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학과]][[분류:교육]][[분류:교육학]][[분류:한국어]][[분류:언어교육]] [include(틀:학과)] [목차] == 개요 == '''한국어교육학과'''은 [[한국어]]를 모어(母語)로 사용하지 않는 [[외국인]] 및 [[재외동포]]를 대상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를 가르칠 수 있는 인재의 양성을 목표로 하는 학과이다. 한국어교육학과를 주전공으로 졸업할 시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에서 발급하는 [[한국어 교원 자격증]] 2급을 취득할 수 있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라는 개념이 처음 싹튼 학문이 [[국어국문학]]이기 때문에 한국어교육학과도 본질적으로 [[국어국문학과]]의 파생 학과 및 학문이며, 상당수의 [[대학교]]가 독립 학과/전공으로 한국어교육학을 두고 있지 않더라도 [[국어국문학과]] 학부 및 대학원 과정[* [[국어교육과]]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이 아니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에 세부 전공으로 한국어교육학을 두고 있다. 독립된 학과 혹은 전공으로 존재하는 한국어교육학과는 대부분 기존에 있던 [[국어국문학과]]가 변형된 형태이거나 국어 관련 학부의 전공으로 존재하는 형태인데, [[경희대학교]]같이 같은 대학 내에 한국어(교육)학과와 국어국문학과가 공존하는 경우도 있다. 학과명에 '''교육'''이 들어가니 [[사범대학]] 소속 학과일 것이라고 생각하기 쉬운데, 한국어교육학과는 '''기본적으로 ([[국어교사]]) [[교원 자격증]]을 발급받을 수 없는 학과이기에''' [[사범대학]] 소속 학과가 아닌 경우가 절대다수이며, [[일반대학 교육과]]로도 취급받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같은 학교 내에 [[사범대학]]이 따로 있고 한국어교육학과는 다른 [[단과대학]] 소속으로 존재하는 경우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예외적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는 [[한국외국어대학교/학부/사범대학|사범대학]] 소속으로 '''한국어교육과'''[* 해당 학과는 [[국어교육과]]의 특성이 강한 [[사범대학]] 소속의 학과이기 때문에 학과명에 '''학'''자가 빠져있다.]를 두고 있는데, 졸업할 시 [[국어교사]] [[교원 자격증]]을 발급받을 수 있으며 특정 과목들을 이수하면 [[한국어 교원 자격증]] 2급도 발급받을 수 있다. 이런 특수 케이스를 제외하면 보통 [[인문대학]][* 이 경우 주로 [[한국인]] [[한국어교원]]을 양성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이다.]이나 [[국제대학]][* 이 경우 주로 [[외국인]] [[한국어교원]]을 양성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소속 학과/전공으로 존재하며, 전자의 경우 [[국어국문학과]]의 세부전공으로 존재하거나 [[국어국문학과]]에서 파생된 신규 학과로 존재하는 경우가 다수이다. 이름의 유사성에서 연상되는 이미지와 달리 생각보다 [[국어교육과]]와 거리가 먼 학과이다. 이는 국어교육과와 한국어교육학과 간 지향점의 차이에서 기인하는데, 기본적으로 두 학과 모두 [[한국어]]를 교육하는 인재를 양성한다는 공통점은 있으나 국어교육과는 내국인인 [[한국어]] 모어(母語) 화자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것을 전제로 교육하고 한국어교육학과는 [[한국어]]가 모어가 아닌 외국인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것을 전제로 교육한다. 교육 타겟층이 완전히 다르니 학과 커리큘럼에도 차이가 생길 수 밖에 없다. 이로 인해 [[국어교육과]]에서 한국어교육학과가 파생된 경우는 없다시피 하고 대부분이 [[국어국문학과]]에서 파생되거나 [[국어국문학과]] 주관 세부전공으로 존재하는 경우이다.[* 대부분의 [[교육대학원]] 한국어교육전공도 [[국어교육과]]가 아닌 [[국어국문학과]] 소속 교수진이 담당하며, 이 경우는 국어교육과 소속 교수진은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만 전적으로 담당한다.] 명칭이 하나로 통일되어 있지는 않고 보통 한국어교육학과, 한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전공 등의 이름으로 개설되어 있는데, [[학사]] 과정의 경우 한국어교육학과가 독립 학과로 존재하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지는 않으며 상당수가 학부의 세부 전공으로 존재한다. 한국어교육학과의 수가 아주 많다고 보기는 어려운 학사 과정과 달리 의외로 [[대학원]] 과정, 특히 [[교육대학원]]에서는 오히려 한국어교육전공이 없는 경우를 찾기가 힘들 정도인데, 아무래도 [[대한민국 교육부|교육부]]에 의해 통제되고 있는 [[교원 자격증]]을 발급받는 학과/전공이 아니다 보니 부담이 덜한 것이 그 이유로 보인다. [[사이버대학]]에도 많이 설치되어 있다. [[국어국문학과]]와 [[국어교육과]]가 다른 학과이듯이, 한국어학과와 한국어교육학과도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를 다룬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원칙적으로는 구분되는 학과이다. 그러나 국내에 개설된 절대다수의 한국어학과들은 한국어교육학과의 교육 목표 및 교육 과정을 큰 비중으로 포함하고 있거나 아예 한국어교육학과와 본질적인 차이가 없다. 이는 [[한국어 교원 자격증]]이 [[교원 자격증]]이 아니어서 꼭 한국어교육학과라는 이름을 학과를 나와야만 한국어 교원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는게 아니고, 그로 인해 [[한국어]] 관련된 학과가 한국어교육학 커리큘럼을 포함하는데 별 제한이 없기 때문이다. 