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하위 문서, top1=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차호별 상세설명, top2=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현황, top3=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조성)]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PricklyUltraInnocentJourney, 합의사항1=전기형/중기형/후기형으로 세대 구분)] [include(틀:한국철도공사의 전동차)] {{{#!wiki style="border: 1px solid gray; border-top: 5px solid gray;padding:12px" {{{+1 이 문서는 현재 운행이 중단된 차량을 다룹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차량은 현재 퇴역하여 더이상 운행하지 않는 차량입니다.}}} ||<-3> [[한국철도공사|[[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height=15]]]] {{{#!wiki style="margin: -10px -10px" || {{{#0052a4,#55b1ff '''한국철도공사 {{{+1 1000호대 전동차}}}'''[br]{{{-1 KORAIL}}} Series 1000 EMU}}} || }}}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중저항1072.jpg|width=100%]]}}} || ||<-3> 중기형 1x72편성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신저항1081.jpg|width=100%]]}}} || ||<-3> 후기형 1x81편성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korail1000pcar.jpg|width=100%]]}}} || ||<-3> {{{#white '''차량 정보'''}}} || || '''열차 형식''' ||<-2> 도시, 광역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 || '''구동방식''' ||<-2>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 || '''편성''' ||<-2> 10량 1편성 (Tc-M-M'-T-M-M'-T-M-M'-Tc) [* 같은 [[저항제어]] 10량 1편성 전동차일지라도, 운행에 따른 출력 차이를 고려하여 MT비 또는 배치가 다르다.[br][[EEC 전동차|한국철도공사 9900호대 전동차]]: Tc-M-M-M-M-T-T-M-M-Tc [br]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 Tc-M-M'-T-M-M'-T-M-M'-Tc[br][[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 Mc-M'-T-T-M'-M-T-T-M'-Mc] || || '''생산량''' ||<-2> 793량 (403량 + 248량 + 142량) || || '''운행 노선''' ||<-2>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6]] [[수도권 전철 1호선|{{{#0052a4,#55b1ff 수도권 전철 1호선}}}]] || || '''도입시기''' ||<-2> [[1974년]] ~ [[1997년]] || || '''제작사''' ||<-2> [[일본차량제조|[[파일:일본차량제조 로고.svg|width=100]]]] / [[가와사키 차량|[[파일:가와사키 중공업 로고.svg|width=130]]]] [[도큐 전철#s-2.1|[[파일:도큐 주식회사 로고.svg|width=40]]]] / [[킨키차량|[[파일:긴키차량 로고.svg|width=100]]]] [br] [[현대정공|[[파일:현대정공 로고.png|width=90]]]] / [[대우중공업|[[파일:대우중공업 로고.svg|width=90]]]] [[대한조선공사|[[파일:대한조선공사 주식회사 로고.png|width=100]]]][* 이후 한진중공업으로 개명. 