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KBO 리그)] [include(틀:KBO 리그 시즌)] || '''기간''' || [[1986년]] [[3월 29일]] ~ [[1986년]] [[9월 17일]] (정규시즌)[br] [[1986년]] [[10월 11일]] ~ [[1986년]] [[10월 25일]] (포스트시즌) || || '''참가팀 ''' ||[[해태 타이거즈]], [[OB 베어스]], [[롯데 자이언츠]], [[청보 핀토스]],[br] [[삼성 라이온즈]], [[MBC 청룡]], [[빙그레 이글스]] 이상 7개팀. || [목차] == 개요 == 1986년 열린 프로야구 시즌. 팀당 108경기, 총 378경기를 치뤘다. 리그 최초의 신생 확장 구단이자 7번째 구단인 [[빙그레 이글스]]가 처음으로 선을 보인 시즌이었다. [[충청도|충청지역]] [[향토기업]]인 [[한화그룹|한국화약그룹]]이 모기업으로 나선 빙그레는 [[OB 베어스]]의 이탈 이후 비어있던 충청을 연고로 삼았다. 빙그레의 참여로 프로야구는 다시 서울/인천·경기·강원/충청/호남/대구·경북/부산·경남 등 제주를 제외한 전국 모든 권역에 연고팀을 맞이하는 호재가 생겼다. 그러나 홀수 구단 체제로 운영됐기 때문에 대진이 없어서 쉬는 팀이 나오기도 했다. 이러한 기형적 리그 구조는 제8구단 [[쌍방울 레이더스]]가 1군 무대에 합류하기 직전 시즌인 [[한국프로야구/1990년|1990년]]까지 이어졌다. [[해태 타이거즈]]는 2년차지만 사실상 신인이었던 [[선동열]]이 '''0.99'''의 방어율을 가록하며 마운드를 굳게 지켰고 [[차동철]], [[김정수(1962)|김정수]], [[장채근]], [[이건열]], [[신동수(1966)|신동수]], [[김대현(1962)|김대현]] 등 대형 신인들이 대거 입단한데다가 [[김인식]] 전 동국대 감독과 [[박정일(야구선수)|박정일]] 코치를 영입하면서 우승에 대한 준비를 제대로 갖췄다. 해태의 한국시리즈 상대는 [[삼성 라이온즈]]. 당시 해태와 삼성은 비슷한 투타의 전력을 가지고 있었다. 방어율은 2.86대 2.95로 해태가 약간 앞섰지만 팀타율에서는 .274의 삼성이 .259의 해태보다 앞섰고 홈런수에서는 해태가 99개를 치며 74개의 삼성을 압도하는 장타력을 보여주었다. 길게 얘기할 것 없이 페넌트레이스에서 삼성은 득/실이 475/369, 해태는 474/372로 정말 용호상박의 전력이었다고 할 수 있다. 다만 팀간전적에서는 해태가 삼성에 11승1무6패의 우세를 보였다는 점, 그해 개인하이를 찍은 [[선동열]]의 존재와 삼성은 플레이오프를 거쳐 체력소모를 했기 때문에 해태의 우세가 점쳐졌다. === 플레이오프 제도 수정 === [[1985년 삼성 라이온즈 통합우승|1985년 삼성의 전후기 통합우승으로 한국시리즈 소멸]]이 일어나자, KBO 이사회는 1986년 1월에 다음과 같이 전년도의 제도를 수정했다. * 전기 1,2위와 후기 1,2위 팀에게 포스트시즌 진출권을 부여. * 한 팀이 전후기 모두 2위 안에 들면 한국시리즈 직행 * 한 팀이 전후기 중 한 번만 2위 안에 들면 플레이오프 진출 * 포스트시즌 진출 팀이 네 팀이면 전기 1위와 후기 2위, 전기 2위와 후기 1위 간의 5전 3선승 플레이오프 후 한국시리즈 실시. 그런데... 순위표에서 드러나듯 손을 좀 본 이 제도에도 문제점이 없지 않음을 발견하게 된다. == 정규시즌 최종순위 == ## 전기/후기리그의 경우 '한국시리즈 진출'은 전기리그의 한해서 작성한다. ## 구단별 포스트시즌 진출의 경우 '선착'하는 구단에 한해 작성한다. || '''순위''' ||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게임차''' || '''승률''' || '''비고''' || ||<-9> '''전기리그''' || || 1 || [[삼성 라이온즈]] || 54 || 39 || 0 || 15 || 0.0 || 0.722 || || || 2 || [[해태 타이거즈]] || 54 || 34 || 2 || 18 || 4.0 || 0.654 || || || 3 || [[롯데 자이언츠]] || 54 || 30 || 4 || 20 || 7.0 || 0.600 || || || 4 || [[MBC 청룡]] || 54 || 28 || 4 || 22 || 9.0 || 0.560 || || || 5 || [[OB 