[백석문화대학교]], [[상명대학교]](천안), [[순천향대학교]], [[연암대학교]], [[호서대학교]](천안, 아산) * '''세종지구 - [[1997년]] [[4월]] 개척'''[* [[1997년]] [[4월]], 조치원지구로 개척. [[2012년]] [[3월]] 세종지구로 변경. '''[[대한민국]]에서 가장 마지막으로 개척된''' CCC 지구이다.] *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 * '''홍성지구 - [[1996년]] [[11월]] 개척''' * [[신성대학교]], [[한서대학교]], [[혜전대학교]], [[청운대학교]] * '''[[충청북도|충북]]''' * '''청주지구 - [[1966년]] [[6월]] 개척'''[* [[청주시]] 주변 지역인 [[증평]], [[음성]] 소재의 [[대학]]에서도 [[사역]]하고 있다.] * [[꽃동네대학교]], [[서원대학교]], [[우석대학교]], [[유원대학교]], [[청주교육대학교]], [[청주대학교]], [[충북대학교]], [[충북도립대학교]],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충청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 [[한국교통대학교]](증평) * '''충주지구 - [[1984년]] [[1월]] 개척''' * [[강동대학교]], [[건국대학교]](글로컬), [[극동대학교]], [[한국교통대학교]](충주) * '''제천지구 - [[1992년]] [[1월]] 개척''' * [[대원대학교]], [[세명대학교]] * '''[[광주광역시|광주]]·[[전라남도|전남]]''' * '''광주지구 - [[1958년]] 개척''' - 가장 먼저 개척된 곳으로 이는 CCC를 만든 [[김준곤(목사)|김준곤 목사]]의 사역지가 이곳이었기 때문. 그래서인지 CCC는 1958이라는 숫자를 중요하게 생각한다. EX)1958샵 등. * [[광신대학교]], [[광주교육대학교]], [[광주대학교]], [[광주보건대학교]], [[광주여자대학교]], [[기독간호대학교]], [[남부대학교]], [[동강대학교]], [[동신대학교]], [[서영대학교]], [[송원대학교]], [[전남대학교]], [[조선간호대학교]], [[조선대학교]], [[호남대학교]] * '''순천여수지구(순수지구) - [[1971년]] [[1월]] 개척'''[* [[1972년]] [[12월]]에 여수지구가 세워졌으나, 두 지구가 통합하면서 순천여수지구로 개칭되었다. [[순천]]의 설립시기가 더 빨랐고, 순천여수를 줄여 '순수하다.'의 준말인 '''[[순수]]'''가 되기 때문에 [[순천]]이 더 앞에 들어와 순수지구로 불린다.] * [[광양보건대학교]], [[순천대학교]], [[전남대학교]] 여수캠퍼스, [[제일대학교]], [[청암대학교]], [[한영대학교]] * '''목포지구 - [[1964년]] [[3월]] 개척''' * [[동아보건대학교]], [[목포가톨릭대학교]], [[목포과학대학교]], [[목포대학교]], [[목포해양대학교]], [[세한대학교]], [[초당대학교]] * '''[[전라북도|전북]]'''[* [[1996년]] [[11월]]에 [[서남대학교]]를 기반으로 남원지구가 개척되었으나, [[서남대학교|해당 대학]]이 막장의 끝을 보여주다가 [[폐교]]로 이어지면서 [[서남대]]가 사역지이던 남원지구까지 문을 닫았다.] * '''전주지구 - [[1958년]] 개척''' * [[예수대학교]], [[우석대학교]](전주), [[전북대학교]], [[전주교육대학교]], [[전주기전대학]], [[전주대학교]], [[전주비전대학교]], [[한일장신대학교]] * '''익산지구 - [[1971년]] 개척''' * [[백제예술대학교]], [[원광대학교]], [[원광보건대학교]], [[전북대학교]]([[익산]]) * '''군산지구 - [[1978년]] [[4월]] 개척''' * [[군산간호대학교]], [[군산대학교]], [[군장대학교]], [[서해대학교]], [[호원대학교]] * '''[[부산광역시|부산]]·[[울산광역시|울산]]·[[경상남도|경남]]''' * '''부산지구 - [[1960년]] [[8월]] 개척'''[* [[부산광역시]] 주변 지역인 [[김해]], [[양산]] 소재의 [[대학]]에서도 [[사역]]하고 있다.] * [[가야대학교]], [[경남정보대학교]], [[경성대학교]], [[고신대학교]], [[동명대학교]], [[동서대학교]], [[동아대학교]], [[동의대학교]], [[동주대학교]], [[부경대학교]], [[부산교육대학교]], [[부산대학교]], [[부산외국어대학교]], [[신라대학교]], [[인제대학교]], [[한국해양대학교]] * 부산아가페 - 부산지구와 협력관계에 있다 * '''창원지구 - [[1973년]] [[9월]] 개척'''[* 舊 마산지구. [[마산]]-[[창원]]-[[진해]] 통합 이후에 창원지구로 개명되었다. 사랑방 체계가 잘 갖춰진 지구이다.] * [[경남대학교]], [[마산대학교]], [[창신대학교]], [[창원대학교]] * '''울산지구 - [[1978년]] [[3월]] 개척''' * [[울산과학기술원]](UNIST), [[울산과학대학교]], [[울산대학교]], [[영산대학교]], [[춘해보건대학교]] * '''진주지구 - [[1970년]] 개척'''[* [[진주시]] 주변 지역인 [[거제]], [[사천]] 소재의 [[대학]]에서도 [[사역]]하고 있다.] * [[거제대학교]], [[경상국립대학교]], [[진주교육대학교]], [[진주보건대학교]], [[연암공과대학교]] * '''[[대구광역시|대구]]·[[경상북도|경북]]''' * '''대구지구 - [[1958년]] 개척'''[* 매주 [[금요일]] 아침마다 [[축구]]전도모임을 한다.][* [[대구광역시]] 주변 지역인 [[경산]] 소재의 [[대학]]에서도 [[사역]]하고 있다. 전술했듯이 2012년에 대구지구와 경산지구로 분리했다가 1년만에 다시 통합했다.] * [[경북대학교]], [[경일대학교]], [[계명대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 [[대구과학대학교]], [[대구교육대학교]], [[대구대학교]], [[대구보건대학교]], [[대구한의대학교]], [[영남대학교]], [[영진전문대학교]] * '''안동지구 - [[1970년]] [[11월]] 개척''' * [[가톨릭상지대학교]], [[안동과학대학교]], [[안동대학교]] * '''경주지구 - [[1980년]] 개척''' * [[경주대학교]], [[동국대학교]](경주), [[서라벌대학교]], [[위덕대학교]] * '''포항지구 - [[1984년]] 개척''' * [[선린대학교]], [[포항공과대학교]](POSTECH), [[포항대학교]], [[한동대학교]] * '''김천구미지구 - [[1973년]] [[3월]] 개척''' * [[경북대학교]](상주), [[경북보건대학교]], [[경운대학교]], [[구미대학교]], [[금오공과대학교]], [[김천대학교]], [[문경대학교]] * '''영주지구 - [[1996년]] [[9월]] 개척''' * [[경북도립대학교]], [[경북전문대학교]], [[동양대학교]] * '''[[제주특별자치도|제주]]''' * '''제주지구 - [[1970년]] [[10월]] 개척.''' * [[제주관광대학교]], [[제주교육대학교]], [[제주국제대학교]], [[제주대학교]], [[제주한라대학교]] == 용어 == === 주요 용어 === * 1.1.1 기도 [[김준곤(목사)|김준곤 목사]]가 [[1995년]] GCOWE 세계선교대회에서 통일과 나라를 위해 '''하루 중 오후 1시에 1분 1가지 기도제목을 가지고 기도하자'''고 제안한 운동이다. 이전까지는 CCC 홈페이지나 111기도운동 트위터/페이스북에서 기도제목을 받아서 해야 했기 때문에 제대로 안 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2012년]]부터 1.1.1 기도 [[스마트폰]]용 어플이 나와서[* 마켓에 검색하면 1.1.1.기도운동이라는 이름으로 나온다. [[아이폰]], [[안드로이드]] 모두 지원.] 정확하게 1시를 알람으로 울려준다. CCC 소속 학생이라면, 1.1.1 어플을 2가지 용도로 쓴다. 기도용, 아니면 점심 알람용이거나 혹은 둘 다 쓴다.~~ 현재는 어플이 사라졌다. * LTC [[한국기독학생회|IVF]]에 있는 LTC와 비슷하지만, 다르다. LTC가 순원/순장이냐에 따라 초급/중급/고급이 나뉘고[* 초급 녹색교재, 중급 청색교재, 고급 적색교재. 보통 1, 2, 3학년 순으로 수강한다.], 대체로 3년 동안에 LTC를 끝내기 때문에 4학년은 LTC를 대체로 받지 않는다. 그리고 여름 수련회와 금식 수련회에 집중된다. 