초저항의 냉방기 개조를 시행하였다.] || || '''소유기관''' ||<-2><|2> [[한국철도공사|[[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width=120]]]] || || '''운영기관''' || || '''차량기지''' ||<-2> [[구로차량사업소]] || || '''총 도입분[br]운행 기간''' ||<-2> 1974년~2020년 || || '''최종 퇴역''' ||<-2> 2020년 4월 || ||<-3> {{{#white '''차량 제원'''}}} || ||<-3>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전장''' ||<-2> 19,500㎜ || || '''전폭''' ||<-2> 3,120㎜ || || '''전고''' ||<-2> 3,750㎜[* 초저항의 경우 3,800㎜] || || '''궤간''' ||<-2> 1,435㎜(표준궤) || || '''사용전압''' ||<-2> 교류 25000V 60㎐ [br] 직류 1500V || || '''신호장비''' ||<-2> [[열차자동정지장치|ATS-S1, S2]][* 과천선 부분개통 당시에는 ATC 장치가 없어 관제사와 무선으로 통화하여 운행해야 했다.] || || '''제어 방식''' ||<-2> 직병렬조합 및 약계자 저항제어 || || '''동력 장치''' ||<-2> 직류직권전동기 || || '''제동 방식''' ||<-2> 발전제동 병용 SELD 전자직통식 공기제동 || || '''편성 출력''' ||<-2> 2800 ㎾ || ||<|2> '''최고속도''' || 영업 ||<|2> 110㎞/h || || 설계 || || '''가속도''' ||<-2> 2.5 ㎞/h/s || ||<|2> '''감속도''' || 상용 || 3.0㎞/h/s || || 비상 || 4.0㎞/h/s || || '''전동차 비''' ||<-2> 6M 4T, 8M 2T ||}}}}}}}}} || [목차] || [[파일:초저항123.png|width=100%]] || || 서울-수원 복복선 개통식 당시 전기형 || || [[파일:신저항 제작.png|width=100%]] || || 1x76편성 제작당시 모습 || || [[파일:korail1000inguro.jpg|width=100%]] || || 경인선 급행 고정운행 당시 후기형 1x86편성과 1x81편성 || || [[파일:K1080.jpg|width=100%]] || || 퇴역 후 구로기지에 유치되어 있는 후기형 1x80편성[* 2021년 말까지 저 자리에 그대로 있었다. 11월 중에 전 차량 반출이 확인되었다.] || [clearfix] || [youtube(tHEgnXpFGzY)] || || '''{{{#ffffff 대한뉴스 제 998호 - 수도권 전기철도 }}}'''[* 성우가 국가적 슬픔 어쩌고 하는 내용이 나오는데, 하필 전철 개통 날 [[육영수 피살 사건]]이 있기 때문이다.] || == 개요 == [[수도권 전철 1호선]]에서 운행했던 저항제어 전동차. 1x83편성 [[수도권 전철 1호선/사건 사고#s-2.9.1|신길역 탈선사고]] 이후 매우 빠른 속도로 휴차가 진행되었으며, 현재는 전 차량이 퇴역하였고 [[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신조차량]]으로 대차되었다. 대한민국 최초의 지하철인 종로선[* 현 [[서울 지하철 1호선]]([[수도권 전철 1호선]]의 지하 구간)]과 직통하는 [[경원선]], [[경인선]], [[경부선]]을 운행하기 위해 [[대한민국 철도청|철도청]]에서 도입한 [[전동차]]이다. [[서울교통공사|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에서 도입한 전동차와 함께 국내 최초의 통근형 전동차, 국내 최초로 생산한 전동차 등 오만 가지의 최초라는 수식어가 붙은 전동차이다. 한국 도시철도 역사의 산실이라고 볼 수 있다. 같은 시기에 나온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 초기형과 함께 '''대한민국 최초로 도입된 대형 전동차'''라는 나름대로 뜻 깊은 타이틀을 달고 있으며, '''조성 변경이 가장 잦았던 전동차'''이기도 하다.[* 특히 [[1999년|1999]]~[[2009년]] 사이에 가장 잦았으며 도시철도 차량들은 어지간해서는 도입부터 폐차 시까지 고정 편성으로 운행한단 것을 생각하면 이 정도로 조성 변경이 잦았던 전동차는 세계적으로도 드물 것이다.] 