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KBO 리그)] [include(틀:KBO 리그 시즌)] ||<:> '''기간''' || [[1996년]] [[4월 13일]] ~ [[1996년]] [[9월 23일]] (정규시즌)[br][[1996년]] [[10월 1일]] ~ [[1996년]] [[10월 23일]] (포스트시즌) || ||<:> '''참가팀 ''' ||[[해태 타이거즈]], [[OB 베어스]], [[롯데 자이언츠]], [[현대 유니콘스]],[BR] [[삼성 라이온즈]], [[쌍방울 레이더스]], [[LG 트윈스]], [[한화 이글스]] 이상 8개팀. || [목차] == 개요 == 1996년에 열린 프로야구 시즌. 팀당 126경기씩 504경기가 열렸다. 작년 챔피언이었던 [[OB 베어스]]가 선수들의 줄부상에 꼴찌로 추락했다.[* 포수 콜랙션 팀이었던 만큼 '''[[탱킹|일부러 꼴찌를 차지해]] [[진갑용|지명권 우선순위를 얻으려고]] 그랬던게 크다.'''][* [[두산 베어스]]의 마지막 꼴찌 기록이기도 하다. 이 당시 팀명이 'OB 베어스'였으니, '두산 베어스'라는 팀명으로는 현재까지 단 한 번도 꼴찌로 시즌을 마친 적이 없다.][* 참고로 12년 전인 [[한국프로야구/1984년|1984 시즌]]에는 이것과 정반대로 전년도 꼴찌 팀인 [[롯데 자이언츠]]가 [[1994년 한국시리즈|그 해 한국시리즈]]에서 우승하는 기록을 세운 바 있다.] 또한 전년 준우승팀과 3위를 기록한 [[롯데 자이언츠]]와 [[LG 트윈스]] 모두 각각 5위, 7위로 부진했다. 롯데는 최다득점팀이 되고도 18승을 기록한 에이스 [[주형광]]을 제외한 투수들의 집단 붕괴[* [[염종석]]이 수술과 재활로 1경기도 나오지 못하고 [[윤학길]]은 노쇠화가 찾아왔다. 또한 억대신인 [[차명주]]는 실망스러운 모습을 보였다.]로 5위로 떨어졌다. 특히 LG는 신바람 야구의 선봉장이었던 [[이광환]] 감독을 경질하고 [[천보성]]에게 감독 대행을 맡겼다. 반면 하위권으로 예상되었던 팀의 선전이 돋보였다. [[선동열]]이 일본으로 떠나고 [[김성한]]이 은퇴한 [[해태 타이거즈]]는 시즌 전 [[해태 타이거즈 하와이 항명사건]]까지 일어나 하위권으로 분류되었다. 하지만 시즌 초 꼴찌였던 해태는 4월 말 군복무를 마친 [[이대진]]-[[이종범]]의 복귀와 고졸신인 [[김상진(1977)|김상진]]의 기대 이상의 활약으로 급회복세를 보이다가 7월 말 선두에 오르더니 결국 1위로 한국시리즈에 직행했다. 또, 하위권에서 허덕이던 [[쌍방울 레이더스]]는 [[김성근]]의 지도 아래 창단 최다연승을 8연승과 13연승으로 한 시즌 중 두 번이나 경신하며 2위를 기록했다. 10승 투수가 [[성영재]] 한명밖에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변칙적인 운용으로 플레이오프에 직행했다. 한편, [[태평양 돌핀스]]는 [[현대그룹]]에 인수되어 [[현대 유니콘스]]로 명칭이 바뀌었다. 인수와 함께 당시로선 파격적이었던 [[김재박]]을 감독으로 임명했다. 현대는 신인 [[박재홍(야구)|박재홍]]과 [[김경기]], [[이숭용]]이 타선에서 활약했고 투수왕국이라는 별명에 걸맞게 [[정민태]], [[정명원]], [[위재영]], [[조웅천]] 등이 활약을해서 전반기를 1위로 마쳤다. 