즉, 거의 3일로 압축해서 받는다. 만약 여름 수련회에서 LTC를 못 들었다면, 교육 때 따로 듣는 경우도 있다. 일부 지부에서는 [[수련회]] 때는 성서 강해로 하고, 학기 중에 LTC를 시행하기도 한다. * [[간사]] [[스태프]]라고도 하고, [[간사]]라고도 부르며, 다양하게 불리지만, 대체로 이 용어로 불린다.[* CCC의 파생단체 격인 DFC도 '[[간사]]' 명칭을 사용했으나, 이 쪽은 [[2008년]]부터 [[선교사]]로 명칭을 바꾸었다.] 줄여서 'ST'로 쓰며 영어로는 스태프로 지칭한다. 여름 수련회 - 금식 수련회 중 4학년 졸업반에 해당되는 순장은 LTC 대신 LOIS라는 것을 들을 수 있다. [[간사]]를 지원하고 싶은 [[학생]]을 위한 [[프로그램]]인데, 그 후 자원하여 일정 자격을 통과하면 약 1년간 GCTC라는 간사 코스를 밟고 정식 간사가 될 수 있다. [[본부]], 산하조직, 각 지구와 캠퍼스 내에서 행정적, [[캠퍼스]] 관련, 지부 관련 등 굉장히 많은 일을 하시므로[* 보통 1개 지구에 1분의 책임간사님과 각 캠퍼스를 담당하는 [[간사]]님들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종 행정실무, 교재 연구, [[출판]] 같은 일은 [[본부]]나 산하 조직 간사님들이 한다.], CCC 소속 학생들이라면 가끔은 간사님에게 [[커피]] 한 잔이라도 사드리자. 이 분들은 사실상 사명감 하나로 버티는 무보수 봉사자이다.[* 정확히는 CCC 본부에서 지원하는 일정사역비 + 소속교회나 후원자, 나사렛(졸업자)순장이 후원하는 후원비로 사역한다. 하지만 수입이 일정치 않기 때문에 박봉임은 분명하다.][* 그렇다 보니 신대원에 재학중이거나 [[신학대학원|신대원]]을 졸업한 [[간사]]들은 [[교회]]에서 교육전도사나 교육목사로 [[부업]]을 한다. [[간사]] 자체가 후원으로만 수입을 벌 수 밖에 없는 구조상 박봉인 만큼 제대로 된 [[생계]]를 꾸리기 힘들기 때문이다. 또한, [[사모]](사모간사)가 [[부업]]을 하는 것은 일반적이다.] [[2015년]], 비전 2020이라 하는 간사 지원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2020년]]까지 간사 2천 명을 GCTC/LOIS로 선발했으며, 이 중 1,000명을 해외선교-지역선교, 다른 1,000명은 [[캠퍼스]] 전임으로 세우는 프로젝트.] 그리고 직급별로 일정금액 이상의 후원금을 스스로 모금하지 못하면 [[간사]]를 할 수 없고, [[간사]]를 하는 중간에 모금액이 일정금액 이하로 떨어지면 [[간사]]직에서 쫓겨난다. [[간사]]를 하다가 중간에 담임목사 청빙을 받아 간사일을 그만두는 분들도 있고[* 그나마 이 쪽은 간사 [[생활]]을 통해서 쌓은 [[노하우]]를 통해 담임 목회를 한다는 점에서 사정이 낫다.], CCC에서 쌓은 노하우를 가지고 해외 선교사로 파송되는 경우도 볼 수 있다.[* 보통 본부에서 일정한 년 수 이상을 재직하면 해외 선교사 파송을 권고한다. 외부에서는 이런식으로 해외파송을 보내는 것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 [[그리스도의 계절]] "민족의 가슴마다 피묻은 [[그리스도]]를 심어 이 땅에 푸르고 푸른 그리스도의 계절이 오게 하자." 하는 [[김준곤(목사)|김준곤 목사]]의 [[신조]]이자 CCC의 [[목표]]이며, [[유언]]이기도 한 문장을 기초로 만든 [[CCM(음악)|CCM]]이다.[* 원래는 <민족복음화의 꿈>이라는 장문의 [[시]]에서 요약되고 요약된 것이다. 원문은 부암동 본부 로비와 기념관에 있다.] CCC의 주제곡이나 마찬가지라 CCC 소속이라면 다 외운다. 웬만한 선교단체[* [[마커스]], [[예수전도단]] 등이 있다.] 찬양집에도 이 곡의 [[악보]]는 다 수록되었다. 원 곡이 나온지도 상당한 세월이 흘렀다. * 나사렛 졸업하면 나사렛 순장이라는 호칭으로 바뀌고 '''서울지구 순장'''은 주일 채플에 더 이상 가고 싶어도 갈 수 없다. 대신 [[합정역]] 근처 [[양화진외국인선교사묘원]]에 있는 100주년 기념교회[* [[서울]] 광역 한정. 다른 지부는 따로 한다.]에서 따로 [[채플]]을 하고, 이제부터 진짜 순장의 시작이다. 즉, 이전까지는 순장으로서 받는 [[훈련]]이었다면 이 때부터는 평생 순장의 마음가짐으로 파송되는 것이다.[* 다만, 여름수련회 참가는 막지 않는다. 그리고 일부 나사렛은 Cam-Com이라 하는 여름수련회 4학년 대상 특강의 강사로 초청받을 때도 있다. 이 때는 그냥 깔끔하게 가문의 영광이라고 생각하자.] 챌린지 2020이라 하는 나사렛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나사렛 순장들이 평균 월 10,000원 이상 간사 2천 명에게 후원하는 프로젝트. 기한은 딱히 정해지지 않았다. 다만, 비전2020 프로젝트와 세트로 묶였다.] * 리트릿 [[채플]] 후에 하는 활동으로 이전엔 퇴행식이라고 불렸다. 기도회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긴 하지만, 자체 찬양의 밤, [[레크리에이션]] 등 각종 바리에이션이 존재한다. 서울지부 한정으로는 리트릿이 끝나면 오전 1시~2시인데, 산 + 주택가라는 부암동의 지역적 특성상 밤 - 새벽에 부암동 CCC 본부 이외 지역으로 쉽게 나가기가 어렵다.[* 차가 없으니 나가려면 가장 가까운 [[경복궁역]]까지 30분 가량 걸어야 한다.] 결국 자동적으로 모든 CCC 멤버들이 부암동 CCC 센터에서 반강제로 잔다.[* 세면 후 형제들은 집회하던 강당에서 이불, 베개만 창고에서 가져와 그대로 자고, 자매들은 A동 2~4층에 있는 [[숙소]]에서 잔다. 그리고 다음 날 [[아침]]에 적당히 아침모임 하고 해산.] 다만, 앞서 설명했듯이 집회가 끝나면 차도 다 끊긴 새벽인데 왠지 짐 챙겨서 나가는 무리들이 꼭 있다. ~~[[상명대]] 라던가~~ * 백문일답 [[김준곤(목사)|김준곤 목사]]로부터 시작된, 여름 수련회 메세지 전통의 시작 부분이다. 모든 질문에 '''[[예수 그리스도]]'''로만 대답하는데, 박성민 목사는 20~30개씩 4일 일정으로 끊어서 도합 100문 정도를 한다. 본래 김준곤 목사 시절인 2002년 여름 수련회까지는 '''하루 100개씩 도합 400개 질문'''이라 대단히 압박스러웠다. 2003년부터 박성민 목사로 바뀌면서 줄어든 것. 처음에는 많이 당황하지만, 여름 수련회를 여러 번 가면 익숙해지며, 졸업반 직전, 졸업 직후(나사렛)에는 그냥 이걸 외쳐보고 싶어서 여름 수련회에 참가하기도 한다. 그만큼 중독성이 강하다. 질문을 많이 하다 보면 가끔 박성민 목사가 먼저 한 질문을 잊어버리고 했던 질문을 또 하기도 한다. * 사랑방 씨룸([[동아리방]]) 외에 있는 또 다른 씨룸으로, 자취방 같은 개념이다. 학교에서 집이 멀거나 타지에서 온 순원, 순장들이 사용하는 자취형 씨룸이며, 일반적인 자취방과는 조금 다른 부분이 있다. 랑방지기 순장과 [[간사]]가 룰을 조정하여 랑방에 특정 룰을 정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특정 밤 시간 이후 [[SNS]] 자제라든가, 자매/형제 랑방에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형제/자매 방문 자제라든가, 과실 시 청소 or 간사 면담이라든가 하는 룰이 존재한다.] 순장-순원 간 사이가 돈독해질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 '''온갖 [[Case by case|케바케]]'''가 있다. 가끔씩 젊은 [[간사]] + 순장 조합도 나온다. 나사렛 순장들이 기금을 모아서 마련하며, 소유권 등기는 본부에 있다고 한다. * 사영리 4-spiritual Laws, Plan 4 U(줄여서 P4U) 등으로 불린다. * 1- [[하나님]]은 당신을 사랑하시며, 당신을 향한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 2- [[사람]]은 [[죄]]에 빠져, [[하나님]]으로부터 떠나있으며, 그러므로 [[하나님]]의 [[사랑]]과 [[계획]]을 알 수 없고, 체험할 수 없습니다. * 3- [[예수 그리스도]]만이 [[사람]]의 [[죄]]를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길입니다. 그를 통해 [[하나님]]의 [[사랑]]과 [[계획]]을 알게 되고, [[체험]]하게 됩니다. * 4- 우리는 개인적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나의 구주 나의 하나님'으로 영접해야 합니다. 