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KBO 리그)] [include(틀:KBO 리그 시즌)] || '''기간''' || [[1991년]] [[4월 5일]] ~ [[1991년]] [[9월 19일]] (정규시즌)[br] [[1991년]] [[9월 22일]] ~ [[1991년]] [[10월 13일]] (포스트시즌) || || '''참가팀 ''' ||[[해태 타이거즈]], [[OB 베어스]], [[롯데 자이언츠]], [[태평양 돌핀스]],[br] [[삼성 라이온즈]], [[쌍방울 레이더스]], [[LG 트윈스]], [[빙그레 이글스]] 이상 8개팀. || [목차] == 개요 == [[https://www.youtube.com/watch?v=cgYXHTw63PE|1991년 프로야구 결산을 모은 영상(플레이오프, 한국시리즈 포함).]] 1991년에 열린 프로야구 시즌. 프로야구 출범 10주년 시즌이기도 하다.[* 한국프로야구 리그 출범 1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한일 슈퍼게임]]을 신설하였으며 이 대회는 1991년, 1995년, 1999년 총 세 차례 진행되었다.] 팀당 126경기씩 504경기가 열렸다. 제 8구단 [[쌍방울 레이더스]]가 참가하면서 [[한국프로야구/2012년|2012년]]까지의 8구단 체제가 시작된 시즌이다. 1986년 [[빙그레 이글스]]의 참가로 인해 7구단 체제로 인한 선수수급과 경기 질적 저하 문제 때문에 이 시즌부터 8구단 체제가 시작된 것이다.[* [[NC 다이노스]]의 참가로 인해 [[한국프로야구/2013년|2013년]]~[[한국프로야구/2014년|2014년 시즌]]에도 이같은 문제가 일어났다. 그래서 86~90시즌의 교훈을 삼아 [[kt wiz]]를 2013년 창단하여 2015년 시즌부터 1군에 참가하게 된다.] 리그에 참여하는 구단의 수가 짝수가 되었기 때문에 하루에 모든 구단이 경기를 치를 수 있게 되었고, 7구단 체제인 1986년~1990년보다 더 많은 경기를 치를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2연전이 없어지고, 3연전이 본격적으로 도입되었다. 전해와 마찬가지로. 더블헤더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규정이 적용되었다. >평일 3연전 중 마지막 날이 아닌 날에 우천취소가 나올 경우 다음 날에 더블헤더를 편성한다. >주말 3연전 중 우천취소가 나올 경우 이어지는 월요일 6시 반에 경기를 편성한다. >3연전 시리즈 중 치르지 못한 경기가 있을 경우, 다음 같은 장소에서 열리는 3연전 시리즈의 둘째 날에 더블헤더를 편성한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이틀 연속 더블헤더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다음 같은 장소에서 열리는 3연전 시리즈가 없을 경우 잔여 경기로 재편성된다. 이 규정을 적용한 결과 해태와 삼성이 휴식일 없이 10경기를 치르는 사태가 발생하였고, 결국 KBO는 이듬해 월요일 순연 규정을 폐지하였다.[* 18년 후 월요일 순연 규정이 부활하였으나, 히어로즈-SK전에서 딱 한 번 적용되고 한 달만에 폐지되었다.][* 그런데, 2023년 8월 한정으로 월요일 순연 규정이 다시 부활하였다!] 전년도 한국시리즈에 오르지 못한 한을 풀기라도 한 듯 [[해태 타이거즈]]와 [[빙그레 이글스]]가 각각 1,2위를 기록했다. 해태는 강력한 투수진, 빙그레는 막강 다이너마이트 타선으로 다시 한국시리즈에서 만났다. 한편 [[강병철]] 감독이 복귀한 [[롯데 자이언츠]]는 정규시즌 4위의 호성적을 거두면서 1984년 이후 7년 만에 가을야구 무대에 복귀했다. 