애초부터 한국어교육학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에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크기도 하고. 그러니 한국어학과 입장에서는 졸업생에게 있으면 플러스가 되지 마이너스가 될 일은 없는 한국어 교원 자격증을 굳이 등한시할 이유가 없다. 실제로 전국의 한국어학과 홈페이지에 들어가 보면 교육 목표에 한국어 교원 양성을 명시해놓고 졸업 후 진로로 당당하게 [[한국어교원]]을 맨 윗줄에 기재해놓은 경우를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단, 이는 국내 한국어학과 한정으로 해외 대학에 개설된 한국어학과는 한국어교육학보다는 한국의 [[국어국문학과]]에 훨씬 더 가까운 커리큘럼을 지니고 있다. == [[한국어 교원 자격증]]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한국어교원)] == 개설 대학 == === 4년제 종합 대학 === ====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 ==== * [[경희대학교]] [[경희대학교/학부/외국어대학|외국어대학]] 한국어학과[* 엄밀히 말하면 한국어교육학과가 아니지만, 교육과정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이 큰 비중을 차지하며 지정 과목 이수 후 졸업 시 [[한국어 교원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다.] * [[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학부/사범대학|사범대학]] [[고려대학교/학사제도/융합전공|융합전공]] 다문화한국어교육[* 일반 학부 과정으로는 존재하지 않으며 융합전공으로만 존재하는 과정이다.] * [[국민대학교]] 글로벌인문지역대학 한국어문학부 글로벌한국어전공 * [[덕성여자대학교]] 미래인재대학 한국어교육전공 * [[명지대학교]] [[명지대학교/학부/인문대학|인문대학]] 글로벌한국어학과[* 외국인 전용 학과이다.] * [[삼육대학교]] 인문사회대학 글로벌한국학과 * [[서강대학교]] 로욜라국제대학 글로벌한국학부 한국어교육전공 * [[숙명여자대학교]] 문과대학 한국어문학부 국제한국어교육전공[* 연계전공과 세부전공으로 존재한다. 자세한 내용은 [[숙명여자대학교/학부]] 참고.] * [[아주대학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트랙[* 일반 학부 과정으로는 존재하지 않으며 융복합트랙으로만 존재하는 과정이다.] * [[한국외국어대학교]] * [[한국외국어대학교/학부/사범대학|사범대학]] 한국어교육과 * KFL학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전공[* 순수 외국인만 입학할 수 있으며, 사범대학 한국어교육과와 달리 [[교원 자격증]]을 취득할 수 없다.] * [[한성대학교]] [[한성대학교/학부/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 한국어교육트랙 ==== [[관동권]] ==== * [[상지대학교]] FIND칼리지 한국어교육학과[* 원래는 국어국문학과였으며, 기존 커리큘럼에 '한국어교육' 과정을 추가하여 개편되었다.] ==== [[호서권]] ==== * [[단국대학교]] 외국어대학 글로벌한국어과 * [[배재대학교]] [[배재대학교/학부/인문사회대학|인문사회대학]] 국어국문•한국어교육학과 * [[세한대학교]] 당진캠퍼스 글로컬디지털융합대학 글로벌복지한국어학과 * [[중원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 한국어교육문화학과 ==== [[영남권]] ==== * [[계명대학교]] [[계명대학교/학부/인문국제학대학|인문국제학대학]] 한국어문화학부 한국어교육전공 * [[고신대학교]] [[고신대학교/학부/신학대학|신학대학]] 글로벌교육학부 외국어로서 한국어교육 전공 * [[대구대학교]] 인문대학 한국어교육학부 * [[동명대학교]] 미래융합대학 한국어교육다문화학과[* [[미래융합대학]] 특성상 일반 고졸 학생들이 가는 학부와 다른 곳이다. 자세한 사항은 [[미래융합대학]] 문서 참고.] * [[영남대학교]] 글로벌인재대학 글로벌교육학부 국제한국어교육전공 * [[위덕대학교]] 인문사회계열 한국어학부 * [[한동대학교]] 창의융합교육원 글로벌한국학전공 한국어교육트랙 ==== [[호남권]] ==== * [[광신대학교]] 국제한국어교원학과[* 舊 한국어교육학과] * [[광주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 한국어교육과 * [[광주여자대학교]] 인문사회계열 국제학부 한국어교육전공 * [[남부대학교]] 인문사회계열 한국어학과 * [[동신대학교]] 사회문화대학 국제한국어학과[* 학과 이름이 교육학이 들어가 있지는 않으나, 스스로 외국인 및 해외교포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교육을 담당하는 학과로 소개하고 있고 이전 이름이 '''한국어교원학과'''였기도 하다. 대학원 과정은 실제로 한국어교육학과라는 이름으로 설치되어 있다.] * [[송원대학교]] 한국어교육과 * [[순천대학교]] 인문예술대학 국제한국어교육학과 * [[호남대학교]] 사회경영대학 글로벌한국어교육학과 === [[사이버대학]] === * [[건양사이버대학교]] 휴먼학부 다문화한국어학과 한국어교육트랙 * [[경희사이버대학교]] 한국어문화학부 한국어교육전공 * [[고려사이버대학교]] 한국어·다문화학부 한국어교육전공 * [[국제사이버대학교]] 미래융합학부 한국어교육전공 *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 한국어교육학과 *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어학부 한국어교육전공 * [[서울사이버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한국어문화학과 * [[세종사이버대학교]] 국제학부 한국어학과 * [[영남사이버대학교]] 한국어학과 * [[원광디지털대학교]] 한국문화학부 한국어문화학과 * [[숭실사이버대학교]] 인문예술학부 한국어교육학과 * [[한양사이버대학교]] 국제언어문화학부 한국어교육·문화콘텐츠학과 * [[화신사이버대학교]] 글로벌교육문화학부 한국어교육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