그러면 우리는 각자에 대한 하나님의 사랑과 계획을 알게 되며, 체험하게 됩니다. 라는 [[개신교]]의 기본 교리를 4단계로 압축한 작은 전도용 소책자이다. CCC에 들어온 사람들 내지 개신교 신자들은 예배당이나 CCC [[동아리방]](씨룸)에서 한 번씩은 볼 텐데, 특유의 노란 표지 포스에 조금은 [[아스트랄]]함을 느낄 수 있다. 그래서 최근엔 조금 더 알록달록한 최신 개정판 P4U, The Four, 스마트폰 어플 등 다양한 버전을 만들었으며, 어린이용 사영리인 '혹시 [[병아리]]의 비밀을 아세요?'라는 것도 있다. [[2015년]]부터는 사영리의 각 원리들을 기호화하고, 기존 [[소책자]]는 물론 [[뮤직비디오]], [[주사위]], [[팔찌]] 등 좀 더 다양한 매체들을 활용하는 4 POINTS라는 새로운 버전도 등장했고, The Four이라는 축약 판도 나왔다. 원래 사영리 이전에 <사랑하는 형에게>라는 전도지가 있었는데[* 현재 부암동 CCC 본부 출판부에서 구할 수 있다. 초기에도 편지 형식이었는데, 진짜 편지 모양이었다.] 빌 브라이트 박사가 고안하였다. [[1950년대]] 당시 교회 전도지는 하나같이 '''"넌 죄인이다!"''' 하는 말로 시작하는 탓에 [[세계대전]] 이후 혼란기에 빠진 [[청년]]들에게 별 어필을 하지 못했다고 한다. 그래서 궁리한 끝에 기존 전도지에 '넌 죄인이다. 그러나 하나님은 너를 사랑한다.'로 순서를 바꿔보면 어떨까? 하는 발상의 전환으로 만든 것이 <사랑하는 형에게>였고, 이를 줄인 것이 지금의 사영리가 되겠다. CCC 소속 학생들은 활동 중에 최소한 한 번은 사영리를 다른 사람에게 읽어줄 일이 있다. 주로 학기 초에 [[캠퍼스]]를 돌아다니며 같은 학교 [[학생]]들에게 읽어주며, 간혹 [[학교]] 밖으로 [[전도]]를 나가서도 한다. 예비순장들은 순장 준비하는 과정에서 꽤나 많이 읽고, 읽어줄 것이다. * 솔라리움 관계 전도를 위해 사영리와 함께 쓰이는 전도 도구, 다양한 [[사진]]들과 질문지가 들어있다. 처음엔 씨맨들 사이에서 재미로 하는 경우도 있지만, [[질문]]이 많아지면 많아질 수록 가끔 주위를 눈물바다로 만드는 경우도 있는 참 신기한 [[사진]]들이다. 개정 솔라리움 2가 나왔다. 범용성이 좋기 때문에 교회 청년부에서 이를 인용하기도 한다. * 브릿지 솔라리움과 비슷하게 관계 전도를 위해서 쓰이는 전도 도구, 단 이쪽은 여러 [[질문]]들이 들어있고, 이를 답하는 것이 특징이다. 주로 신학기가 시작되고, 새 친구가 들어왔을 때, 아이스브레이킹 용도로 사용된다. * 순 [[한국기독학생회|IVF]]와 [[예수전도단]]에는 셀, [[네비게이토 선교회|네비게이토]]에는 팀과 스쿼드가 있다면 CCC엔 순이 있다. [[김준곤(목사)|김준곤 목사]]가 민족복음화 선언과 함께 꺼냈던 순론([[筍]][[論]])에서 시작된 용어로, 여린 [[죽순|순]]의 강한 생명력과 무한한 확장력을 의미한다고 한다. 승법 번식을 추구하며[* 한 사람이 3명 이상 전도하여 순장으로 양성하면 캠퍼스 복음화를 이룰 수 있다는 전제이다.], [[1968년]]에 이를 기반으로 한 순론이 발표되었고, 이에 기초한다.[* 이를 교재로 만든 것이 순론노트이며, [[1971년]]부터 사용되고 있다. 주로 순원, 예비순장 단계 교육 때 쓰인다.] 순 하나에는 상급생 1명이 순장을 맡고, 하급생 1명 혹은 여러 명이 순원이 된다. 순을 이끄는 순장도 더 높은 상급생 순장 밑에서는 순원이다. 보통 1주일에 1번씩 순장과 순원들이 모여 함께 교재를 읽고, [[성경]]공부 및 교제를 하는 순모임이 있다. CCC에서는 가족 같은 순을 지향하기 때문에, 순장을 아빠 혹은 엄마라고 부르고, 순원을 아들, 딸이라고 부르는 심히 오글거리는 [[가족놀이]]도 할 수 있다.[* 모 지구의 어떤 [[캠퍼스]]는 [[졸업]]을 앞둔 복학 4학년 - 복학 3학년 - 2학년 - 1학년 순으로 4대가 함께 재학 중인 경우도 볼 수 있다.] 순 개념은 셀, 팀과 비슷하다. 그러나 순은 궁극적 목적으로 교회 이상의 교회를 지향한다. CCC에서는 소집단을 이루어 무슨 일을 하기만 하면 다 '~순'이라고 한다. 정기적으로 순모임을 갖는 정규 순 외에도 임시적으로 결성되는 순이 있는 셈이다. 가령, 여름 수련회에서 같이 먹고, 자고 하는 사람들은 '생활순'이라고 하고, 아래에서 설명할 여름 수련회 거지순례에서 결성되는 순은 '거지순'이라고 한다. * 여우사이 '''여'''기 '''우'''리들의 '''사'''랑 '''이'''야기라는 --조금은 오글거리는-- 의미이며, 기존의 친구 초청 [[예배]]의 최신판 명칭이다. 의외로 게스트진이 화려하다. [[2012년]]은 [[연세대학교]] 대강당에서 AutoPilot[* [[비행기]]의 자동항법, 비행장치를 의미. 박성민 목사는 신학박사이기 전에, 본래 [[공학]]을 전공했고, [[박사]] 과정까지 이수했기 때문에 부제를 받고 납득한 순장들이 많았다.]이라는 부제로 치렀다. 다만, [[2014년]] 여우사이를 기점으로 외부 게스트를 최대한 배제하고, 간사-순장들이 직접 참여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 주일채플 원래는 CCC 소속 학생이지만, [[교회]]에 제대로 정착하지 못했거나 소속교회가 원래 없는 태신자[* [[胎]][[信]][[者]]. 엄마 뱃속에 있는 [[태아]] 같은 신자란 뜻으로, 아직 개신교인이 아니지만 '(곧 전도되어)신자가 될 사람'을 가리키는 [[개신교]] 용어이다.]를 위해서[* 사영리 마지막 부분을 보면 "[[교회]]에 [[출석]]하는 것은 중요합니다."라고 강조한다. 그렇기 때문에 순례전도 때에는 정박한 교회, 도시 전도 때에는 근처 교회의 [[연락처]]나 [[주소]]를 적어서 주기도 한다.] 존재하는 주일예배로 [[1990년대]] 이전까지는 정동 CCC회관, 지금은 부암동 CCC 본부에서 한다. 오후 2시에 '2시에 교육'이 있다. 각 지부는 지역 CCC 회관이 있다면 거기서, 없다면 교회 하나 빌려서 하기도 한다. 대표단, 총단이 되면 대부분 간다. 순원이 주일채플을 나가야 하기 때문에 때문에 자진해서 소속교회를 제끼고 같이 가주는 순장도 있다.[* 물론 이때 소속교회에서 1부예배나 새벽예배는 드린다.] 소속 교회 사역보다 주일채플 출석을 권해서 CCC가 [[교인 수평이동]]을 유발한다고 일반교회들의 비판이 많은 편이나, 이 주일채플은 주로 서울지구에만 한정되는 경향이다. [[서울]] 외 전국에 분포한 지구들은 딱히 학기 중 [[고향]]이 아닌 [[대학교]] 근처에서 [[예배]]를 볼 곳이 정해지지 않았다면, CCC와 우호적이며, 연계적인 교회로 출석하여[* 가령 [[목사]]가 CCC 출신자라든가 지구 소속 간사가 협동/교육목사로 사역하는 경우에는 연계를 추구한다.] 지역교인들과 함께 예배한다. 또한, 본래 다니던 교회를 다니거나 그 교회에서 정해진 교회로 파송(또는 파견)된 교회가 있다면 CCC에서도 절대로 터치하지 않으니 안심하자. * 파송의 노래 보통 형제가 [[군대]]로 파송되면 하는 [[CCM(음악)|CCM]]인데, 교회를 다니는 학생 한정으로 [[이등병의 편지]] 같은 파괴력이 있다. 또한, 정반대로 군종병, CCC 소속 [[병장]]이 [[제대]] 시에 군교회에서 한번 더 해주기도 하는데, 그때는 눈물보다는 오만가지 감정이 교차한다. [[개신교]] [[군인]]들의 또 다른 로망이다. 스틴트-A6 등등 1년 이상 단기선교 학생들에게도 들려주어도 나름 파괴력이 있다. 또한, [[12월]]에 4학년 순장들이 [[졸업]]할 때 불러주기도 한다. 물론 지구별로 [[Case by case|케이스 바이 케이스]]인 만큼 안 부르는 경우도 있다. 사실 이건 CCC에서 만든 곡은 아니고 [[예수전도단]] 쪽에서 만든 곡을 들여와서 사용하는 것이다.[* 이 곡의 [[작사]], [[작곡]]자는 부흥한국의 대표이자 [[예수전도단]] 소속 [[간사]]였던 [[고형원]] 전도사이다.] * 한 이불 덮기 [[김준곤(목사)|김준곤 목사]]의 순론노트에 있는 부분이다. 순장은 순원을 자기 집에 초대하여 교제하고, 순모임과 기도를 하며, 하루를 같이 보내라는 데에서 시작한 순모임 과정 중 하나이다. 말 그대로 순원이 순장네 집에 가서 하루 동안[* 대개 수업 후부터 그 다음날 아침 기도모임 전인 아침 7시 30분까지다.] 순모임을 하는데, 내용은 자유다. [[성경]]을 그냥 풀로 무제한으로 같이 읽어도 좋고, 수다를 떨어도 좋다. [[악기]]가 있다면 찬양해도 되고, 같이 [[요리]]를 해도 되며, 형제 한정으로 [[켠김에 왕까지]]를 일부러 해보는 경우도 된다. '그 다음날 같이 아침 기도모임에 참석해야 한다.'는 강력한 단서가 달리기 때문에 일정선택이 중요하다. === 수련회 관련 용어 === 3월 → 이듬해 2월의 진행순서로 작성한다. * DT, 순여행 Disciple Training의 약자지만, 신경 쓰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주로 학기 초에 가며, CCC판 [[MT]]라고 보면 된다.