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한국바둑리그)] [include(틀:한국바둑리그 역대 시즌)] ||<-5><#545045> {{{#fff '''한국바둑리그 역대 시즌 일람'''}}} || ||<:> [[한국바둑리그/2004시즌|2004시즌]] ||<:> {{{+1 ←}}} ||<:> '''2005 시즌''' ||<:> {{{+1 →}}} ||<:> [[한국바둑리그/2006시즌|2006 시즌]] || ||||<#000> '''{{{#ffffff 농협 2005 한국바둑리그}}}''' || ||<:> '''기간''' || [[2005년]] [[5월 12일]] ~ [[2005년]] [[12월 19일]] || ||<:> '''주관''' || [[한국기원]] || ||<:> '''주최''' || [[한국기원]], [[바둑TV]], [[스포츠투데이]] || ||<:> '''타이틀스폰서''' || [[농업협동조합|[[파일:농협 로고.svg|width=50]]]] || ||<:> '''참가팀'''[* 후원사도 겸했다.] || 피망, 범양건영, 보해양조, 넷마블[br]한게임, 제일화재, 신성건설, 파크랜드 이상 8개팀. || [목차] [clearfix] == 개요 == 한국바둑리그의 두 번째 시즌. 타이틀 스폰서로 [[농업협동조합]][* 현재는 금융 부문인 [[NH농협은행]]이 [[한국여자바둑리그]]의 타이틀 스폰서를 맡고있다.]이 참여했다. == 진행방식 == * 당시 상금랭킹을 기준으로 24명이 시드로 출전하고, 나머지 8명은 선발전을 통해서 출전할 선수를 가렸다. * 2004년과 동일하게 8개팀 싱글 풀리그로 4인이 한 팀으로 구성되어 1장~4장까지 드래프트로 선발한 뒤 한 주에 1경기를 치르는 방식으로 총 28주 동안 정규리그를 진행했다. * 경기 순서는 4장 → 3장 → 2장 → 1장의 순서로 목요일 4장전, 금요일 3장전, 토요일 2장전, 일요일 주장전 경기가 진행됐다. * 대국 규정은 제한시간 각자 10분, 50초 초읽기 3회로 진행했다. == 선수단 구성 == * 2005년 4월 9일에 열린 개막식에서 선수단 드래프트가 진행됐다. * 시드(24명) * 예선통과(8명) : 장주주, 김영환, 이희성 , 이정우, 서무상, 진동규, 손근기, 김진우 ||<-5><#000> '''{{{#fff 농협 2005 한국바둑리그 선수 지명}}}''' || || '''팀''' || '''주장''' || '''2장''' || '''3장''' || '''4장''' || || 경기 한게임 || 이창호 || 김성룡 || 서봉수 || 이정우 || || 피망 || 이세돌 || 홍민표 || 박승현 || 박지은 || || 보해양조 || 최철한 || 안조영 || 루이 || 진동규 || || 서울 제일화재 || 조훈현 || 김주호 || 백홍석 || 장주주 || || 대전 신성건설 || 박영훈 || 박정상 || 이희성 || 김영환 || || 부산 파크랜드 || 유창혁 || 원성진 || 안달훈 || 손근기 || || 범양건영 || 송태곤 || 윤준상 || 허영호 || 김진우 || || 인천 넷마블 || 목진석 || 조한승 || 이영구 || 서무상 || == 정규리그 == ||<-8><#000> '''{{{#fff 농협 2005 한국바둑리그 정규리그 순위}}}''' || || 순위 || 팀 || 승점[* 승리시 2점, 무승부시 1점, 패배시 0점] || 승 || 무 || 패 || 개인승 || 포스트시즌 || || 1 || 대전 신성건설 || 11 || 4 || 1 || 2 || 20 || 챔피언결정전 || || 2 || 인천 넷마블 || 10 || 3 || 4 || 0 || 16 || 플레이오프 || || 3 || 보해양조 || 10 || 3 || 2 || 2 || 15 ||<|2> 준플레이오프 || || 4 || 경기 한게임 || 9 || 3 || 2 || 2 || 13 || || 5 || 피망 || 7 || 2 || 2 || 3 || 13 ||<|4> 탈락 || || 6 || 서울 제일화재 || 6 || 2 || 2 || 3 || 13 || || 7 || 부산 파크랜드 || 5 || 0 || 5 || 2 || 12 || || 8 || 범양건영 || 4 || 1 || 2 || 4 || 10 || == 포스트시즌 == * 포스트시즌은 상위 4개팀 스텝레더 방식으로 5전 3선승제로 진행했다. 