롯데의 선전 덕분에 무려 100만1920명의 관중이 사직 야구장과 마산 야구장을 찾으면서 프로야구 최초로 단일시즌 홈 관중 100만명 시대를 열었다. === 1991 프로야구 병역비리 사건 === 11월 26일에 [[태평양 돌핀스]] 선수가 브로커에게 돈을 건네고 허위진단서를 발급받는 식의 병역비리 사건 관련조사를 받게 된 사건이다. [[2004년 프로야구 병역비리 사건]]보다 규모는 작은 편. == 정규시즌 최종순위 == || '''{{{#white 순위}}}''' || '''{{{#white 팀}}}''' || '''{{{#white 경기수}}}''' || '''{{{#white 승}}}''' || '''{{{#white 무}}}''' || '''{{{#white 패}}}''' || '''{{{#white 게임차}}}''' || '''{{{#white 승률}}}''' || || 1 || [[해태 타이거즈]] || 126 || 79 || 5 || 42 || 0.0 || 0.647 || || 2 || [[빙그레 이글스]] || 126 || 72 || 5 || 49 || 7.0 || 0.591 || || 3 || [[삼성 라이온즈]] || 126 || 70 || 1 || 55 || 11.0 || 0.560 || || 4 || [[롯데 자이언츠]] || 126 || 61 || 3 || 62 || 19.0 || 0.496 || || 5 || [[태평양 돌핀스]] || 126 || 55 || 2 || 69 || 25.5 || 0.444 || || 6 || [[LG 트윈스]] || 126 || 53 || 1 || 72 || 28.0 || 0.425 || || 6 || [[쌍방울 레이더스]] || 126 || 52 || 3 || 71 || 28.0 || 0.425 || || 8 || [[OB 베어스]] || 126 || 51 || 2 || 73 || 29.5 || 0.413 || 제과업계 천하 시즌 1 [[해태 타이거즈]]가 89, 90년과는 달리 한국시리즈에 직행했다. 전년도 우승팀 [[LG 트윈스]]는 [[백인천]] 감독과 구단측의 갈등 끝에 6위로 마감했다. 사실 5월만 해도 4위권을 유지했으나 여름부터 물타선+마운드 과부하로 인한[* 지난해 원투펀치였던 [[김태원(야구선수)|김태원]]과 [[문병권(야구선수)|문병권]]의 부진으로 인해 [[정삼흠]], [[김용수]]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심했다. 지난해 신인왕 [[김동수(야구)|김동수]]는 소포모어 징크스에 빠졌으며 거기에다 지난해 재미를 보았던 [[백인천]] 감독의 힛앤런 작전도 다 간파된 상태였다.] 투타 부조화에 [[내려갈 팀은 내려간다|내려가버렸다.]] 거기에 당시 '무승부=0.5승'이라는 규정 때문에 '''신생팀 [[쌍방울 레이더스]]'''와 공동 6위를 하는 굴욕을 안았다. 이는 프로야구 역사상 최초의 공동순위 기록이다.[* 다만 이는 단일리그 한정으로, 전후기리그 시절까지 넓히면 1987년 후기에 OB, 청보, 빙그레가 나란히 공동 5위 기록한 것이 최초이다. ][* 이후 [[한국프로야구/1994년|1994년]]에 [[한화 이글스]]와 [[해태 타이거즈]]가 나란히 공동 3위를, [[한국프로야구/2011년|2011년]]에 [[LG 트윈스]]와 [[한화 이글스]]가 나란히 공동 6위를 기록한다. 1991년의 LG와 쌍방울과는 달리 이들은 승무패까지 똑같았다. 2019년 SK와 두산도 승무패까지 같았으나 상대전적을 따져서 9승7패로 우세했던 두산이 1위를 차지한다.] 이 쌍방울의 승률 0.425는 신생팀 역대 최고 승률이자 신생팀 역대 최다승 타이기록이다.[* 신생팀 최다승 타이기록은 [[NC 다이노스/2013년|2013년 NC]]가 세웠다. 이 해 NC의 승률은 0.419(52승 72패 4무). ~~한 경기만 더 이겼더라면 쌍방울을 넘을 수 있었는데 아깝다.~~] 한편 [[OB 베어스]]는 [[삼청태]]나 달성했던 2년연속 꼴찌는 물론 '''프로야구 최초 8위'''라는 불명예를 안았다. 이재우 감독이 성적부진으로 시즌 중도 사퇴하고 [[윤동균]] 대행체제에서 그나마 승률 5할대로 상위팀에게 고춧가루를 뿌리는 등 분전하며 승률 4할대로 올려 윤동균은 정식감독으로 승격했다. == 시즌 최종과 시즌 마감 == === 정규 시즌 기록 1위 === 이하 '''실제로 수상이 이루어지는 1위 타이틀은 굵게 표시'''한다. 순서는 '단일 시즌 기록' - '개인 통산 기록' - '개인 통산 O년 연속 기록' - 'KBO 역대 기록' 순이다. '피-'의 경우 -개, 그외의 기록은 '-홈런, -안타' 등으로 기재. ==== 타자, 공격 ==== || '''타이틀''' || '''선수명''' || '''소속팀''' || '''기록''' || '''비고''' || || '''수위 타자''' || [[이정훈(1963)|이정훈]] || [[빙그레 이글스]] || .348 || 개인 통산 첫 타율왕 || || '''최다 안타''' ||<|3> [[장종훈]] ||<|3> [[빙그레 이글스]] || 160안타 || 개인 통산 첫 