[* 지구에 따라 지구 [[MT]]로 부르기도 한다.] 보통 1박 2일로 진행되며, 주로 재학생(순장, 예비순장들) 및 간사님들이 새롭게 들어온 신입 순원들과 친해지기가 목적인 만큼 레크레이션 위주 일정으로 진행한다. 물론 집회나 리트릿도 가볍게 진행한다. * 여름 수련회 말 그대로 [[여름]]에 가는 [[수련회]]. 전국의 모든 캠퍼스가 한 자리에 모이는 행사로 보통 방학 1~2주 내에 4박 5일 + @ 일정으로 떠난다. 요약하자면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전형적인 [[수련회]]. 일정도 딱 전형적이다. 주로 오전 LTC 또는 LOIS, 오후 선택특강[* 수강인원을 넉넉하게 잡아주기는 하나 수강신청을 너무 늦게 하면 원하는 강좌를 못 들을 수도 있다.], 저녁 집회로 이루어진다. 단, 특징이라면 아침식사를 제외한 모든 식사를 각 캠퍼스에서 직접 DIY로 만들어 먹는다는 것이다.[* 물론 재료와 레시피는 제공된다. 단, 쌀은 셀프. 아침은 다들 정신 없기 때문에 간단하게 먹을 수 있는 우유 + 빵 or 삼각김밥이 제공된다.] 순장들의 요리솜씨를 감상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식사를 각 지구와 캠퍼스별로 직접 요리해 먹는 가장 큰 이유는 모이는 인원이 너무 많아 같은 시간에 한꺼번에 식사를 제공할 수 없기 때문이다. [[2014년]] 여름 수련회는 등록인원이 1만 784명에 달했을 정도였다. 이만한 인원을 한꺼번에 수용하기가 만만치 않아 해마다 수련회 장소가 바뀌게 된다. 자세한 것은 여름 수련회 맨 하단 부분에 있는 수련회 장소 목록을 참고 바람. [[2018년]]에는 제주선교 110주년 기념으로 제주도에서 다시 진행했다.[* [[2017년]] [[5월]]에 박성민 목사가 모 교회에 특별 새벽기도회 말씀강사로 초청되어 참석한 해당 교회 출석 C맨 모임 자리에서 직접 밝힌 내용이다. 전국 책임간사 회의에서 확정한 뒤 [[2017년]] 여름수련회 넷째 날 저녁집회에서 공식적으로 선언하였다.] [[제주]]에서 열릴 수련회에 대해 CCC 본부도 큰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이후 [[2017년]] 겨울 금식수련회 중에 박성민 목사가 직접 '''EXPLO 2018 제주선교대회'''라는 명칭으로 공식 선언했다. [[6월]] 말에서 [[7월]] 초 사이에 진행하기 때문에[* 이 때문에 [[계절학기]]와 중복되는 일이 흔하다. 순장들은 불가피하게 계절학기를 포기하고, 수련회 가는 케이스가 제법 많다.] [[장마]]와 수련회 일정이 겹치곤 하는데, 집회장소가 대부분 야외라 여름 수련회 준비물에는 [[우비]]가 필수로 들어간다. 한편, [[리조트]]에서 집회장까지 향하는 길에 다채로운 지구별 단체티와 [[현수막]]을 감상하는 소소한 재미도 있다. [[2018년]]에는 단체티의 앞면을 통일했기 때문에 그런 일이 없었다. 참석인원이 많은 만큼 초신자나 비신자도 많은 편이고, 수련회 역시 초점을 이들에게 주로 맞춘다. 그 때문에 저녁 집회의 메세지 내용은 거의 고정된다. 보통 첫째 날은 창조주 [[하나님]]의 존재와 속성에 대해, 둘째 날은 성자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에 대해, 셋째 날은 자신이 죄인임을 깨닫는 회개와 영접, 넷째 날은 헌신에 대한 메세지를 전한다. CCC에 들어와 신앙을 갖게 되었다거나 하는 CCC 베이비의 간증을 들어보면 여름수련회 때 예수님을 만났다고 고백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모든 일정을 마치고 마지막 날에는 선택에 따라 귀가하거나[* 귀가 희망자들은 넷째 날에 귀가 티켓을 따로 판매하니 구매하면 된다. 물론 참가비와는 별도라 바로 집에 올 사람들은 돈을 따로 준비해 가자. 가격은 일반적인 [[고속버스]] 값 정도다.] 거지순례로 바로 연결된다. 예외적으로 [[2015년]]은 [[메르스]]로 인하여,[* 이 일로 인해 박성민 목사가 특별영상편지까지 올렸으며, 간사회의도 연속으로 열었다. 나름 CCC 입장에서도 비상사태 of 비상사태.] 원래 [[6월]] 마지막 주에 하기로 한 수련회를 8/24~28일로 연기. 그러나 이 주에 개강하는 대학교들이 많아서 평균적으로 만 명 가량이 오던 여름 수련회가 4자리 숫자를 기록했다(집계 인원 8천 명 가량). 물론, 메르스나 개학 직전이라는 변수를 감안하면 많이 선방했다. 일부 [[캠퍼스]]는 개강이 겹쳐 참여하지 못해 [[인터넷]]으로 저녁집회를 단체로 시청하기도 했는데, 수련회장에서도 하루는 이 저녁집회를 시청하던 어느 캠퍼스와 실시간으로 화상연결을 하기도 했다. [[2014년]] 전후로 진행에 있어 달라진 점이 몇 가지 보인다. 먼저 [[2013년]]까지 셋째 날 [[아침]]에 있던 영어집회 미션 페스티벌을 [[2014년]]부터 폐지하였다. 또한 저녁 집회를 마친 뒤 집회현장에서 각종 광고들을 안내하던 것이 점점 각자가 알아서 순장노트 어플[* 다만 이 쪽은 어플이 어느 순간 사라지고 순장노트 홈페이지로 바뀌었다.]을 참고하는 것으로 대체되었고, [[2014년]]부터 둘째 날 저녁집회 때 수련회에 참여한 이들을 환영하고 축복하는 목적으로 프로테스탄트 대중가수를 초청하는 순서가 생겼다.[* [[2014년]]에는 [[제이레빗]], [[2015년]]에는 [[옥상달빛]], [[2016년]]에는 울랄라 프레이즈[* 대중가수가 결성한 CCM 그룹.], [[2017년]]엔 [[커피소년]], [[2018년]]엔 [[비와이]]가 오기로 되어 있다.[* 이전부터 게스트로 개신교를 믿는 연예인들이 초청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2012년]]과 [[2013년]]에 초청된 온누리교회 연예인 합창단 Acts 29의 무대는 [[윤복희]]의 '여러분' 라이브와 해당 곡에 대한 간증 이외에는 대체로 좋은 평을 받지 못했고, [[2012년]]에 초청되어 색소폰 특송을 한 [[정몽준]] 새누리당 의원[* 강남 소망교회 집사로 신앙심이 독실한 편이다. [[정몽주니어]]라는 별명을 가진 막내아들의 이름도 예수님의 선물을 줄여 '예선'으로 지었을 정도.]은 정치적인 목적으로 참여하지 않았느냐는 논란이 빚어지는 등 불협화음이 있던 탓에 방향을 약간 바꿨다. [[2013년]]에도 [[국회의원]]이 초청되어 간증을 했지만, 이 때는 해당 의원이 CCC에서 총순장을 역임했었다는 연결고리가 있었기때문에 별다른 논란 없이 지나갔다.] [[2015년]]부터는 첫째 날 저녁집회와 넷째 날 Celebration 때 대중가요를 개사하여 댄스와 함께하는 환영과 축복의 시간도 생겼다.[* [[2015년]]에는 [[울랄라세션]]의 애타는 마음, [[2016년]]에는 [[TWICE|트와이스]]의 Cheer Up, [[2017년]]에는 [[나야 나 (PICK ME)]], [[2018년]]에는 [[TWICE|트와이스]]의 What is Love를 개사했다.] [[2017년]] 첫째 날 저녁집회 환영과 축복 시간 실황영상은 [[2017년]] 여름 수련회가 끝난 직후 SNS상에서 화제가 되기도 했는데, 대체적으로 비개신교인들은 웃기다 하고, 개신교인들은 '우리도 교회 수련회 때 저거 해볼까' 하는 반응이었던 듯. [[2018년]]에는 VIP로 [[원희룡]] 제주도지사가 왔다.[* 원 지사는 개신교를 믿는 정치인이기는 하나 수련회가 최초로 '''[[제주도]]'''에서 열렸다는 점 때문에 초대된 것이 컸다. 게다가 이미 그 전에 진행된 지방선거에서 도지사 재선이 확정된지라 정치적 목적이라고 보기엔 무리였다.] 또한, 축구선수 [[조현우]]의 누나가 간사 직을 수행했다고 한다. 또한 래퍼 비와이가 와서 간증도 하고 공연을 하고 갔다. [[2019년]] [[6월 24일]] AD[* Aim Divine, Anno Domini라는 뜻.]라는 주제로 4박 5일 간 평창 휘닉스파크에서 실시하였고, [[홍대광]], 엄브렐라가 왔다. Celebration 때 [[TWICE|트와이스]]의 Yes or Yes를 개사했다.