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KBO 리그)] [include(틀:KBO 리그 시즌)] ||<:> '''기간''' || [[1990년]] ~~[[4월 7일]]~~[* 개막전 전 경기가 우천취소되었다.][[4월 8일]] ~ [[1990년]] [[10월 2일]] (정규시즌)[br] [[1990년]] [[10월 6일]] ~ [[1990년]] [[10월 28일]] (포스트시즌) || ||<:> '''참가팀 ''' ||[[해태 타이거즈]], [[OB 베어스]], [[롯데 자이언츠]], [[태평양 돌핀스]],[BR] [[삼성 라이온즈]], [[LG 트윈스]], [[빙그레 이글스]] 이상 7개팀. || [목차] == 개요 == 1990년에 열린 프로야구 시즌. 팀당 120경기씩 420경기가 열렸다. [[LG그룹|럭키금성 그룹]]이 [[MBC 청룡]]을 인수하여 [[LG 트윈스]]로 새롭게 창단되었다. LG는 [[백인천]] 감독의 지도로 시즌 초 꼴찌에서 페넌트레이스 우승을 하는 기적의 드라마를 썼다. [[김재박]], [[이광은]] 등의 베테랑과 [[김상훈(1960)|김상훈]], [[윤덕규]], [[박흥식(야구)|박흥식]] 등 중견선수들의 조화, 그리고 선발의 [[김용수]], [[김태원(야구선수)|김태원]], 마무리로 [[정삼흠]]이 활약했다. 유독 사건사고가 잦은 해였다. 5월 29일 대구구장 [[이만수]] 깡통 투척사건을 시작으로,[* 이 경기에 하필이면 이만수 아들과 아들의 담임선생님이 경기를 보러간 날이었다.....] 6월 5일에는 삼성-OB의 난투극이 일어났고, 8월 26일 LG-해태의 최종전에서는 그 유명한 '''[[잠실구장 패싸움 사건]]'''이 일어났다. == 정규시즌 최종순위 == ||<#0066b3> '''{{{#white 순위}}}''' ||<#0066b3> '''{{{#white 팀}}}''' ||<#0066b3> '''{{{#white 경기수}}}''' ||<#0066b3> '''{{{#white 승}}}''' ||<#0066b3> '''{{{#white 무}}}''' ||<#0066b3> '''{{{#white 패}}}''' ||<#0066b3> '''{{{#white 게임차}}}''' ||<#0066b3> '''{{{#white 승률}}}''' ||<#0066b3> '''{{{#white 비고}}}''' || || 1 || [[LG 트윈스]] ||<|7> 120 || 71 || 0 || 49 || 0.0 || 0.592 || 한국시리즈 직행 || || 2 || [[해태 타이거즈]] || 68 || 3 || 49 || 1.5 || 0.579 || 플레이오프 직행 || || 3 || [[빙그레 이글스]] || 68 || 2 || 50 || 2.0 || 0.575 || 준플레이오프 직행 || || 4 || [[삼성 라이온즈]] || 66 || 2 || 52 || 4.0 || 0.558 || 준플레이오프 직행 || || 5 || [[태평양 돌핀스]] || 58 || 3 || 59 || 11.5 || 0.496 ||<|3> 포스트시즌 탈락 || || 6 || [[롯데 자이언츠]] || 44 || 5 || 71 || 24.5 || 0.388 || || 7 || [[OB 베어스]] || 35 || 5 || 80 || 33.5 || 0.313 || [[한국프로야구/1996년|1996년 시즌]], [[한국프로야구/2013년|2013년 시즌]] 못지않은 상위권 팀끼리의 싸움이 박터졌던 시즌. 시즌 최종전에서야 한국시리즈 직행팀이 결정날 정도였다. [[빙그레 이글스]]가 [[LG 트윈스]]와 [[삼성 라이온즈]]의 도전을 뿌리치며 8월말 여유로운 선두를 차지하며 손쉽게 한국시리즈에 직행하는듯 했으나 9월 [[김영덕]] 감독의 종신감독 파문으로 수석코치 [[강병철]]과의 불화가 터지며 9월에 수직추락해 3위로 떨어지고 말았다. 8월을 5경기차 3위로 마쳤던 [[LG 트윈스]]가 이 틈을 타 선두를 탈환했고 시즌 내내 4위에 머물던 [[해태 타이거즈]]가 9월 대반격에 나서며 선두자리까지 빼앗으며 매직넘버를 가져가기도 했으나 [[태평양 돌핀스]]와의 더블헤더 마지막 경기에서 덜미를 잡히면서 OB와의 최종전에서 [[김동수(야구)|김동수]]의 극적인 끝내기홈런으로 승리한 [[LG 트윈스]]가 창단 첫 해에 극적으로 페넌트레이스 우승을 확정지었다. [[MBC 청룡]]에서 [[LG 트윈스]]로 넘어간 첫 해에 LG는 시즌 초반 꼴찌에서 허덕였으나 부상자들이 다 돌아온 6월부터 투타의 안정으로 급상승세를 타며 결국 마지막 날 웃게 됐다. 