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한국지리/알아두면 좋은 지역)] [include(틀:한국지리/알아두면 좋은 지역)] [목차] == 개요 == 북부 지방은 [[북한]]이다. 북한은 [[남한]]처럼 자세하게 다루지 않아서 주요 빈출 지역 몇 개만 알면 된다. == [[평양시]] == 북한의 수도. 사실상의 대부분 인프라가 평양에 집중되어 있는 지역이다. == [[남포시]] == 평양의 외항 역할을 하는 곳. 남포 일대인 [[대동강]] 하류는 평야 지형으로써 지형성 강수 조건에 맞지 않아 소우지이다. == [[개성시]] == [[고려]]의 수도였다. 남북이 협력하여 만든 공업지구인 [[개성공단]]이 있는데, 남북관계 악화로 인해 통일부에서 2016년 2월 가동을 영구중지하기로 결정했다. == [[신의주시]] == [[압록강]]을 끼고 [[중국]] [[랴오닝 성]]의 [[단둥시]]와 접하는 국경 도시. == [[대동강]] 하류 == 소우지. == [[청천강]] 중·상류(주로 [[희천]]) == 남서 기류와 산지에 의해 지형성 강수 조건이 충족되어 다우지이다. == [[강계시]] == [[북한]]에서 군수 공업이 가장 발달한 곳. [[6.25 전쟁]] 당시 북한의 [[임시수도]] 역할을 했었다. == [[중강진]] == 남북 통틀어 한국에서 최한월 기온이 가장 낮은 지역. 연교차 기온을 물어보는 문제가 나올때 이 지역에다가 점을 많이 찍어둔다. 연교차 기온은 약 40도. == [[개마고원]] == 산으로 둘러싸인 고원 지형이라 강수량이 낮다. 최소우지. == [[백두산]] == [[중국]]과의 국경에 위치한 [[화산]]. 정상에 [[칼데라]]호인 [[천지(백두산)|천지]]가 있다. == [[라선시]] == [[러시아]] [[프리모리예 지방]]([[연해주]])와의 국경 지대로 [[1990년대]]부터 개방되었다. == [[청진시]] == 한류의 영향으로 소우지. == [[원산시]] == 북동 기류와 산지의 영향으로 북한 최다우지. 같은 북한 다우지인 청천강 중·상류와 비교하면 이쪽이 겨울에 많이 따뜻하다. == [[금강산]] == [[화강암]] 바위로 이루어진 돌산. [[금강산 관광]]과 [[남북 이산가족 상봉]] 등이 이루어진 남북 화합의 장이었으나, 현재는 중단되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한국지리/알아두면 좋은 지역, version=734, paragraph=9)] [[분류:대한민국의 지리]][[분류:북한의 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