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KBO 리그)] [include(틀:KBO 리그 시즌)] || '''기간''' || [[1987년]] [[4월 4일]] ~ [[1987년]] [[10월 25일]] || || '''참가팀 ''' ||[[해태 타이거즈]], [[OB 베어스]], [[롯데 자이언츠]], [[청보 핀토스]],[br] [[삼성 라이온즈]], [[MBC 청룡]], [[빙그레 이글스]] 이상 7개팀. || [목차] == 개요 == 1987년 열린 프로야구 시즌. 팀당 108경기, 총 378경기를 치뤘다. 전년도 준우승에 그친 [[삼성 라이온즈]]는 타격코치 [[박영길]]을 새 감독으로 선임하였고 그 결과 그 해 삼성은 프로야구 최초로 팀타율 3할을 기록했다.[* 게다가 2014년까지는 유일이었다. 이 유일이란 타이틀을 깬 팀은 다름 아닌 '''[[삼성 라이온즈/2014년|2014년 삼성]]'''으로 이 해의 타율 기록을 경신했다. 그리고 [[삼성 라이온즈/2015년|이듬해]]에도 또 경신. ~~정작 그 세번 중 우승한 해는 2014년 뿐이다.(...)~~ 이후 타고투저의 광풍으로 [[KIA 타이거즈/2017년|2017년 KIA]]와 [[두산 베어스/2018년|2018년 두산]]도 팀 타율 3할을 기록한다.] [[김성래]], [[장효조]], [[이만수]], [[허규옥]], [[류중일]] 등 5명이나 세 자리 수 안타를 때려냈고 타격왕 장효조, 타점왕 이만수, 홈런왕 김성래 등 타이틀을 거머쥐었다. 여기에 [[김동재]] 0.318, [[오대석]] 0.326 [[허규옥]] 0.326, [[박승호(야구)|박승호]] 0.286 [[장태수(1957)|장태수]] 0.282 등 하위타선까지 0.250 이하는 한 명도 없는 그야말로 쉬어갈 틈이 없는 역사에 길이 남을 타선을 구축했다. 또한 삼성은 [[한국프로야구/1985년|1985년]]에 이어 전/후기 통합 우승을 다시 이루어내어 한국시리즈에 직행했다. 한국시리즈 상대는 [[OB 베어스]]를 간신히 이기고 온 전년도 우승팀 [[해태 타이거즈]]. 이번에야 말로 삼성의 한국시리즈 우승이 유력했지만 현실은... === 5월 16일 [[해태 타이거즈|해태]] VS [[롯데 자이언츠|롯데]] === [Youtube(EmLvufDq_0g)] ||<-20><#ffffff,#191919> {{{#000000 ''' 5.16(토), 14:00 [[사직 야구장|{{{#000000 사직 야구장}}}]]'''}}}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R''' || '''H''' || '''E''' || ||<#f01e23> '''[[해태 타이거즈|{{{#ffffff 해태}}}]]''' || [[선동열]] || 0 || 0 || 1 || 0 || 0 || 0 || 0 || 0 || 1 || 0 || 0 || 0 || 0 || 0 || 0 || '''2''' || 11 || 1 || ||<#87ceeb> '''[[롯데 자이언츠|{{{#ed1c24 롯데}}}]]''' || [[최동원]] || 0 || 2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2''' || 7 || 1 || 이 경기에서 [[선동열]]과 [[최동원]]은 무려 15회까지 불펜투수 없이 완투한 경기다. 경기에 대해 자세한 내용은 [[선동열 vs 최동원#s-4|선동열 vs 최동원]] 항목 참조. 그리고 이 경기는 약 24년 후 [[퍼펙트 게임(2011)|퍼펙트 게임]]이라는 제목으로 영화화되었다. == 정규시즌 최종순위 == || '''순위''' ||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게임차''' || '''승률''' || '''비고''' || ||<-9> '''전기리그''' || || 1 || [[삼성 라이온즈]] || 54 || 33 || 0 || 21 || 0.0 || 0.611 || || || 2 || [[OB 베어스]] || 54 || 31 || 1 || 22 || 1.5 || 0.583 || || || 3 || [[해태 타이거즈]] || 54 || 27 || 2 || 25 || 5.0 || 0.519 || || || 3 || [[롯데 자이언츠]] || 54 || 27 || 2 || 25 || 5.0 || 0.519 || || || 5 || [[MBC 청룡]] || 54 || 24 || 3 || 27 || 6.5 || 0.472 || || || 6 || [[빙그레 이글스]] || 54 || 24 || 2 || 28 || 7.0 || 0.463 || || || 7 || [[청보 핀토스]] || 54 || 18 || 0 || 36 || 15.0 || 0.333 || || ||<-9> '''후기리그''' || || 1 || [[삼성 라이온즈]] || 54 || 31 || 0 || 23 || 0.0 || 0.574 || || || 2 || [[해태 타이거즈]] || 54 || 28 || 3 || 23 || 1.5 || 0.549 || || || 3 || [[롯데 자이언츠]] || 54 || 27 || 3 || 24 || 2.5 || 0.528 || || || 4 || [[MBC 청룡]] || 54 || 26 || 4 || 24 || 3.0 || 0.519 || || || 5 || [[OB 베어스]] || 54 || 24 || 0 || 30 || 7.0 || 0.444 || || || 5 || [[청보 핀토스]] || 54 || 23 || 2 || 29 || 7.0 || 0.444 || || || 5 || [[빙그레 이글스]] || 54 || 23 || 2 || 29 || 7.0 || 0.444 || || ||<-9> '''통합승률''' || ## 한 팀이 전·후기 모두 2위 이내에 들면 자동으로 KS 진출, 나머지 팀끼리 PO 실시. || 1 || [[해태 타이거즈]] || 108 || 55 || 5 || 48 || 0.0 || 0.532 || 구단 통산 3번째 우승 ^^V3^^[br]구단 통산 3년 연속 우승 || || 2 || [[삼성 라이온즈]] || 108 || 64 || 0 || 44 || -6.5 || 0.593 || 구단 통산 2번째 한국시리즈 직행 || || 3 || [[롯데 자이언츠]] || 108 || 54 || 5 || 49 || 1.0 || 0.523 || || || 4 || [[OB 베어스]] || 108 || 55 || 1 || 52 || 2.0 || 0.514 || 구단 통산 첫 플레이오프 직행 || || 5 || [[MBC 청룡]] || 108 || 50 || 7 || 51 || 4.0 || 0.495 || || || 6 || [[빙그레 이글스]] || 108 || 47 || 4 || 57 || 8.5 || 0.454 || || || 7 || [[청보 핀토스]] || 108 || 41 || 2 || 65 || 15.5 || 0.389 || || 이 시즌부터 무승부를 0.5승으로 간주하는 승률제가 채택되었다. 즉, ((승수+무승부 수*0.5)/전체 경기수)의 공식을 사용했다.[* 그래서 [[한국프로야구/1991년|1991년]]에 신생팀 [[쌍방울 레이더스]]가 ~~[[내려갈 팀은 내려간다|내려온]]~~ 전년도 우승팀 [[LG 트윈스]]와 공동 6위를 기록했다.] [[삼성 라이온즈]]가 1985년 시즌에 이어 다시 한번 리그를 지배한 시즌. [[OB 베어스]]는 여전히 강자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었고 [[해태 타이거즈]]는 후기 2위로 간신히 포스트시즌에 진출했다. [* 그것도 후기리그 내내 2위였던 mbc를 겨우 역전하였고 막판 롯데의 거센 추격을 뿌리치면서 간신히 2위를 기록했다.] 누가 봐도 삼성의 우승이 유력했다. 그러나... [[MBC 청룡]]은 2년 연속 불운에 의해 눈물을 흘려야했다. 전기리그 김건우의 소포모어 징크스와 김재박의 실책, 유종겸의 부상 등으로 고전한 끝에 5위까지 내려앉으며 김동엽 감독이 경질되었다가 후반기 김건우의 부활과 이광은-김상훈의 맹활약과 함께 줄곧 2위 이내에서 머물며 플레이오프 진출이 유력해보였다. 그러다가 [[김건우(1963)|김건우]]가 교통사고를 당하며 전력에서 이탈한 것이 치명타가 되었으며, 시즌 막판에는 청보와의 경기에서는 1루주자 [[김우근]]이 홈으로 달리다가 다리에 쥐가 나서 넘어지는 바람에 아웃당해 다잡은 경기를 비기는 불운까지 겹쳤다. 