전년도 돌풍의 팀이었던 [[태평양 돌핀스]]는 지난 해의 여력을 어찌어찌 끌고 갔지만 승률 5할에서 1승이 모자란 5위에 그쳤다. 이 해 태평양은 우천취소로 6월 18일 빙그레전부터 7월 1일 올스타 브레이크까지 무려 2주를 시합 없이 보내야 했다. [[OB 베어스]]는 옆집과는 달리 팀 사상 첫 꼴찌를 하며 이후 몇 년간 펼쳐지는 암흑기를 시작한다. 이해 기록한 80패는 당시 기준으로 1986년 원년 [[빙그레 이글스]]의 76패를 넘어 프로야구 한 시즌 최다패였다. 이 시즌 후 7개 구단 체제가 마무리 되며, [[한국프로야구/1991년|이듬해]]부터 [[쌍방울 레이더스|8개]] 구단 체제가 된다. == 시즌 최종과 시즌 마감 == === 최종 순위 === ||<#0066b3> '''{{{#white 순위}}}''' ||<#0066b3> '''{{{#white 팀}}}''' ||<#0066b3> '''{{{#white 경기수}}}''' ||<#0066b3> '''{{{#white 승}}}''' ||<#0066b3> '''{{{#white 무}}}''' ||<#0066b3> '''{{{#white 패}}}''' ||<#0066b3> '''{{{#white 게임차}}}''' ||<#0066b3> '''{{{#white 승률}}}''' || || 1 || [[LG 트윈스]] ||<|7> 120 || 71 || 0 || 49 || 0.0 || 0.592 || || 2 || [[삼성 라이온즈]] || 66 || 2 || 52 || 4.0 || 0.558 || || 3 || [[해태 타이거즈]] || 68 || 3 || 49 || 1.5 || 0.579 || || 4 || [[빙그레 이글스]] || 68 || 2 || 50 || 2.0 || 0.575 || || 5 || [[태평양 돌핀스]] || 58 || 3 || 59 || 11.5 || 0.496 || || 6 || [[롯데 자이언츠]] || 44 || 5 || 71 || 24.5 || 0.388 || || 7 || [[OB 베어스]] || 35 || 5 || 80 || 33.5 || 0.313 || 정규시즌에 4위를 기록한 [[삼성 라이온즈]]가 준플레이오프,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하고 한국시리즈에 진출하여 [[해태 타이거즈]]와 [[빙그레 이글스]]의 최종 순위는 한 단계씩 내려갔다. 정규시즌 종료 2주 전까지만 해도 1위를 유지하던 빙그레로써는 최악의 결과를 맞이한 셈. === 정규 시즌 기록 1위 === 이하 '''실제로 수상이 이루어지는 1위 타이틀은 굵게 표시'''한다. 순서는 '단일 시즌 기록' - '개인 통산 기록' - '개인 통산 O년 연속 기록' - 'KBO 역대 기록' 순이다. '피-'의 경우 -개, 그외의 기록은 '-홈런, -안타' 등으로 기재. ==== 타자, 공격 ==== || '''타이틀''' || '''선수명''' || '''소속팀''' || '''기록''' || '''비고''' || || '''수위 타자''' || [[한대화]] || [[해태 타이거즈]] || .3349 || 개인 통산 첫 타율왕[br]2위 [[이강돈]]과 타율 1모 차이[* '''한대화(.3349)''' VS '''이강돈(.3348)''']로 등극 || || '''최다 안타''' || [[이강돈]] || [[빙그레 이글스]] || 146안타 || 개인 통산 첫 최다안타왕[br](비공식) 개인 통산 2년 연속 최다안타왕 || || '''홈런''' ||<|2> [[장종훈]] ||<|2> [[빙그레 이글스]] || 28홈런 ||<|2> 개인 통산 첫 홈런왕[br]개인 통산 첫 