베어스]] || 54 || 23 || 2 || 29 || 15.0 || 0.442 || || || 6 || [[청보 핀토스]] || 54 || 17 || 0 || 37 || 22.0 || 0.315 || || || 7 || [[빙그레 이글스]] || 54 || 12 || 0 || 42 || 27.0 || 0.222 || || ||<-9> '''후기리그''' || || 1 || [[OB 베어스]] || 54 || 33 || 2 || 19 || 0.0 || 0.635 || || || 2 || [[해태 타이거즈]] || 54 || 33 || 2 || 19 || 0.0 || 0.635 || [* KBO 역대 최초 타이브레이커 경기...이긴 했으나 실질적으로 해태의 경우 전기리그에서 2위 이내의 성적을 거두며 포스트시즌 자격요건을 갖추며 한국시리즈 자동진출인 상황이라 실질적으로 [[KBO 리그/2021년/정규시즌 1위 결정전|단일리그로 통합되지 않던 시절]]의 순위 싸움이라 볼 수 있다.] || || 3 || [[MBC 청룡]] || 54 || 31 || 4 || 19 || 1.0 || 0.620 || || || 4 || [[삼성 라이온즈]] || 54 || 31 || 1 || 22 || 2.5 || 0.585 || || || 5 || [[롯데 자이언츠]] || 54 || 20 || 2 || 32 || 13.0 || 0.385 || || || 6 || [[빙그레 이글스]] || 54 || 19 || 1 || 34 || 14.5 || 0.358 || || || 7 || [[청보 핀토스]] || 54 || 15 || 2 || 37 || 18.0 || 0.288 || || ||<-9> '''통합승률''' || || 1 || [[삼성 라이온즈]] || 108 || 70 || 1 || 37 || 0.0 || 0.654 || 구단 통산 첫 플레이오프 직행 || ## 한 팀이 전·후기 모두 2위 이내에 들면 자동으로 KS 진출, 나머지 팀끼리 PO 실시. || 2 || [[해태 타이거즈]] || 108 || 67 || 4 || 37 || 1.5 || 0.644 || 구단 통산 2번째 우승 ^^V2^^[br]구단 통산 2년 연속 우승[br]구단 통산 2번째 한국시리즈 직행 || || 3 || [[MBC 청룡]] || 108 || 59 || 8 || 41 || 6.0 || 0.590 || || || 4 || [[OB 베어스]] || 108 || 56 || 4 || 48 || 11.0 || 0.538 || || || 5 || [[롯데 자이언츠]] || 108 || 50 || 6 || 52 || 16.0 || 0.490 || || || 6 || [[청보 핀토스]] || 108 || 32 || 2 || 74 || 36.0 || 0.302 || || || 7 || [[빙그레 이글스]] || 108 || 31 || 1 || 76 || 37.5 || 0.290 || || 전기리그 1위는 삼성, 후기리그 1위는 OB가 차지했지만, 전기리그 2위와 후기리그 2위는 해태가 차지했다는 점이었다. 정확히는 후기는 두 팀이 공동 1위였는데, 당시에는 공동 1위가 나오는 경우는 3전 2선승제로 리그 우승 팀을 가린다는 규정이 있었다. 그래서 두 팀은 포스트시즌 대진과는 전혀 관계가 없는 우승결정전을 치렀고 여기서 해태가 져서 2위였다. 그래서 해태는 플레이오프를 거치지 않고, 바로 한국시리즈에 진출했다. [[MBC 청룡]]은 지난해의 부진을 딛고 [[김건우(1963)|김건우]]가 신인상을 수상하고 [[김용수]]가 구원왕으로 자리잡으며 단숨에 상위권으로 도약했다. 후기리그에서 후반기 줄곧 2위권을 지키며 플레이오프는 안정권으로 보였고 우승도 바라볼 수 있었으나 1위 해태와 3위 OB의 3연전에서 OB가 모두 가져가면서 꼬이기 시작했고, 결국 3위로 내려앉은 뒤 최종전에서 반드시 승리한 다음, OB가 롯데에 져야하는 상황이 되었다. 최종전에서 청룡이 해태에 승리했고, 롯데가 3년 연속 20승이 걸려있던 에이스 [[최동원]]을 앞세워 9회말이 시작할때까지 3:1로 이기고 있었으나 9회말 [[김형석(야구)|김형석]]이 터뜨린 극적인 동점 홈런과[* 소위 'OB아재'라 불릴 만한 베어스의 올드 팬들이 기억하고 있는 '''운명의 한 방'''이라는 홈런이 이 홈런이다. 이 홈런을 맞은 [[최동원]]은 3년 연속 20승 도전이 무산되고 말았다.] 