결국 청룡은 이 무승부가 짐이 되어 삼성의 암묵적 밀어주기[* 대표적 예로 10월 2일 경기에서 수비 잘하기로 소문난 중견수 [[허규옥]]이 [[김상훈(1960)|김상훈]]의 임과장존 타구를 [[히 드랍 더 볼|잡다가 놓치면서]] 2루타로 만들어주면서 MBC의 2-1 역전승을 도왔다.]에도 불구하고 시즌 마지막 경기에서 해태에게 가을야구 티켓을 넘겨주고 말았다. == 시즌 최종과 시즌 마감 == === 정규 시즌 기록 1위 === 이하 '''실제로 수상이 이루어지는 1위 타이틀은 굵게 표시'''한다. 순서는 '단일 시즌 기록' - '개인 통산 기록' - '개인 통산 O년 연속 기록' - '구단 통산 기록' - 'KBO 역대 기록' 순이다. '구단 통산 기록'의 경우 '''타이틀 홀더 수상이 이뤄지는 부문'''에 한해 기록한다. '피-'의 경우 -개, 그외의 기록은 '-홈런, -안타' 등으로 기재. ||<-9>
'''다음은 해당 기록을 달성 시 추가 작성.'''[* 다만 '투수-이닝'의 경우 타이틀홀더 대상이 아님.] || ||<|2> '''타자''' || '''수위타자''' || '''최다 안타''' || '''홈런''' || '''타점''' || '''득점''' || '''출루율''' || '''장타율''' || '''도루''' || || 0.350+[br]0.370+ || 180+[br]190+ || 40+[br]50+ || 120+[br]140+ || 100+[br]120+ || 0.450+[br]0.470+ || 0.600+[br]0.700+ || 50+, 60+[br]70+, 80+ || ||<|2> '''투수''' || '''다승''' || '''평균자책점''' || '''탈삼진''' || '''세이브''' || '''홀드''' || 이닝 || || 20+ || 2.25↓, 2.00↓[br][[한국프로야구/1986년|--1.5↓, 1.0↓--]] || 180+, 200+, 220+ || 30+, 40+, 45+ || 30+, 40+ || 200+, [[한국프로야구/1983년|--250+, 300+--]] || ==== 타자, 공격 ==== ||
'''타이틀''' || '''선수명''' || '''소속팀''' || '''기록''' || '''비고''' || || '''수위 타자''' || [[장효조]] || [[삼성 라이온즈]] || .387 || 개인 통산 2번째 0.370+ 타율[br]개인 통산 4번째 타율왕[br]개인 통산 3년 연속 타율왕[br]구단 통산 5번째 타율왕[br]구단 통산 5년 연속 타율왕[br]KBO 역대 3번째 0.370+ 타율 || ## 최다 안타는 1990년부터 수상 || 최다 안타 || [[이정훈(1963)|이정훈]] || [[빙그레 이글스]] || 124안타 || 개인 통산 첫 최다 안타 1위[br]구단 통산 첫 최다 안타 1위 || || '''홈런''' || [[김성래]] || [[삼성 라이온즈]] || 22홈런 || 개인 통산 첫 홈런왕[br]구단 통산 4번째 홈런왕 || || '''타점''' || [[이만수]] || [[삼성 라이온즈]] || 76타점 || 개인 통산 4번째 타점왕[br]구단 통산 4번째 타점왕 || ## 승리타점왕은 1990년 폐지 || '''승리 타점''' || [[김형석(야구)|김형석]] || [[OB베어스]] || 11타점 || 개인 통산 첫 승리타점왕[br]구단 통산 2번째 승리타점왕 || || '''도루''' || [[이해창(1953)|이해창]] || [[청보 핀토스]] || 54도루 || 개인 통산 첫 도루왕[br]구단 통산 첫 도루왕[br]KBO 역대 3번째 50+ 도루 || ## 득점왕은 2000년부터 수상 || 득점 || [[이광은]] || [[MBC 청룡]] || 66득점 || 개인 통산 첫 득점 1위[br]구단 통산 5번째 득점 1위[br]구단 통산 2년 연속 득점 1위 || || '''출루율''' || [[장효조]] || [[삼성 라이온즈]] || .461 || 개인 통산 5번째 출루율왕[br]개인 통산 5년 연속 출루율왕[br]구단 통산 5번째 출루율왕[br]구단 통산 5년 연속 출루율왕 || || '''장타율''' || [[이만수]] || [[삼성 라이온즈]] || .579 || 개인 통산 2번째 장타율왕[br]구단 통산 3번째 장타율왕 || || 사사구 || [[김광수(1959)|김광수]] || [[OB 베어스]] || 59개 || 볼넷 54개 + 몸에 맞는 공 5개 || ||<|2> 몸에 맞는 공 || [[이광은]] || [[MBC 청룡]] ||<|2> 10개 || || || [[이정훈(1963)|이정훈]] || [[빙그레 이글스]] || || || 피삼진 || [[장종훈]] || [[빙그레 이글스]] || 62개 || || || 병살타 || [[유승안]] || [[빙그레 이글스]] || 17개 || || ==== 투수, 수비 ==== ||
'''타이틀''' || '''선수명''' || '''소속팀''' || '''기록''' || '''비고''' || ## 1982~92년 트리플 크라운은 다승, 평균자책점, 승률 / 93년~ 다승, 평균자책점, 탈삼진 || '''다승''' || [[김시진]] || [[삼성 라이온즈]] || 23승 || 개인 통산 2번째 다승왕[br]구단 통산 2번째 다승왕[br]KBO 역대 9번째 20승 투수 || || '''평균자책점''' ||<|2> [[선동열]] ||<|2> [[해태 타이거즈]] || 0.89 || 개인 통산 3번째 방어율왕[br]개인 통산 3년 연속 방어율왕[br]개인 통산 2년 연속 1 이하 방어율왕[br]구단 통산 3번째 방어율왕[br]구단 통산 3년 연속 방어율왕[br]KBO 역대 13번째 2.25 이하 방어율 ^^3명^^[br]KBO 역대 11번째 2.0 이하 방어율 ^^2명^^[br]KBO 역대 2번째 1.5 이하 방어율[br]KBO 역대 2번째 1 이하 방어율 || || '''승률''' || 0.875 || 시즌 14승 2패[br]개인 통산 첫 승률왕[br]구단 통산 첫 승률왕 || ## 탈삼진왕은 1993년부터 수상 || 탈삼진 || [[최동원]] || [[롯데 자이언츠]] || 163K || 개인 통산 2번째 탈삼진 1위[br]구단 통산 3번째 탈삼진 1위 || || '''구원''' ||<|2> [[김용수]] ||<|2> [[MBC 청룡]] || 33포인트 || 개인 통산 2번째 구원왕[* 9승 + 24세이브][br]구단 통산 2번째 구원왕[br]구단 통산 2년 연속 구원왕 || ## 세이브왕은 2004년부터 수상 || 세이브 || 24세이브 || 개인 통산 2번째 구원왕[br]구단 통산 2번째 세이브 1위[br]구단 통산 2년 연속 세이브 1위 || ## 홀드왕의 경우 2000년부터 수상 ## || '''홀드''' || || || 00홀드 || || || 이닝 || [[이상군]] || [[빙그레 이글스]] || 246⅔이닝 || KBO 역대 26번째 200+ 이닝 ^^5명^^ || || 등판 || [[김용수]] || [[MBC 청룡]] || 52경기 || || || 피홈런 || [[양상문]] || [[청보 핀토스]] || 18개 || || || 피안타 || [[이상군]] || [[빙그레 이글스]] || 233개 || || || 사사구 허용 || [[김시진]] || [[삼성 라이온즈]] || 103개 || 볼넷 96개 + 몸에 맞는 공 7개 || || 패전 || [[정삼흠]] || [[MBC 청룡]] || 13패 || || ||<|2> 몸에 맞는 공 허용 || [[박동수(1961)|박동수]] || [[롯데 자이언츠]] ||<|2> 13개 || || || [[김신부]] || [[청보 핀토스]] || || || 야수 실책 || [[장종훈]] || [[빙그레 이글스]] || 26개 || || || 투수 폭투 || [[임호균]] || [[청보 핀토스]] || 8개 || || == 신인드래프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한국프로야구/1988년/신인드래프트)] == 포스트시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한국프로야구/1987년 포스트시즌)] [[분류:한국프로야구/1987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