또한 초/중기 저항차량의 경우 '''차량번호 역시 처음 도입 시와는 완전히 다르게''' 바뀌었으며, 특히 중저항의 경우 '''2000호대'''를 달고 나온 차량도 있었다. [[https://cafe.daum.net/kicha/ANo/22357|#]][[https://cafe.daum.net/kicha/2vGl/2390?boardType=5&|##]] 신호장비는 [[열차자동정지장치|ATS-S1과 S2]]를 지원했다. == 편성 == ||<-2> ↑ '''동인천''' || || '''10##''' || Tc(운전실, ATS차상장치, 복선기) || || '''12##''' || M(주제어기,주저항기,공기압축기,축전지,견인전동기(TM)) || || '''13##''' || M'(팬터그래프,주변압기,주정류기,보조전원장치,견인전동기(TM)) || || '''18##''' || T(부수차) || || '''14##''' || M(주제어기,주저항기,공기압축기,축전지,견인전동기(TM)) || || '''15##''' || M'(팬터그래프,주변압기,주정류기,보조전원장치,견인전동기(TM)) || || '''19##''' || T(부수차) || || '''16##''' || M(주제어기,주저항기,공기압축기,축전지,견인전동기(TM)) || || '''17##''' || M'(팬터그래프,주변압기,주정류기,보조전원장치,견인전동기(TM)) || || '''11##''' || Tc(운전실, ATS차상장치, 복선기) || ||<-2> ↓ '''용산''' || 한국철도공사의 다른 전동차가 6자리 번호로 개번되는 와중에도 꿋꿋이 4자리 번호를 고수했다.[* [[서울교통공사]]의 위탁 관리를 받는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는 제외] 거기다가 일부 편성은 차량 번호까지 뒤죽박죽으로 섞여 있는 경우도 있다. 이는 초기 차량들이 차량 사용 완료로 인해 폐차되면서 차량 사용이 완료되지 않은 부수 객차들이 남아돌게 되자 남은 차량들을 모아 편성을 재조성할 때 차량 번호 기준이 아닌 '''잔여 차량 사용 완료 일자를 기준으로 조성'''하였기 때문이다.[* 1974년 첫 개통 시 6량으로 운행하다가 8량으로, 8량에서 현재의 10량으로 증결되었기 때문에 편성 번호가 같아도 제조 시기가 다른 신조 차량이 있고, 제조 시기가 같아도 중정비를 받으며 내구 연한을 연장한 차량도 있다.] 그러나 위에도 서술했듯이 차량 번호를 개정하지 않은 채로 조성만 바꾼 덕에 완벽히 배치가 된 편성은 절반을 조금 넘는 수준이다.[* 이 때문에 차호만으로는 몇 호차인지 알기가 힘들다. 31xynn호대 차량은 y+1이 자신이 탄 칸 번호이다.] 나머지 절반 정도의 차량은 다음과 같은 조성을 보인다. 한국철도공사 저항 차량[* 2005년까지 운행했던 [[서울 지하철 2호선]] 본선용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도 8M2T였다. 대한민국 유일은 아니었던 셈이다. 다만 이쪽은 운전실 객차가 동력차였다.] 중 유일하게 8M2T 조성인 1x60, 61편성 중에 60편성의 중간차 1265, 1365호는 출입문 유리창이 정사각형이었으며 나머지 출입문 유리창은 전부 직사각형이었다. 중간차가 무려 4개의 다른 편성 중에서 2량씩 차출되어 증결된 특이한 케이스의 편성이다. 아래는 60편성의 조성내역이다. 위에도 서술했듯이 T차는 Tc차를 빼고는 없다. || Tc || M' || M || M' || M || M' || M || M' || M || Tc || || 1060 || 1265 || 1365 || 1262 || 1362 || 1259 || 1359 || 1263 || 1363 || 1160 || ||<-10> 증결로 타 편성의 무동력 객차가 섞인 경우[* 물론 예시를 든 1x83편성의 경우 1852, 1952 자리에는 본래 초저항 객차가 들어갔던 자리이며 1852, 1952는 당시에는 본래의 1x52편성에 끼어있었다.] || || 1083 || 1283 || 1383 || '''1852''' || 1483 || 1583 || '''1952''' || 1683 || 1783 || 1183 || ||<-10> 증결로 타 편성의 동력 객차가 섞인 경우 || || 1066 || '''1264''' || '''1364''' || '''1849''' || '''1464''' || '''1564''' || '''1949''' || 1266 || 1366 || 1166 || 4량 1편성, 6량 1편성, 8량 1편성 운용도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는데, 이 때의 조성은 각각 TC-M-M'-TC(2M2T), TC-M-M'-M-M'-TC(4M2T), TC-M-M'-M-M'-M-M'-TC(6M2T)이다.