경기는 정규시즌과 똑같이 4장 → 3장 → 2장 → 주장 순으로 진행했으며 2승 2패가 될 경우 페어바둑을 했던 2004년과는 달리 여기서는 주장전을 다시 한 번 진행했다. * '''준플레이오프''' - '''보해양조'''(정규리그 3위) 3 : 1 한게임(정규리그 4위) ||<:> '''{{{#000 일정}}}'''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9em" {{{#fff 흑번}}}}}}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9em" {{{#000 백번}}}}}} ||<:> '''{{{#000 결과}}}''' || || 2005년[br]12월 1일 || '''진동규'''[br]{{{-1 (보해양조)}}} || 이정우[br]{{{-1 (한게임)}}} || 301수[br]흑 2집반승 || || 2005년[br]12월 2일 || '''서봉수'''[br]{{{-1 (한게임)}}} || 루이나이웨이[br]{{{-1 (보해양죠)}}} || 185수[br]흑 불계승 || || 2005년[br]12월 3일 || '''안조영'''[br]{{{-1 (보해양조)}}} || 김성룡[br]{{{-1 (한게임)}}} || 165수[br]흑 불계승 || || 2005년[br]12월 4일 || 이창호[br]{{{-1 (한게임)}}} || '''최철한'''[br]{{{-1 (보해양조)}}} || 176수[br]백 불계승 || * '''플레이오프''' - 넷마블(정규리그 2위) 1 : 3 '''보해양조'''(준플레이오프 승자) ||<:> '''{{{#000 일정}}}'''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9em" {{{#fff 흑번}}}}}}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9em" {{{#000 백번}}}}}} ||<:> '''{{{#000 결과}}}''' || || 2005년[br]12월 8일 || 서무상[br]{{{-1 (넷마블)}}} || '''진동규'''[br]{{{-1 (보해양조)}}} || 324수[br]백 반집승 || || 2005년[br]12월 9일 || 루이나이웨이[br]{{{-1 (보해양조)}}} || '''이영구'''[br]{{{-1 (넷마블)}}} || 306수[br]백 1집반승 || || 2005년[br]12월 10일 || 조한승[br]{{{-1 (넷마블)}}} || '''안조영'''[br]{{{-1 (보해양조)}}} || 222수[br]백 불계승 || || 2005년[br]12월 11일 || '''최철한'''[br]{{{-1 (보해양조)}}} || 목진석[br]{{{-1 (넷마블)}}} || 255수[br]흑 1집반승 || * '''챔피언결정전''' - '''신성건설'''(정규리그 1위) 3 : 2 보해양조(플레이오프 승자) ||<:> '''{{{#000 일정}}}'''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9em" {{{#fff 흑번}}}}}}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9em" {{{#000 백번}}}}}} ||<:> '''{{{#000 결과}}}''' || || 2005년[br]12월 15일 || '''진동규'''[br]{{{-1 (보해양조)}}} || 김영환[br]{{{-1 (신성건설)}}} || 281수[br]흑 5집반승 || || 2005년[br]12월 16일 || '''이희성'''[br]{{{-1 (신성건설)}}} || 루이나이웨이[br]{{{-1 (보해양조)}}} || 241수[br]흑 불계승 || || 2005년[br]12월 17일 || '''안조영'''[br]{{{-1 (보해양조)}}} || 박정상[br]{{{-1 (신성건설)}}} || 187수[br]흑 불계승 || || 2005년[br]12월 18일 || '''박영훈'''[br]{{{-1 (신성건설)}}} || 최철한[br]{{{-1 (보해양조)}}} || 217수[br]흑 불계승 || || 2005년[br]12월 19일 || '''박영훈'''[br]{{{-1 (신성건설)}}} || 최철한[br]{{{-1 (보해양조)}}} || 219수[br]흑 불계승 || == 우승팀 및 개인 시상 == ||<-8><#000> '''{{{#fff 농협 2005 한국바둑리그}}} {{{#gold 우승}}}''' || || {{{+3 '''신성건설'''}}}[br](박영훈, 박정상, 이희성, 김영환) || * 시즌종합 MVP : 박영훈(신성건설) - 주장전 전승에 챔피언결정전에서 혼자서 2승을 챙기는 무시무시한 활약을 보여줬다. * 다승왕 : 박영훈(신성건설) - 7전 전승[* 무려 '''주장전 전승'''이다.] * 베스트 4 : 주장 박영훈(신성건설) / 2장 조한승(넷마블) / 3장 이영구(넷마블) / 4장 이정우(한게임) * 역전상 : 안조영(보해양조) * 대마상 : 김영환(신성건설) * 감투상 : 진동규(보해양조) * 최고시청률상 : 서봉수(한게임), 루이나이웨이(보해양조) [[분류:한국바둑리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