[* 광주지구의 순장들이 준비했다. Yes or Yes 뿐만 아니라 '아기 상어'도 개사했다.] [[2024년]]에는 EXPLO‘74 50주년을 기념하여 7박 8일로 진행된다. * 역대 여름수련회 장소 [[1996년]] 이전 - 몽산포해수욕장, 충북 영동군 송호리 외 여러 지역 [[1997년]] - 강원도 고성 잼보리수련장 [[1998년]] - 몽산포해수욕장 [[1999년]] - [[인천대학교]] [[2000년]] ~ [[2002년]] - 강원도 홍천군 대명[[비발디파크]] [[2003년]] ~ [[2006년]] - 강원도 횡성군 현대성우리조트[* 현 [[웰리힐리파크]]] [[2007년]] - 부산 [[벡스코]] [[2008년]] - 제주도 일원 [[2009년]] ~ [[2017년]] - 강원도 평창군 [[한화리조트]] [[휘닉스 파크]] [[2018년]] - 제주도 일원 [[2019년]] - 강원도 평창군 [[한화리조트]] [[휘닉스 파크]] [[2020년]] - ~~경기도 파주시~~ 충남 공주시 에터미 파크[*온라인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온라인으로 개최했다.] [[2021년]] - 서울 부암동 CCC 본사[*온라인] [[2022년]] - 충남 공주 에터미 오롯 & 각 지구별 수련회 장소 [[2023년]] - 전북 무주군 [[무주덕유산리조트]] * 거지순례(순례전도) 희망자에 한해 여름 수련회에서 바로 연결되는 수련회(?)로 문자 그대로 '''[[거지]]가 되어''' 순례전도를 하는 것이다. 예전 거지순례는 방학 중에, 돈 없이 무전여행을 진짜 거지처럼 하면서 [[히치하이킹]]도 하고 전도도 하고, 아무 교회나 찾아가서 자고, 못 찾으면 [[노숙|길가에서 자고]], [[벌레]]에도 쏘여보고, [[모기]]에게 [[헌혈]]도 하고 찬양 인도도 하고, QT도 하고, 아무튼 3일~1주 정도 온갖 것을 하였는데, 여름 수련회의 부록이면서도 '진짜 여름 수련회는 이제부터 시작'이라고 할 정도로 여름 수련회의 코어 컨텐츠가 되었다. 소속교회, 단기선교 일정 때문에 집에 빨리 가야 하는 학생들을 위한 1박 모드, 그런 거 없고 진짜 거지가 뭔지 느껴보자 하는 2박 모드가 있다. 2박 거지순례 때에는 마지막 날이 거의 주일인데, 주일예배는 거지순례 도중 정박한 교회에서 드리고 해산한다.[* 사실 이 수련회(?)는 지구별로 진행되기 때문에 지구마다 차이가 크다. 강원지구는 여름 수련회 직후 지정된 도시에서 사영리를 통한 전도를 실습하는 '도시전도'와 방학 중 무전여행 및 순례전도를 하는 3박 4일 '거지 순례'를 구분하여 운영한다. 대구지구는 도시전도만 하는데, [[2015년]]에는 [[2015년 대한민국 메르스 유행|메르스 유행]]의 여파 때문에 취소. 대신 광주 유니버시아드 대회 자원봉사 인원으로 대체하였다.] 한국 개신교인 숫자도 많아진데다가 여러 사건사고 때문에[* 잊을 만하면 터지는 목회자들의 사건사고와 망언, 대형 교회와 선교단체의 세습(CCC도 포함된다.) 개신교계 이단들의 횡포로 인해 교계의 이미지까지 같이 나빠지는 등의 일이 있었다. 이 사태의 정점을 찍은 것이 [[2007년]] 샘물교회 사태.] 개신교 자체의 이미지가 많이 악화되는 바람에 요즘에는 노방전도가 갈수록 힘을 잃어서 각 지역교회들 시선은 곱지 않은 편. 재워주기야 별 문제 없지만, 한 번에 5~10명씩 되는 [[청년]]들이 우르르 몰려오는데 식사를 제공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17년 동안 한 해도 빼먹지 않고 CCC 거지들을 받아주었던 [[강원도]] [[홍천군]]의 모 교회는 그 17년 동안 CCC 거지전도를 계기로 교회에 왔다는 사람이 '''1명도 없었다'''고 한다. 그래서 [[2013년]]부터는 [[농활]] 비슷하게 바꾼다는 소문도 있었다. 일단 [[2012년]] 거지순례부터 교회순이라는 이름으로 2-30명쯤 단체로 편성하여 교회의 특정 사역을 돕기 등으로 변경했다. 순례전도로 대체되는 경우도 많다. * 금식수련회 여름 수련회가 전국 모든 [[캠퍼스]]가 모이는 자리라면, 금식수련회는 지구별로 [[겨울방학]]이 시작하고[* 여름 수련회와 마찬가지로 계절학기 1주차와 겹치는 경우가 많다. 대체적으로 [[성탄절]] 다음 날이나 성탄절 당일 저녁부터 시작한다.] 광역단위로 끊어서 1~2주 이내에 실시하는 수련회. 3박 4일이고, 여름 수련회와 비슷하게 진행되지만, 말 그대로 3박 4일 동안 물과 소금만 먹으며 금식한다. 금식수련회에서는 [[생수]]+[[소금]]만 먹어야 하는데, 첫 날 점심 한정으로 [[우유]]나 [[두유]], [[음료]]까지는 봐주기도 한다. 그러나 그 뒤는 [[생수]]와 [[소금]]만으로 7끼 3일을 버텨야 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 [[체력]]과 [[정신력]]이 필요하다. 간혹 금식하고 2끼를 넘기면 [[소금]]에서 [[바베큐]], [[치킨]] 등등 온갖 맛이 난다는 [[카더라]]도 있지만 '''그냥 [[소금]]이다.'''[* 금식 기도가 낯선 순원들이 배고픔에 적응하지 못하고 [[소금]]을 지나치게 집어먹어 탈이 나는 경우가 종종 일어나, [[소금]]을 주지 않는 지구도 있다.] 식사해야 할 시간에 [[강의]]를 듣거나 [[휴식]]을 하는데, 이 때문에 일정은 여름 수련회보다 빡빡하단 느낌이 든다. 보통 7끼 금식 후 첫 식사를 수련회장에서 하는데, [[쌀]]로만 끓인 흰 죽[* 대구경북지구에서는 탈이 나는 않도록 간을 하지 않은 미역죽을 제공한다.]과 간장, 동치미 국물, [[귤]] 몇 개 정도를 제공한다. 이때 먹는 쌀죽의 맛은 그야말로 환상이다. 간혹 [[귤]]을 너무 많이 까먹어 탈이 나는 사람도 있다. 금식하고 난 뒤에는 금식수련회에서 '''금식한 끼니 수만큼 [[죽]]을 섭취해야 한다.''' 한동안 음식을 먹지 않아 소화 능력이 약해졌으므로, 몸이 소화능력을 회복할 동안 음식에 적응할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실제로도 첫 [[죽]]을 먹은 이후 섭식을 지키라고 굉장히 강조한다. 이를 무시하고 수련회를 마치고 돌아오자마자 [[치킨]]과 같은 음식을 그동안 못 먹었으니 소원 풀겠다고 날름했다가 배탈나서 고생하는 사례가 적지 않다.[* 물론 금식 끝나자마자 곧바로 정상적인 식사를 해도 괜찮은 사람도 있지만, 자기 몸이 6~7끼를 굶은 뒤 곧바로 다른 음식을 먹어도 괜찮을 만큼 튼튼하단 보장이 없으므로, 웬만하면 섭식 끼니수는 채우자.] 이런 문제가 매년 일어나다 보니 [[2015년]]에 대구경북지구에서는 금식하는 끼니 수를 7끼에서 6끼로 소폭 하향하였다.[* 또한, 셋째 날 저녁에 방문한 나사렛 순장들이 과일과 음료를 제공하여 지구별 리트릿 시간 때 이것을 먹으면서 진행한 곳들도 있었다. 물론 섭식 시작하고 나서.] [[2016년]]에는 서울지구에서도 금식하는 끼니수를 7끼에서 6끼로 소폭 하향하였다. [[2019년]]에 강원권역은 5끼로 하향했다.[* 이 때는 [[성탄절]]까지 끼고 있었기 때문에 저녁에 시작하여, 2~3일차는 종일, 4일차는 아침만 진행했다.] 각 광역별로 점차 난이도가 하향되는 것이 보인다. * 기드온 수련회[* 이 수련회는 특이하게도 그 존재조차 모르는 씨맨들도 많다. 대구지구에서는 기드온 수련회를 대체로 매년 2학기 초에 예비역 지체들이 간증하고 헌금특송을 하는 예비역 채플로 진행한다.] 정식명칭은 기드온 300 수련회로, 4대 수련회 이벤트 중에서 유일하게 '''인원제한 3백 명'''이 있다.[* [[사사기]]의 [[기드온]] 에피소드를 보면 기드온과 [[하나님]]의 축복을 받은 용사 300명이 [[가나안]]을 점령한 적군을 격퇴한 일화가 있는데, 거기서 비롯된 듯하다.] 다른 수련회에서는 허용되는 수련회 중도참가도 불가능하고 기간도 일주일에 달한다. 조금 순화해서 말하면 [[군대놀이]]일 수도 있고[* 교관 순장과 교관 간사가 있는데 경례자세에 구호는 '''순종''' 군가가 개사된 각종 CCC 로고송을 하고, 직각보행과 PT체조를 한다. 2012년 서울 지구 기드온 수련회 당시 교관 순장이었던 전국총순장이 PT체조와 구호를 순간 까먹은 나머지 서울지구 전원을 웃으면 안 되는 상황에서 대폭소를 터지게 했다.] 강하게 말하면 [[똥군기]] 수련회다. 밥이 제일 맛있고, 또 그만큼 체조를 많이 한다. 게다가 눈까지 쌓이면 그야말로 [[충공깽]]이다. 과실이 있어서 과실이 쌓이면 '부름받아 나선 이몸'을 하는데, 그냥 달밤의 체조+기도회다. 식사를 위해선 순장수칙과 사영리를 다 외워야 한다.[* 2012 서울지구 기드온 수련회에서 어느 간사가 "사영리 다 외울 수 있는 사람?" 하고 질문하자 [[서울시립대]]의 한 순장이 일어나 다 외워서 그 지부의 전설이 되었다.] 금요일에는 하루를 거의 통으로 잡아 순례전도를 한다. 거지순례2라고 할 수 있지만 거지순례가 대체로 농촌에서 순례전도를 하는데 도시지역은 난이도가 다르다.[* 농촌은 아이들, 어르신들이 많고, 또 인심이 좋은 경우가 많아 거절은 하더라도 정중히 하거나 사영리를 끝까지 다 듣고 거절하는 경우가 많지만, 도시는 그냥 쌩하고 지나가거나 아예 바쁘다는 이유로 거절하기도 하고, 수틀리면 [[이단]]이나 [[사이비 종교]]로 오해를 받아 까이는 경우도 있다. 