롯데 야수진의 끝내기 실책이 나오면서 OB가 후기리그 우승을 차지하며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는데 성공했다. 이 해 꼴찌는 [[청보 핀토스]]가 아닌 [[빙그레 이글스]]였다. 당연히 1년차 신생팀이었기 때문. 하지만 그 빙그레를 누른 청보도 성적은 처참했다. 바로 이 해의 감독이 ~~허구라~~'''[[허구연]]'''이었던 것. 40도 안 된 초보 감독인지라 엄청난 부진에 빠졌고 결국 5월 11일, 해외 유학을 이유로 [[강태정]] 수석코치에게 잠시 감독 대행을 맡겼고 후기리그가 시작되자 미자 돌아왔으나 7승 2무 '''17패'''를 기록하며 씁쓸하게 물러났다. ~~그래서 인천팬들 사이에 "'''허구헌'''날 지는 '''허구연'''"이란 [[드립]]이 한때 유행하기도...~~ 어쨌든 이 두 팀 때문에 엄청난 승률 인플레가 일어났다. 뭐 그 시절엔 전력차가 심했던지라 흔한 일이었지만. 승률 3할 5푼 미만의 팀이 2팀이나 된 유일한 시즌인데 34년 뒤인 2020년 청보의 연고지 인천을 연고로 하는 [[SK 와이번스]]와 같은 대전 연고에 빙그레의 후신인 [[한화 이글스]]에 의해 재현되어 극심한 리그 승률 인플레에 기여하고 있다. 여담으로 이 시즌은 최악의 [[투고타저]]를 자랑한 시즌으로 리그 평균자책점이 '''3.03'''에 불과했다. == 시즌 최종과 시즌 마감 == === 정규 시즌 기록 1위 === 이하 '''실제로 수상이 이루어지는 1위 타이틀은 굵게 표시'''한다. 순서는 '단일 시즌 기록' - '개인 통산 기록' - '개인 통산 O년 연속 기록' - '구단 통산 기록' - 'KBO 역대 기록' 순이다. '구단 통산 기록'의 경우 '''타이틀 홀더 수상이 이뤄지는 부문'''에 한해 기록한다. '피-'의 경우 -개, 그외의 기록은 '-홈런, -안타' 등으로 기재. ||<-9>
'''다음은 해당 기록을 달성 시 추가 작성.'''[* 다만 '투수-이닝'의 경우 타이틀홀더 대상이 아님.] || ||<|2> '''타자''' || '''수위타자''' || '''최다 안타''' || '''홈런''' || '''타점''' || '''득점''' || '''출루율''' || '''장타율''' || '''도루''' || || 0.350+[br]0.370+ || 180+[br]190+ || 40+[br]50+ || 120+[br]140+ || 100+[br]120+ || 0.450+[br]0.470+ || 0.600+[br]0.700+ || 50+, 60+[br]70+, 80+ || ||<|2> '''투수''' || '''다승''' || '''평균자책점''' || '''탈삼진''' || '''세이브''' || '''홀드''' || 이닝 || || 20+ || 2.25↓, 2.00↓[br][[한국프로야구/1986년|--1.5↓, 1.0↓--]] || 180+, 200+, 220+ || 30+, 40+, 45+ || 30+, 40+ || 200+, [[한국프로야구/1983년|--250+, 300+--]] || ==== 타자, 공격 ==== ||
'''타이틀''' || '''선수명''' || '''소속팀''' || '''기록''' || '''비고''' || || '''수위 타자''' || [[장효조]] || [[삼성 라이온즈]] || 0.329 || 개인 통산 3번째 타율왕[br]개인 통산 2년 연속 타율왕[br]구단 통산 4번째 타율왕[br]구단 통산 4년 연속 타율왕 || ## 최다 안타는 1990년부터 수상 || 최다 안타 || [[이광은]] || [[MBC 청룡]] || 124안타 || 개인 통산 첫 최다 안타 1위[br]구단 통산 2번째 최다 안타 1위 || || '''홈런''' ||<|2> [[김봉연]] ||<|2> [[해태 타이거즈]] || 21홈런 || 개인 통산 2번째 홈런왕[br]구단 통산 3번째 홈런왕[br]구단 통산 2년 연속 홈런왕 || || '''타점''' || 67타점 || 개인 통산 첫 타점왕[br]구단 통산 2번째 타점왕 || ## 승리타점왕은 1990년 폐지 || '''승리 타점''' || [[한대화]] || [[해태 타이거즈]] || 15타점 || 개인 통산 첫 승리타점왕[br]구단 통산 첫 승리타점왕 || || '''도루''' || [[서정환]] || [[해태 타이거즈]] || 43도루 || 개인 통산 첫 도루왕[br]구단 통산 4번째 도루왕 || ## 득점왕은 2000년부터 수상 || 