[* 출처: 서울지하철 건설 삼십년사] ==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차호별 상세설명|상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차호별 상세설명)] 한 때는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22&aid=0003290365|경부선 천안역]], 1호선 계통에서 분리 전 [[https://m.blog.naver.com/digmon2001/50104203026|중앙선 용산~덕소]] 구간까지 운행할 정도로 1호선에서 안간 곳이 없다.[* 당시 중앙선에서는 [[수도권 전철 1호선|1호선]]과 공유했던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1000호대 전동차]], 舊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전동차|5000호대 전동차]]와 교류 전용의 6000호대 전동차를 운행했다. 이땐 모두 10량 편성. [[팔당역]] 연장 이후 중앙선 광역전철이 8량으로 조정되면서 5X86~5X92편성과 6000호대는 8량화 개조 및 現 [[한국철도공사 321000호대 전동차|321000호대]]로 편성되고 나머지 5000호대는 1호선 전용의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전동차|311000호대]]로 편성되면서 중앙선은 1호선 계통에서 완전히 분리된다.] 2000년대 후반부터 서동탄이나 인천으로 운행 구간이 제한되었기 시작했으나, 여전히 용산 북부 지역으로는 왕성하게 운행을 하고 있다. 그러나 차량 노후화로 [[2014년]] 후반기부터 몇몇 차량들을 경인선 급행으로 돌리기 시작하더니 [[2015년]]부터는 모든 차량을 경인선 (용산 ~ 동인천) 급행 / 특급 전용으로 [[2020년]] 퇴역까지 운행하였다. 경인선 구간은 운행 거리와 역간거리도 짧은 편이고 선형이 경부선 대비 좋지 않은 편이라 속도를 최고로 높이거나 자주 정차할 필요도 없어서 그나마 후속열차에 대한 큰 지장이 없이 운행이 가능한 구간이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이 열차는 [[인천역]]까지는 가지 않았었다.]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와 같이 통로문 개조가 되어있지 않다. 콤프레셔의 소음이 상당히 컸었다. 따라서 [[2000년]]도 까지 저소음 콤프레셔로 전부 교체했다.[* 대부분 90년대 후반에 교체했지만 [[1999년|1999]]~[[2000년]]은 극소수로 남아 있다.] 다만 후기형 신저항은 애초부터 저소음 콤프레셔로 적용하였다. 중정비는 오랜 세월 동안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 (용산기지창 또는 용산기지)에서 받았으나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로 용산기지가 [[철거]] 및 기능 이전되면서 중정비 업무가 [[시흥차량사업소]]로 이관되어 [[시흥차량사업소]]에서 중정비를 맡았다. ==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현황|현황]]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현황)] ==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조성|조성]]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조성)] == 개조 이력 == === 한국철도공사 신 CI 변경 === 도입 당시 철도청 CI인 파란색+상아색 조합으로 도입된 초저항 차량과 중저항 차량은 1994년부터 역삼각 CI(노란색+청록색+하얀색)로 도장변경을 했으며 작업은 1997년에 마무리되었다. 그리고 [[2005년]]부터는 역삼각 CI로 도입된 신저항과 역삼각 CI로 재도색되었던 중저항 차량에 한해[* 중저항 1x42~52, 1x54~56, 1x58~62, 1x64, 1x66~73편성, 신저항 1x74~81, 1x83~86편성이 신 CI로 변경되었다.] 