특히 하나님의교회가 가판대 세워두고 전단지 주면서 말 거는 것이 묘하게 연상되기 때문.] OCS나 공군 사후생, [[학생군사교육단|ROTC]]합격자이면서 CCC 소속 학생이면 한번쯤은 참여해볼 만한 수련회임은 확실하다. 특히 마지막 날 교관 간사님의 메시지는 대부분 '''[[기드온]]의 최후[* 기드온은 이후 자만에 빠져 황금으로 대제사장만이 입을 수 있는 예복을 만든다던가 왕을 뜻하는 아비멜렉이라는 이름을 아들에게 작명하는데, 기드온 사후에 기드온의 아들인 아비멜렉이 막내를 제외한 70명의 형제를 죽이고 왕이 되어 폭정을 하다가 3년 만에 살해당하면서 사실상 멸문에 이르렀다. ]'''에 대한 부분을 하는데, '지금 순장의 모습에 만족하거나 자만하지 말고, 늘 언제나 성령충만하라.'는 내용이다. 아무래도 수련회 특성상, 여성들보다 남성들이 더 적응을 잘 한다. 여성들의 경우 처음 느껴보는 군대 분위기에 충격을 받고 시험에 드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리고, 간혹 군대 갔다가 막 제대하신 순장들이 조교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 경우는 일반적인 경우보다 더 무섭다. 전주지구에도 유서깊은 기드온 수련회가 있다. * 순장수련회 이듬해에 순장이 될 회원들이 최종점검을 하고, 또한 순장 임명식을 하는 수련회로, 역시 각 지구별로 3박 4일간 진행한다. 특징으로는 식사와 집회 빼고는 거의 모든 일정이 순모임 진행능력 등을 훈련하는 점검으로 진행된다.[* 공식 일정표가 식사, 저녁집회 빼고 온통 점검으로 점철된다.] 그리고 마지막 날 저녁집회 때 순장으로서 살아가겠다는 결단의 시간을 갖는다. 엄밀히 말하면 '''한 시즌의 정점.''' 대순장을 빼고 모든 인원들이 한 단계 올라간다. === 순교재 관련 용어 === * 질문있어요 예수님을 믿지 않는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입문 교재. 보통 신자들은 새 생활의 시작부터 진행한다. * 새 생활의 시작 믿는 자들(새롭게 예수님을 받아들이거나 이미 교회를 다니는 사람)이 그리스도 안에서 성장하는 방법을 알려준다. * Cru.com 만남, 동행, 헌신, 섬김이 있으며, 순서대로 진행한다. * LTC CCC의 리더십 트레이닝 교재로 초급, 중급, 고급으로 나뉘어 있다. * TC * 풍삶 QT책. 1학기에는 신약, 2학기에는 구약을 묵상할 수 있다. 5년 단위로 로테이션을 돌리며, 형제들 같은 경우에는 1학년 때 했던 내용을 복학 4학년 때 다시 하는 경우도 볼 수 있다. == 기타 == * 개그우먼 [[신보라(코미디언)|신보라]]가 경희대 재학시절 잠깐 몸담았던 [[동아리]]다. (서울 북동지부 [[경희대학교]] CCC) 지금은 졸업해서 나사렛이 되었다. * [[Mood Rotary]]의 멤버 손신영은 서울서지부 및 [[서강대학교]]의 회계순장으로 사역한 바 있다. * [[샘물교회 선교단 아프가니스탄 피랍 사건]] 당시 살해되었던 배형규 목사가 대학교 재학 시절 몸 담았다고 한다. * 과거에는 CCC를 통해 입교하는 이들의 숫자도 많았고, 아예 감동되어 [[간사]]로의 헌신까지 결단하는 사람의 수도 많았다. 이른바 CCC 베이비. 현직 간사 중에서도 CCC 베이비의 숫자가 제법 많다. * [[CBS 김현정의 뉴스쇼|김현정의 뉴스쇼]]를 진행하는 [[김현정(PD)]]도 이 선교단체에서 한때 활동했다고 한다. 졸업했기 때문에 그녀도 수 많은 나사렛 중 하나이다. * 'Falling Flates'라는 제목의 전도용 영상을 자주 배포하는데, 이 영상은 국제 본부에서 만든 것이다. * [[중학교]], [[고등학교]]에도 CCC는 있다. 중, 고등 통칭하여 HI-MCCC(Hig h & Middle School Ministry)라 부른다. 보통 학교보다는 미션스쿨에서 자주 볼 수 있다. 하지만 [[강의석]] 사태 이후로 [[미션스쿨]]이라고 하여도 종교색을 띠지 않는 곳이 많아 개신교 색채를 띈 동아리 활동이 제약받아 활동폭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 [[1980년대]] 후반에 고등부 집회를 위한 장소를 '''하이 회관'''이라고 칭하기도 했다. [[2020년]]부터는 [[https://instagram.com/shine_kr_?igshid=MWI4MTIyMDE=|SHINE]]이라는 십대선교부가 런칭되었다. * 다만, 관련 부서인 십대선교부는 1년에 1번 전국 교회 중고등부의 연합 여름수련회를 기획하고, 주최하는 부서로 전락한 지 오래다. [[여름]]에 한번 일반 대학 CCC 여름 수련회와 똑같은 구성으로 전국교회의 신청을 받아 한 곳에서 같이 연합수련회를 한다. 대학생 여름수련회 때 이 연합 여름수련회의 스텝과 교육순장을 모집하기도하였으나 [[2015년]]부터는 대학생 여름수련회에서 이들을 모집하지 않는다. * 대학 들어온 새내기들은 CCC에서 솔로 탈출할 생각하지 말자. 정말 힘들다. 캠퍼스마다 다르지만, 대부분 캠퍼스들이 3말 4초라 해서 '이성교제는 3학년 말, 4학년 초부터!'를 권장한다. [[2011년]] 말부터는 그것도 안 되겠는지 4학년 2학기부터 한다고 더 빡세졌다.[* 지구별로 차이가 천차만별이다. 그러나 대체로 기준은 4초룰. 4학년 1학기가 기준점.] 물론 몰래 사귄다고 당장 탈퇴시키진 않겠지만, [[동아리]] 내 인간관계가 급속도로 냉각되는 모습을 볼 것이다.[* 사실 사귈 당시에는 문제가 없었더라도 둘이 깨지면 난감해진다. 누구 하나가 상대방과의 껄끄러운 관계 때문에 탈퇴를 하거나, 둘 다 다른 선교단체로 옮기거나 아예 떠나버리기 때문. 당연히 CCC 입장에서는 공 들여서 순장을 키웠고, 열심히 사역을 해야하는데 허무하게 사라지는 셈이니 [[연애]]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이 아니다. 물론 둘 다 잔류하더라도 어색한 사이가 되는 만큼 지구나 캠 단위에서 난감한 것은 비슷하다.] 그러나 일단 [[공대]]가 압도적으로 많은 곳[* [[광운대학교]], [[카이스트]], [[포항공대]], [[한국공대]] 등.]은 뭘 해도 [[안생겨요|안 생긴다.]] --[[지못미]]-- 그러나 일단 이성교제에 대한 CCC 입장은 '하지 마라'가 아니라 '신앙의 훈련과 인격적 성숙이 우선이다'이므로, 어느 정도 훈련과 헌신을 마친 대순장[* 보통 형제는 3학년 2학기, 자매는 4학년.]이라면 오히려 CCC 내에서의 이성교제를 적극 권장하는 편이다. 졸업이 코 앞인데도 솔로인 순장들에게는 간사들이 직접 개입해 어떻게든 다른 순장과 연결해주려는 기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나사렛 수련회 때 솔로 나사렛끼리 연결시켜주는 프로그램이 있을 수도 있다.[* [[2013년]] 대구지구 나사렛 여름 수련회 때 솔로 나사렛들을 연결시켜주는 [[짝(SBS)|짝]] 컨셉으로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는데, 이 프로그램에서 [[경북대]]의 모 형제 나사렛과 [[영남대]]의 모 자매 나사렛간에 썸이 생길 뻔하다가 말았다는 전설이 있다.] * 워낙 여자와 남자 사이가 각별한 동아리지만, 혹여라도 거기에 착각하는 일은 없길 바란다. 가끔 여기서 맺어져 [[결혼]]하는 [[커플]]이 있기는 하다.[* 정말 많은 [[간사]]들의 무용담이 있는 것은 물론, 현 CCC 대표인 박성민 목사도 [[연세대]] CCC 순장 시절 때에 [[아내]]를 만난 케이스. ([[2015년]] 여름 수련회 때 '''직접 이야기하였다.''')] 이 커플들은 홈커밍데이 때 자녀를 품에 안고 들어오는 훈훈한 장면을 연출하기도 하며, 다른 선교 단체와 교제하는 지체들도 있다. * [[2018년]]에 들어서부터는 간혹 페이스북 페이지를 통해 CCC 출신 유튜버를 홍보해주는 경우가 있고, 각종 미디어 수단을 선교단체들 중에서는 다양하게 활용하는 중인 것으로 보인다. * [[2017년]]에 [[크리스마스]] 기념으로 예수 생일 축하 가상 지하철역 광고판 디자인을 SNS에 업로드했는데, 실제 광고판으로 만든 것이 아니었음에도 SNS 상에서 비 기독교인들 사이에서도 화제가 된 적이 있다. 이 때의 관심의 여파로 [[2021년]] 크리스마스에는 이를 전도 목적으로 실제 광고판으로 제작하여 서울 시내의 버스 정류장 및 버스에 내걸기도 하였다. == 문제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선교단체/문제점)] CCC가 설립 60년을 넘긴 오래된 단체이고 [[한국의 개신교]] 중흥역사를 같이 하기 때문에 한국 개신교의 전형적인 문제점을 많이 답습하는 편이다. 