최다안타왕[br]KBO 역대 최초 150+ 안타 || || '''홈런''' || 35홈런 || 개인 통산 2번째 홈런왕[br]개인 통산 2년 연속 홈런왕[br]KBO 역대 2번째 30+ 홈런 || || '''타점''' || 114타점 || 개인 통산 2번째 타점왕[br]개인 통산 2년 연속 타점왕[br]KBO 역대 최초 100+ 타점 || || '''도루''' || [[이순철]] || [[해태 타이거즈]] || 56도루 || 개인 통산 2번째 도루왕[br]KBO 역대 6번째 50+ 도루 || || 득점 || [[장종훈]] || [[빙그레 이글스]] || 104득점 || KBO 역대 최초 100+ 득점 || || '''출루율''' || [[장효조]] || [[롯데 자이언츠]] || .452 || 개인 통산 6번째 출루율왕 || || '''장타율''' ||<|2> [[장종훈]] ||<|2> [[빙그레 이글스]] || .640 || 개인 통산 2번째 장타율왕[br]개인 통산 2년 연속 장타율왕 || || 사사구 || 91개 || [* 볼넷 76개 + 몸에 맞는 공 15개] || ||<|2> 몸에 맞는 공 || [[김성한]] || [[해태 타이거즈]] ||<|2> 15개 || || || [[장종훈]] || [[빙그레 이글스]] || || || 피삼진 || [[김기태(1969)|김기태]] || [[쌍방울 레이더스]] || 93삼진 || || ||<|2> 병살타 || [[김상훈(1960)|김상훈]] ||<|2> [[LG 트윈스]] ||<|2> 18개 || || || 이상훈 || || ==== 투수, 수비 ==== || '''타이틀''' || '''선수명''' || '''소속팀''' || '''기록''' || '''비고''' || || '''다승''' ||<|4> [[선동열]] ||<|4> [[해태 타이거즈]] || 19승 || '''개인 통산 3번째 3관왕[br]개인 통산 3년 연속 3관왕'''[br]개인 통산 3번째 다승왕[br]개인 통산 3년 연속 다승왕 || || '''평균 자책점''' || 1.55 || 개인 통산 7번째 방어율왕[br]개인 통산 7년 연속 방어율왕[br]KBO 역대 25번째 2.25 이하 방어율 ^^4명^^[br]KBO 역대 16번째 2.0 이하 방어율 ^^2명^^ || || '''승률''' || .826 || 시즌 19승 4패[br]개인 통산 4번째 승률왕[br]개인 통산 4년 연속 승률왕 || || 탈삼진 || 210K || KBO 역대 6번째 200+ 탈삼진 || || '''구원''' ||<|2> [[조규제]] ||<|2> [[쌍방울 레이더스]] || 34포인트 ||<|2> 개인 통산 첫 구원왕[* 7승 + 27세이브] || || 세이브 || 27세이브 || || 이닝 || [[최창호(야구선수)|최창호]] || [[태평양 돌핀스]] || 233⅓이닝 || KBO 역대 39번째 200+ 이닝 ^^5명^^ || || 등판 || [[김성길]] || [[삼성 라이온즈]] || 52경기 || || ||<|3> 피홈런 || [[이강철]] || [[해태 타이거즈]] ||<|3> 20개 || || || [[최창호(야구선수)|최창호]] || [[태평양 돌핀스]] || || || 김청수 || [[롯데 자이언츠]] || || || 피안타 || [[최창호(야구선수)|최창호]] || [[태평양 돌핀스]] || 196개 || || || 사사구 허용 || 강길용 || [[쌍방울 레이더스]] || 109개 || [* 볼넷 94개 + 몸에 맞는 공 15개] || || 패전 || [[정삼흠]] || [[LG 트윈스]] || 15패 || || ||<|2> 몸에 맞는 공 허용 || [[문병권(야구선수)|문병권]] || [[LG트윈스]] ||<|2> 19개 || || || [[김인권]] || [[빙그레 이글스]] || || ||<|2> 실책(야수) || [[황대연]] || [[빙그레 이글스]] ||<|2> 26개 || || || [[임형석]] || [[OB 베어스]] || || || 실책(팀) || || || || || || 폭투(투수) || [[김상엽]] || [[삼성 라이온즈]] || 11개 || || || 블론세이브 || || || || || == 신인드래프트 == [[한국프로야구/1992년/신인드래프트]] == 포스트시즌 == [[한국프로야구/1991년 포스트시즌]]으로 이동. [[분류:한국프로야구/199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