신 CI(파란색+빨간색+연회색+흰색)[* 즉, 이게 우리가 아는 [[자석도색]]이다.]로 도장 변경을 했으며 2007~2008년에 전부 마무리되었다. 여담이지만 중저항만 한 편성 완전체를 기준으로 모든 도색변경작업을 거쳤다. 반면에 초저항은 철도청 초기CI도색과 역삼각 CI도색만을 거쳤다.[* 다만 중저항 편성에 증편한 일부 초저항 부수객차 편성은 신 CI도색도 거쳤다.] 신 CI가 발표되기 직전에 내구연한 만료로 이미 퇴역하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신저항은 역삼각 CI도색과 신 CI의 [[자석도색]]만을 거쳤다. 신저항은 역삼각 CI 발표 이후에 도입되었기 때문에 철도청 CI도색이 존재하지 않았다. === 내장재 불연재화 개조 === [[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전동차]] 1세대의 내장재 개조가 끝나고 [[2004년]] 하반기부터 불연재 대응이 되어 있지 않은 중저항 1x42~73편성과 신저항 1x74~81, 1x83~86편성 차량에 대해 불연재 개조를 시행하여 [[2006년]]에 완료되었다. 다만 1x53, 57, 63, 65편성, 개조저항 차량은 [[2006년]]에 사용대기로 빠져 내장재 개조대상에서 제외되었다. 신저항은 로윈, 중저항은 SLS 중공업, 그리고 1x62편성, 1x64편성 한정으로 로윈에서 진행하였다.[* 다만 1x62편성, 1x64편성은 1062-1162, 1064-1164 TC칸만 진행하였으며 중간 객차는 다른 편성으로 편입되어서 2005~06년에 개조되었다. 이후 나중에 다시 본 편성으로 돌아갔다가 [[2009년]] 말에 다시 다른 편성으로 이동되어 퇴역 시까지 운행했다.] 추가로 당시 잔존한 일부 초기저항 부수차의 경우 불연재 개조가 진행되면서 천장 에어컨 부분이 중기저항 이후 도입된 평천장에 가깝게 넓어졌다.[* 에어컨 부분만 평천장에 가까웠던 개조 전 모습과 달리 천장 조명까지 높이를 맞추었다.] 동시에 기존에 달려있던 일반 선풍기가 라인블로워로 바뀐건 덤. 여담으로 [[2006년|2006]]~[[2009년]] 쯤은 어떤 편성은 로윈 개조 객차와 SLS중공업 개조 객차가 섞인 차량도 있는데 주로 중저항 객차와 96년산 신저항 객차가 혼합되어 있는 차량이 그랬다. 신저항 객차들은 대부분 2004년 하반기 때 로윈에서 개조했기 때문. === 외부 행선기 LED 개조 === 2004년 후반부터 내장재 불연재화 개조와 함께 [[행선기|외부 행선안내기]]가 기존의 회전 스크린식(흔히 말하는 롤지)인 중저항 1x42~73편성과 신저항 1x74~81, 1x83~86편성에 대하여 외부 행선안내기를 LED로 변경하는 개조를 실시하였다. 신저항은 [[2004년]] 후반에 진행하여 [[2004년]] 말에 완료되었고 중저항은 2004년 후반에 1x62, 1x64를 시작으로 [[2006년]] 초반에 완료되었다. 다만 내장재 개조 대상에서 제외된 1x53, 57, 63, 개조저항은 LED로 개조되지 않았다. 다만 후기형(신저항)은 [[2004년]]에 LED 행선기를 설치하면서 VVVF차량과 동일한 폰트가 나오도록 교체되었으나 다시 [[2009년]] 후반기쯤에 개조를 하여 행선기 폰트가 굴림체로 교체되었다. 이후 [[2012년]]에 폰트를 고딕체로 개정했다. 중저항은 굴림체로 나왔었지만 예외적으로 1x62, 1x64편성은 2004년 하반기에 로윈에서 내장재 개조를 받았기 때문에 VVVF차량과 동일한 폰트로 송출되었다. === 내부 LED 안내기 설치 === [[2009년 10월]]부터 [[2010년]]까지 1x59~62편성, 1x64편성, 1x66~81편성, 1x83~86편성을 대상으로 내부 LED 안내기를 설치하였다.[* 여담으로 [[2009년]] 후반부터 [[2010년]] 초반까지 저항차량들의 객차 트레이드가 진행되었는데 LED 전광판 설치에 대비해서 트레이드를 한 것으로 보인다.] 신저항은 [[2009년 10월|2009년 10]]~[[12월]] 사이에 설치했으며 1x74편성만 [[2011년]] 초에 설치되었으며 중저항은 [[2010년]] 말~[[2011년]] 초에 설치했지만 예외적으로 1x62편성은 신저항이랑 같은 시기에 설치했다. 여담으로 신저항은 초기에는 글꼴이 달랐으며 가장 늦게 설치된 1x74편성만 중저항과 동일한 글꼴을 사용하다가 [[2012년]]부터 나머지 신저항들도 중저항과 동일하게 변경되었다. 