교계 내외적으로 시선이 안 좋은 편. 어디까지나 교회가 아니고 선교단체에 불과한데[* 사실 말이 1개 선교단체이지 왠만한 대형교회와 지교회 수준으로 조직이 크다. 본부가 사랑방 등을 비롯해서 가진 부동산만 해도 상당한 수준. 물론 현금화가 곤란하기 때문에 현금이 많은 것은 아니다.], 일선 교회의 청년들을 교회 사역보다는 CCC 사역에 더 집중하도록 이끈다고[* 특히, 훈련 받은 순장 정도 되었으면 소속 교회 청년부와 CCC 양쪽에서 모두 사역이나 참여를 강요 받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PK(목사 자녀) 중에서 부모님이 학업을 이유로 둘 중 하나를 포기시켜, 자의반 타의반 떠나거나 둘 다 권유 받게 된다. 게다가 원 소속 교회가 CCC를 비롯한 선교단체에 대한 시선까지 나쁘면 상황이 심히 골 때린다.] 불만의 목소리가 나온다. 가뜩이나 요즘 개신교인 숫자가 줄어들어 일선 교회의 청년 일꾼 부족 현상이 심각해지니 그렇다.[* 물론 소속된 교회가 청년부 사역을 아예 안 하는 작은 교회라면 큰 문제가 없다만, 이건 젊은 인구가 없는 지방 이야기에 가깝다.] [[서울]]에 소재한 [[대학교]] C맨은 대놓고 [[간사]]가 "'''교회 그만두고''' 주일 채플에 나오라"고 하는 소리도 심심찮게 들을 수 있다. 그러나 이는 과거 부암동 본부와 인접한 서울지구 '''[[한정]]'''이며, 기존에 소속된 교회가 있다면 그리 강요하지 않는다. [[지방]]에서는 거의 캠퍼스 및 지역과 연관된 교회 출석으로 연결시킨다. 특히, 지구 간사가 특정 교회의 교역자[* 교육목사, 협동목사, 강도사, 교육전도사 등]로 재직하고 있을 경우에는 간사 소속 교회로 많이 연결시킨다. 툭하면 [[이단]]소리 듣는 다른 독립 선교단체랑은 다르게 주요 교단에서 건전한 선교 단체로 분류한다.[* 일단, 최근 개정된 교재인 CRU.com과 CRU2에 희망을 걸어봐야 한다. 이 교재들이 만국 공용 교재인데, 이 교재 안의 내용은 주로 [[하나님]]과 나의 개인적인 관계에 대한 부분이 많은 편이며 즉 최근 신학의 추세를 어느 정도 따라간다는 점도 있다.] 그러니 IVF, JDM, DFC, UBF 등과 더불어 안심하고 가입해도 된다.[* 단, 인터콥이나 '''IYF'''는 주요 교단에서 [[이단]]으로 판명되었으니 크리스천이라면 절대로 가입하지 말자. 특히 IYF는 'IVF'와 유사한 이름을 걸고 포교활동을 하는 바람에 개신교, 천주교계 미션스쿨에서 이미지가 분탕종자 수준으로 굉장히 나쁘다.] 現 대표인 박성민 목사가 세습 문제로 경력이 좀 얼룩졌다. 박성민 목사가 [[김준곤(목사)|김준곤 목사]]의 셋째 사위이기 때문.[* 박성민 목사의 처는 [[김준곤(목사)|김준곤 목사]]의 3녀 김윤희 횃불트리니티신대원 총장. [[민수기]]와 [[신명기]] 등 구약 연구로 유명하다.] 본래 [[김준곤(목사)|김 목사]]의 후임은 경력 있는 원로 간사 중에서 나오리라 기대되었으나, 제대로 간사 과정을 거친 적이 없는[* 물론 CCC에서 순장을 지내긴 했으니 완전히 무관한 사람은 아니다. 하지만 목회학 및 신학 석/박사 과정은 '''장인이 총장, 아내가 교수로 재직하고 있는''' 횃불트리니티신대원에서 이수했으며, 일선 현장에서 간사생활을 한 것이 아닌 CCC 본부에서 서울지구 책임간사, 기획조정실장과 전국 총무 간사를 맡았다. 따라서 캠퍼스에서 제대로 된 간사 생활을 하지 않았다.] 박성민 목사가 반쯤 낙하산으로 앉았기 때문에, [[2002년]] [[10월]]에 후계자 문제가 불거지며 논란이 되었다. 결국 [[2003년]] [[2월]]에 박성민 목사가 신임 대표로 정식 임명되고,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1990년대]] 초부터 박성민 목사를 후계로 지명하려는 단계들이 포착되었다. 이에 반발하며 CCC 개혁의 필요성을 주장하던 간사 및 순장들을 본부에서 내쫓았는데, 이 과정에서 반발한 이들이 CCC 간판을 버리고 DFC라는 새로운 단체를 차려 독립했고 그 과정에서 강원 4개 지구와 대전지구가 사라졌다가 다시 개척되었다. 결국 법적 분쟁까지 갔다가 해결되어 제자들선교회 [[DFC]]가 공식화 되었다. [[2000년대]] 초에 논란이 된 건 ''''[[계획대로|예상대로]]'''' 박성민 목사가 후계가 되었기 때문. 한국 개신교 세습 문제에 가장 중요한 사건 중 하나로, 가볍게 다룰 일이 아니다.] 오늘날 가장 크게 비판받는 점은 군사 독재 시절, CCC가 권력 지향적인 행보를 보였다는 점으로, 그 [[박정희]] - [[전두환]] 정권과 유착했다는 사실이다. [[박정희]] 대통령은 당시 러시아 대사관 부지 일부를 CCC 회관 부지로 제공했고, 정권 차원에서 CCC가 [[1974년]] [[5.16]]광장(현 [[여의도공원]])에서 개최한 대형집회 엑스플로(Explo) 74의 행사진행를 돕기도 하였다.[* 개최 과정에 말이 많긴 하지만 이 '엑스플로 74'는 전후 한국 개신교 역사에서 중요하고, 당연히 개최 단체인 한국 CCC에게도 매우 중대한 사건이기에, 이후 여름 수련회를 비롯한 여러 행사에서 이때를 기린다. [[https://ko.wikipedia.org/wiki/%EC%97%91%EC%8A%A4%ED%8F%B4%EB%A1%9C_74|위키피디아 문서 참조]]] [[김준곤(목사)|김준곤 목사]]는 [[박정희]]를 전폭적으로 지지하며 [[3선 개헌]]을 옹호하였고, 지금은 [[국가조찬기도회]]라고 명칭이 바뀐 대통령조찬기도회를 [[1965년]]에 만들었고, 더 나아가서 [[5.16 군사정변]]을 '''군사혁명'''으로 부르며 '''"하나님이 도우신 혁명"'''이라고 미화했다. 이후로도 여러 집회에서 반공을 강조하고 유신을 지지하여 유착관계를 지속했다. 이러한 상부상조(?)로 CCC는 국가의 전폭적 지지 아래 성장하였다. 여기서 변론을 조금 하자면, [[6.25 전쟁]]이 발발한 지 겨우 2달 정도밖에 안 되었을 때, [[전라남도]] [[신안군]]으로 진주한 [[북한군]]이 부친, 아내, 딸 등을 비롯한 가족들과 은인을 [[개신교]] 신자라는 이유로 학살하였던지라(물론 용서해주는 대인배의 면모를 보이긴 했다.) [[반공]]을 부르짖는 [[박정희]] 대통령의 정책관에 찬성했으리라고 본다. 그런데 문제는 그 당시 반공을 부르짖은 건 [[박정희]] 뿐만 아니라, 인민군에게 사로잡혀 사형당할뻔 했던 [[김대중]], 소년병 출신 [[김영삼]]처럼 다른 정치인들도 매한가지였다는 것이다. 반면, 박정희는 엄연히 [[남조선로동당]]에서 군사 총책으로 근무하면서 여러 국가전복사건에 관여하다가 대한민국 사법부에서 사형판결까지 받았다가 전향하고 구명된 사람이고, [[남조선로동당]]이 [[한국전쟁]]을 일으키게 되는 결정적인 원인 중 하나를 제공했단 사실을 알았다면 더더욱. 더군다나 [[전두환]]의 [[대한민국 제5공화국]]과도 원만한 관계를 유지했는데, [[신군부]]가 [[광주광역시|광주]]에서 [[5.18 민주화운동|학살을 벌였음에도]] 석 달 뒤인 8월에는 [[전두환]]을 위해 기도회까지 열어주었다. '''CCC가 처음으로 개척된 지구가 바로 광주지구'''였음에도! 그리고 부암동 회관도 신군부의 도움을 얻어서 건립 허가를 받아낸 것이니. 백번 양보해 김준곤 목사가 박정희 정부가 반공이였기 때문에 본인 성향과 비슷한 것도 있겠으나, 광주에서 학살을 벌인 전두환을 위해 기도를 하고 신군부의 혜택을 받은 것은 CCC 최악의 흑역사로 꼽히기도 하는데, 이는 한국기독교계에서 빼놓을 수 없는 역사 중 하나가 '''[[5.18 민주화운동]]'''이기 때문이다. 부상자들을 종파 상관 안 하고, 치료했던 '''광주기독병원'''은 유명하고, 기독교 기관지로 유명한 '한국기독공보'[* 보수 성향 예장통합 소속의 기관지이며, 대한민국에서 가장 오래된 기독교지이기도 하다.] [[5.18 민주화운동]]에 대해 한국 기독교계가 탄압을 받아가면서까지 활약한 사례를 상세히 설명하고 특집 기사까지 냈기 때문에 명백한 흑역사이다. 그가 사역했던 교회인 광주서현교회가 [[6월 항쟁]] 당시 광주의 [[명동성당]]이라고 불릴 정도로 군중들을 도왔던 점을 생각한다면 더더욱.[[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0446968?sid=102|#]] 심지어 [[호남신학대학교]] 최상도 교수가 밝혀낸 바에 따르면, 5.18 항쟁기에 희생된 희생자들도 그렇고, 5.18 민주 묘소에는 기독교인이 많다(17%)는 사실까지 밝혀냈다. 심지어 1980년 5월 30일, 6월 9일에는 5.18의 실상을 알리겠다고 기독교청년연합화(EYCK)[* 1976년 설립된 기독교 청년단체로, [[NCCK]]에 속하고 있다.] 소속 회원 2명이 투신과 분신을 통해 자결까지 해가면서 죽음으로 5.18을 알리기까지 했다. 5.18의 실상이 전세계 기독교계에게 알려진 것도 일본의 영향이 있다.