타점왕 || || '''타점''' || 91타점 || || '''도루''' || [[김일권]] || [[태평양 돌핀스]] || 48도루 || 개인 통산 5번째 도루왕[br]개인 통산 2년 연속 도루왕 || || 득점 || [[이강돈]] || [[빙그레 이글스]] || 81득점 || || || '''출루율''' || [[한대화]] || [[해태 타이거즈]] || .432 || 개인 통산 2번째 출루율왕[br]개인 통산 2년 연속 출루율왕 || || '''장타율''' || [[장종훈]] || [[빙그레 이글스]] || .545 || 개인 통산 첫 장타율왕 || ||<|2> 사사구 || [[장종훈]] || [[빙그레 이글스]] ||<|2> 80개 || 볼넷 69개 + 몸에 맞는 공 11개 || || [[한영준]] || [[롯데 자이언츠]] || [* 볼넷 68개 + 몸에 맞는 공 12개] || || 몸에 맞는 공 || [[한영준]] || [[롯데 자이언츠]] || 12개 || || || 피삼진 || [[장종훈]] || [[빙그레 이글스]] || 84개 || || || 병살타 || [[김경기]] || [[태평양 돌핀스]] || 17개 || || ==== 투수, 수비 ==== || '''타이틀''' || '''선수명''' || '''소속팀''' || '''기록''' || '''비고''' || || '''다승''' ||<|3> [[선동열]] ||<|3> [[해태 타이거즈]] || 22승 || 개인 통산 2번째 3관왕[br]개인 통산 2년 연속 3관왕[br]개인 통산 2번째 다승왕[br]개인 통산 2년 연속 다승왕[br]KBO 역대 11번째 20승 투수[br]'''KBO 역대 최초 2년 연속 20승 투수''' || || '''평균 자책점''' || 1.13 || 개인 통산 6번째 방어율왕[br]개인 통산 6년 연속 방어율왕[br]KBO 역대 22번째 2.25 이하 방어율 ^^3명^^[br]KBO 역대 14번째 2.0 이하 방어율 ^^2명^^[br]KBO 역대 5번째 1.5 이하 방어율 || || '''승률''' || .786 || 시즌 22승 6패[br]개인 통산 3번째 승률왕[br]개인 통산 3년 연속 승률왕 || || '''구원''' ||<|2> [[송진우(야구)|송진우]] ||<|2> [[빙그레 이글스]] || 38포인트 ||<|2> 개인 통산 첫 구원왕[* 11승 + 27세이브] || || 세이브 || 27세이브 || || 탈삼진 || [[선동열]] || [[해태 타이거즈]] || 189K || || || 이닝 || [[이강철]] || [[해태 타이거즈]] || 220⅔이닝 || KBO 역대 38번째 200+ 이닝 || || 등판 || [[정삼흠]] || [[LG 트윈스]] || 55경기 || || || 피홈런 || [[이강철]] || [[해태 타이거즈]] || 24개 || || || 피안타 || [[박정현(투수)|박정현]] || [[태평양 돌핀스]] || 177개 || || || 사사구 허용 || [[박동희(야구선수)|박동희]] || [[롯데 자이언츠]] || 117개 || 볼넷 114개 + 몸에 맞는 공 3개 || || 패전 || [[조계현]] || [[해태 타이거즈]] || 13패 || || || 몸에 맞는 공 허용 || [[김대중(야구선수)|김대중]] || [[빙그레 이글스]] || 13개 || || || 실책(야수) || [[윤재호(야구선수)|윤재호]] || [[해태 타이거즈]] || 25개 || || || 실책(팀) || || || || || || 폭투(투수) || [[윤동배]] || [[롯데 자이언츠]] || 8개 || || || 블론세이브 || || || || || == 신인드래프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한국프로야구/1991년/신인드래프트)] == 포스트시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한국프로야구/1990년 포스트시즌)] [[분류:한국프로야구/199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