신저항에 장착된 모델과 중저항에 장착된 모델은 약간의 차이점이 있는데 신저항은 측면에 스피커 같은 물체가 튀어나왔다. [youtube(CBeNtF2tV6s)] == 사건사고 == === [[2000년]] 1x81편성 도봉역 객차 분리 사고 === [[2000년]] [[10월 30일]], 의정부발 인천행으로 운행하던 1x81편성이 [[도봉역]]으로 진입하던 도중 3번째 객차과 4번째 객차가 분리된 사고가 발생하였다. [[2000년]] 당시 1x81편성은 초저항 T 객차 2량을 조성하여 운행하였다. === [[2020년]] 1x83편성 신길역 탈선 사고 === [[2020년]] [[4월 14일]], 동인천발 용산급행으로 운행 중이던 1x83편성이 [[영등포역]]~[[신길역]] 인근에서 탈선한 사고가 발생했다. 다행히 인명 피해는 없고 사고 열차에 탑승중이였던 승객 100명이 모두 대피하였고 이날 운행한 1x83편성은 현재 휴차된 차량이며 언론에선 이 탈선 사고를 일으킨 차량을 ''''짬뽕 누더기 열차''''로 신랄하게 까내렸다.[* "제작한 지 24년 된 누더기 짬뽕 열차"등이 대표적이다.] 이 사고로 1183호와 1383호가 선로 밖으로 이탈하였고 사고 당일 오전 양방향 운행이 중단되었다.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나온 결과, "아침 일찍 급행 타고 출근중이었는데 [[영등포역]]을 지나서 덜커덩 거리더니 브레이크 밟으면서 급정차했다" 는 말과 함께 열차가 탈선됐다는 방송을 들었다고 한다. 이 사고로 인해 출근길을 나선 사람들은 아수라장을 보았고 교통 이용에 불편을 겪었다.[* 용산에서 동인천 방향으로 내려오던 전동차들도 모두 구로역까지만 운행한다고 하여 타고 있던 시민들은 모두 [[구로역]]에서 내려 덩달아 불편을 겪어야 했다.] 이 사고로 한국철도공사 측은 사고가 난 1x83편성을 포함한 나머지 신저항 차량들도 모두 예정보다 빨리[* [[2021년]] 말~[[2022년]] 초에 대차 예정이였다.] 운행을 중단시켜 현재 모두 휴차, [[폐차]]되었다. 물론, 그 동안 신저항은 물론이고 일부 차량들이 고장, 탈선, 여러 사고가 나오기는 했지만 이번 탈선 사고는 311x02편성 이후 4년 만이다. 한국철도공사 측에서도 더 이상 보고있을 수만은 없던 모양이다. 결국, 1x74~79, 1x81~83, 1x85~86편성은 차량사용만료일자[* 1x75편성 차량사용 만료일자 [[2019년]] [[11월 17일]](예정). 이전 번호인 1x74편성은 이 다음에 휴차되었다.]를 1년 이상 넘기고 전부 휴차, [[폐차]]되었다. 그 전까지의 1000호대 저항제어 차량들은 사고로 복구가 불가능하게 될 정도가 아닌 이상 25년을 채웠고, 심지어 초저항은 말년까지도 [[서울 지하철 1호선|지하구간]]을 간혹이나마 들락날락했는데다 일부 객차는 아예 내구연한 연장심사를 받아 30년 가까이 운행한 전력이 있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또한 중저항들 중에서도 초기 도입분은 퇴역 직전까지도 완행을 운행하기도 했다. '''그리고 [[2020년 10월]] 현재 1x80, 84편성이 휴차되면서 신저항을 본선에서 볼 수 없게 되었다.''' 신조저항 차량들의 [[폐차]]로 운행할 차량이 부족해져서 [[한국철도공사]] 측은 원래 [[수도권 전철 4호선|4호선]]에서 운행해야 할 신형 전동차[* {{{#00a4e3 341B31~34편성}}}]의 일부 편성을 1호선에서 운행시키고 있다. 그런데 본래 이 차량들이 대체해야 할 4호선 전동차들은 신길역 사고차량인 1x83편성보다 오래되어 대차가 시급한 노후차량들이라 돌려막기에 지나지 않았고, 게다가 {{{#00a4e3 341B31~34편성}}}은 1호선 도색으로 반입되어 운행 중이지만, 현재 4호선으로 복귀한 {{{#00a4e3 341B36편성}}}은 4호선 도색 그대로 1호선에서 운행한 이력이 있어서 승객들에게 혼란을 줄 수도 있다. == 관련 문서 == * [[수도권 전철 1호선]] * [[초저항]] [[분류:대한민국의 철도차량]][[분류:전동차]][[분류:수도권 전철 1호선]][[분류:1974년 출시]][[분류:1997년 단종]] [include(틀:포크됨2, title=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 d=2023-01-20 12:40: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