[* 실제로 5.18의 실상을 해외언론에 맨 처음 알린 [[위르겐 힌츠페터]]는 북부독일방송의 도쿄특파원이였고, 개신교 차원에서는 일본의 한인교회인 도쿄 시나가와 교회 담임목사가 방문하고, 일본그리스도연합교회가 세계교회협의회에 이 5.18의 실상을 전달하기도 하는 등, 오늘날 [[5.18 민주화운동]]의 [[세계기록유산]] 등재는 기독교계를 비롯한 여러 분야 권위자들의 적극적인 협조도 한 몫을 했다. 김대중이 감옥을 갔을 당시 구명운동을 할 때도 일본 자민당과 일본민주당이 동시에 나서기도 했고.] [[http://pckworld.com/article.php?aid=8929660859|#]] 이런 흑역사가 있어서인지, 말년의 김준곤 목사는 [[국민의 정부]] 시기인 2000년에 들어서는 대북선교(젖소와 염소 보내기를 하던 곳이 CCC였다.)도 활발히 진행했다. 또한 다른 기독교 단체도 마찬가지이지만, 단체다 보니 율법에 빠질 염려가 있는데, 이를 테면 사영리 전도. CCC는 대학 캠퍼스 내에서 [[노상전도]]를 한다. 전도를 할 때 믿음으로 행하는 사람이라면 매일 할 수도 있겠지만, 그렇지 못하다면 힘들 것이다. 전도란 성령을 받고 [[하나님]]의 능력으로 외치는 일이다. [[고린도전서]]에는 "내 말과 내 전도함이 설득력있는 지혜의 말로 하지 아니하고, 다만 성령의 나타나심과 능력으로 하여 너희 믿음이 사람의 지혜에 있지 아니하고 다만 하나님의 능력에 있게 하려 하였노라"(고린도전서 2:4-5)라는 구절이 있는데, 이는 아무리 믿음이 있는 신자라도 힘든 일인데, 믿음이 있더라도 사영리로 하나님의 능력을 덧입지 못한다면 사도[[바울]]이라도 전도는 어려운 일일 것이다. 전도는 하나님의 일이므로, 하나님의 능력으로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이다. 물론 사영리는 선교 도구로 충분히 활용할 만한 가치가 있긴 하다. 4 points, The Four로도 전도하는데, 책자 종이가 접혀져서 더 친근하지만 이것도 사영리 기반이며, 사영리를 전하기 쉽게 요약한 것이다. 무엇보다도 간사 후원 방식에 문제가 있다. 모든 선교단체가 후원을 받아 운영하지만, CCC는 다른 단체와 달리 더 엄격하고 제한이 있다. CCC 간사로 활동하려면 일정 이상 후원을 받아야 하는 것이 CCC 방식이다. 하지만 일정 이상 후원금이 모이려면 [[바울]]이 [[하나님]]께 부름받아 세상 사람들처럼 일하고, 그들의 마음을 알기 위해 천막을 쳤듯이 간사들도 자기가 벌어서 믿음으로 하나님과 동행해야 하는데[* 협동간사 신분이 이런 케이스이다. 하지만 이런 협동간사의 신분으로는 한계가 있고 결국 전임간사로 교육받고 임직하는 이들도 많다.], CCC에서는 이를 막아버렸다. 물론 간사가 믿음으로 단체에서 사역을 감당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지만, 다른 단체들과 달리 간사가 개인으로 일하고 돈을 버는 일을 할 수 없게 한 것. 즉, 간사가 후원금을 지원받지 못하면 활동하기가 심히 어렵다. 이런 생활고를 이유로 간사를 그만두는 분들도 있을 정도. 그래서 중간에 휴직하고 신대원을 가시는 간사님들이 종종 나온다.[* 간사로서의 삶이 어렵기 때문에 가정을 부양하려면 파트타임 교육전도사 - 강도사 - 교육목사 생활이라도 해야 하기 때문.] == 사건 == === 신천지 신도 45명의 잠입 시도 === CCC는 [[2020년]] [[8월 29일]] 박성민 대표와 전국 책임간사 일동의 명의로 [[신천지]] [[이만희(종교인)|이만희 교주]]의 위장 잠입을 강력히 규탄한다는 제목의 성명을 발표했다. CCC는 성명에서 “[[8월 26일]] 한국교회가 이단사이비집단으로 규정한 [[신천지]] 집단의 대학부장 박수진 씨의 탈퇴기자회견을 통해 [[신천지]] 집단이 CCC를 와해시키려는 목적으로 신도 투입 및 정복 지시를 내린 사실을 확인하고 놀라움과 분노를 금할 수 없다”며 “CCC는 이러한 비상식적이고, 악의적인 만행을 지시한 [[이만희(종교인)|이만희 교주]]와 그것을 시도한 [[신천지]] 집단의 행태를 강력히 규탄(한다)”고 밝혔다. CCC 와해 목적으로 잠입한 45명의 신천지 신도들 또한 “일부는 초기에 발각되어 퇴출당했고, 대부분은 지난 2월 [[신천지 대구교회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집단 감염 사건|신천지를 통한 코로나19 확산사태]] 이후로 연락두절이 되는 등 자취를 감춘 것으로 확인되었다”고 발표했다. CCC는 “회원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이단사이비집단에 대한 철저한 [[예방]]과 [[교육]]을 통해 [[신천지]] 집단의 위장 잠입활동을 묵과하지 않겠다”며 “(CCC는) 앞으로도 [[대학생]]들을 전도하고, [[예수 그리스도]]의 신실한 제자로 양육하고, 파송하여 세상을 향한 [[빛과 소금]]의 역할을 잘 감당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http://www.kportal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427|관련 기사]]. > '''신천지 [[이만희(종교인)|이만희 교주]]의 CCC 위장잠입을 강력 규탄한다''' > > '''-신천지집단 전 대학부장 박수진 탈퇴 기자회견에 관한 입장문-''' > >한국대학생선교회(이하 CCC)는, 지난 [[8월 26일]] 한국교회가 이단사이비집단으로 규정한 [[신천지]] 집단의 대학부장 박수진씨의 탈퇴기자회견을 통해 신천지집단이 CCC를 와해시키려는 목적으로 신도 투입 및 정복 지시를 내린 사실을 확인하고, 놀라움과 분노를 금할 수 없습니다. > >이에 CCC는 이러한 비상식적이고, 악의적인 만행을 지시한 [[이만희(종교인)|이만희 교주]]와 그것을 시도한 [[신천지]] 집단의 행태를 강력히 규탄합니다. 또한, 어떤 형태의 침투도 묵인하지 않을 것이며, CCC 내에 신천지집단 소속 신도들이 발각될 시 모든 법적 조치를 취할 것입니다. > >[[신천지]] 집단은 오래 전부터 [[교회]]와 [[선교단체]]에 위장잠입을 통해 혼란을 야기해왔지만, 시의적절한 바른 대처를 해왔습니다. 이번 조사결과, 각 대학 CCC에 위장잠입한 [[신천지]] 집단 소속 신도는 총 45명으로 밝혀졌으며, 일부는 초기에 발각되어 퇴출당했고, 대부분은 지난 2월 [[신천지 대구교회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집단 감염 사건|신천지를 통한 코로나19 확산사태]] 이후로 연락두절이 되는 등 자취를 감춘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CCC는 회원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이단사이비집단에 대한 철저한 [[예방]]과 [[교육]]을 통해 신천지집단의 위장 잠입활동을 묵과하지 않겠습니다. > >CCC는 [[1958년]] 창립 이래 지금까지 한국 교회와 좋은 협력을 통해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해 왔습니다. 앞으로도 대학생들을 전도하고 예수 그리스도의 신실한 제자로 양육하고 파송하여 세상을 향한 빛과 소금의 역할을 잘 감당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 >[[2020년]] [[8월 29일]] > >한국대학생선교회(CCC) > >대표 박성민 외 전국 책임간사 일동 === 그루밍 성폭력 사건 === 수도권 지구에서 한 전임간사에 의해 지속적으로 발생한 [[성폭력]] 사건이 [[2021년]]에 공론화됐다. 이후 해당 전임간사는 CCC 윤리위원회의 자체 조사를 거쳐 제명처분을 받게 되었다.[[https://www.newsnjoy.or.kr/news/articleView.html?idxno=302868|관련 기사]]. === 성추행 사건 === 수도권 모 지구의 한 대표간사가 업무상 위력 등에 의한 [[성추행]] 혐의로 기소되어 [[2022년]] [[1월]]에 징역 1년 6개월형을 받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내부적 재발 방지책이 미흡하다는 문제점이 드러나게 됐다. [[https://www.newsnjoy.or.kr/news/articleView.html?idxno=304026|관련 기사]]. [[분류:개신교계 대학생 단체]][[분류:동아리]][[분류:한국독립교회선교단체연합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