득점 || [[김재박]] || [[MBC 청룡]] || 67득점 || 개인 통산 첫 득점 1위[br]구단 통산 4번째 득점 1위 || || '''출루율''' || [[장효조]] || [[삼성 라이온즈]] || 0.436 || 개인 통산 4번째 출루율왕[br]개인 통산 4년 연속 출루율왕[br]구단 통산 4번째 출루율왕[br]구단 통산 4년 연속 출루율왕 || || '''장타율''' || [[김봉연]] || [[해태 타이거즈]] || 0.514 || 개인 통산 첫 장타율왕[br]구단 통산 2번째 장타율왕[br]구단 통산 2년 연속 장타율왕 || || 사사구 || [[장효조]] || [[삼성 라이온즈]] || 60개 || 볼넷 59개 + 몸에 맞는 공 1개 || || 몸에 맞는 공 || [[박흥식(야구)|박흥식]] || [[MBC 청룡]] || 10개 || || || 피삼진 || [[김바위]] || [[청보 핀토스]] || 61개 || || || 병살타 || [[김용철(야구)|김용철]] || [[롯데 자이언츠]] || 14개 || || ==== 투수, 수비 ==== ||
'''타이틀''' || '''선수명''' || '''소속팀''' || '''기록''' || '''비고''' || ## 1982~92년 트리플 크라운은 다승, 평균자책점, 승률 / 93년~ 다승, 평균자책점, 탈삼진 || '''다승''' ||<|2> [[선동열]] ||<|2> [[해태 타이거즈]] || 24승 || 개인 통산 첫 다승왕[br]구단 통산 첫 다승왕[br]KBO 역대 8번째 20승 투수 || || '''평균자책점''' || 0.99 || 개인 통산 2번째 방어율왕[br]개인 통산 2년 연속 방어율왕[br]구단 통산 2번째 방어율왕[br]구단 통산 2년 연속 방어율왕[br]KBO 역대 7번째 2.25 이하 방어율 ^^6명^^[br]KBO 역대 5번째 2.0 이하 방어율^^6명^^[br]KBO 역대 최초 1.5 이하 방어율[br]KBO 역대 최초 1 이하 방어율 || || '''승률''' || [[최일언]] || [[OB 베어스]] || 0.826 || 시즌 19승 4패[br]개인 통산 첫 승률왕[br]구단 통산 3번째 승률왕[br]구단 통산 2년 연속 승률왕 || ## 탈삼진왕은 1993년부터 수상 || 탈삼진 || [[선동열]] || [[해태 타이거즈]] || 214K || 개인 통산 첫 탈삼진 1위[br]구단 통산 첫 탈삼진 1위[br]KBO 역대 4번째 200+ 탈삼진 || ## 구원왕은 2004년 폐지 || '''구원''' ||<|2> [[김용수]] ||<|2> [[MBC 청룡]] || 35포인트 || 개인 통산 첫 구원왕[* 9승 + 26세이브][br]구단 통산 첫 구원왕 || ## 세이브왕은 2004년부터 수상 || 세이브 || 26세이브 || 개인 통산 첫 세이브 1위[br]구단 통산 첫 세이브 1위 || ## 홀드왕의 경우 2000년부터 수상 ## || '''홀드''' || || || 00홀드 || || || 이닝 || [[최동원]] || [[롯데 자이언츠]] || 267이닝 || KBO 역대 20번째 200+ 이닝 ^^6명^^[br]KBO 역대 6번째 250+ 이닝 ^^2명^^ || || 등판 || [[김용수]] || [[MBC 청룡]] || 60경기 || || || 피홈런 || [[한희민]] || [[빙그레 이글스]] || 18개 || || || 피안타 || [[김신부]] || [[청보 핀토스]] || 220개 || || || 사사구 허용 || [[김시진]] || [[삼성 라이온즈]] || 116개 || 볼넷 110개 + 몸에 맞는 공 6개 || || 패전 || [[장명부]] || [[빙그레 이글스]] || 18패 || || || 몸에 맞는 공 허용 || [[김신부]] || [[청보 핀토스]] || 21개 || || || 야수 실책 || [[유지훤]] || [[OB 베어스]] || 31개 || || ||<|2> 투수 폭투 || [[김기태(재일교포)|김기태]] || [[청보 핀토스]] ||<|2> 6개 || || || [[권영호(야구선수)|권영호]] || [[삼성 라이온즈]] || || == 신인드래프트 == [[한국프로야구/1987년/신인드래프트]] == 포스트시즌 == [[한국프로야구/1986년 포스트시즌]]으로 이동. [[분류:한국프로야구/1986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