하지만 후반기 들어 힘이 빠졌는지 [[내려갈 팀은 내려간다|4위까지 떨어졌다.]] ~~첫해부터 이론을 증명해주신 물리학자 김재박~~ 근데 현대가 첫 해부터 뎁스가 좀 타팀보다 딸렸기에 이 모양이였다. [* 투수력은 해태와 쌍벽을 이룰 정도로 막강했으나 3할을 기록한 타자는 없었고, 팀 득점력은 8개팀 중 7위로 태평양 시절 팀컬러였던 식물 타선은 여전했다.] 다만, 해태와는 정반대였다. 해태가 최하위에서 치고 올라와서 정규리그 시즌 1위를 했다. [[한화 이글스]]는 득점보다 실점이 더 많은 마이너스 득실을 기록했음에도 페넌트레이스 3위(최종 4위)로 마감했다. [[구대성]]과 [[정민철]], [[송진우(야구)|송진우]], [[이상목]] 4명의 주축 투수와 [[송지만]], [[홍원기]], [[이영우]], [[임수민(야구선수)|임수민]]으로 이루어진 야수 신인 4인방이 특징이었다. 지난해 부활하는듯 했던 [[장종훈]]이 부진한 성적으로 2군에 가는 등 팀득점 5위, 팀실점 5위로 득점력도, 투수력도 돋보이지 않는 평범한 모습이었지만 그래도 약점이 한쪽으로는 쏠리지는 않아서[* 롯데와 LG, 삼성은 한화보다 득점이 많았지만 마운드 붕괴를 겪으며 포스트시즌에 나가지 못했다. OB는 실점이 한화보다 적었지만 최소득점으로 꼴찌했다.] 포스트시즌은 갈 수 있었다. 이길만한 경기에는 거의 등판하며 다승+구원+승률+방어율 투수 4관왕을 따낸 [[구대성]]의 활약이 결정적이었다. 위에 적힌 대로 [[박재홍(야구)|박재홍]]이 데뷔 첫해부터 [[30-30 클럽]]을 '''한국 최초로''' 달성해서 시즌 MVP와 신인상을 모두 달성 할 뻔했으나 당시의 보수적인 분위기[* 신인에게 둘 다 줄 수 없다는 분위기였다.]로 인해 신인상만 타고 MVP는 [[구대성]]에게 돌아갔다.[* 55경기 출장, 18승 3패 24세이브 ERA 1.88 139이닝 183탈삼진. 역시 충분히 MVP를 받을 만한 성적이었다. 박재홍이 신인때부터 기자들에게 건방지다라고 소문이 났고, 해태 타이거즈의 지명을 받고 연세대 진학 후 타이거즈 입단 대신 [[현대 피닉스]]로 가는 등 여러 잡음이 낀 탓도 크다.][* 참고로 [[한국프로야구/2006년|10년 후]]가 돼서야 신인상과 MVP를 동시에 석권한 선수가 등장하는데 바로 '''[[류현진]]'''.] == 중계 방송 == === 정규시즌 중 지상파 방송 경기 === * 4월 * 4월 13일 (토, 개막전) | 사직 - 한화 VS 롯데 ([[KBS 2TV|KBS2]]) / 잠실 - 삼성 VS OB ([[MBC]]) / 인천 - LG VS 현대 ([[SBS]]) * 4월 14일 (일) | 잠실 - 삼성 VS OB ([[KBS 2TV|KBS2]]) / 사직 - 한화 VS 롯데 ([[MBC]]) * 4월 16일 (화) | 잠실 - 롯데 VS LG ([[SBS]]) * 4월 17일 (수) | 잠실 - 롯데 VS LG ([[KBS 2TV|KBS2]]) / ~~대구 - 해태 VS 삼성 ([[MBC]])~~[*우취 우천 순연] * 4월 20일 (토) | 잠실 - 한화 VS OB ([[KBS 2TV|KBS2]]) / 대구 - 롯데 VS 삼성 ([[MBC]]) * 4월 21일 (일) | 광주 - LG VS 해태 ([[SBS]]) * 4월 27일 (토) | 사직 - OB VS 롯데 ([[KBS 2TV|KBS2]]) / 인천 - 해태 VS 현대 ([[SBS]]) * 4월 28일 (일) | 사직 - OB VS 롯데 ([[MBC]]) * 5월 * 5월 4일 (토) | 전주 - 삼성 VS 쌍방울 ([[KBS 1TV|KBS1]]) * 5월 11일 (토) | 광주 - 현대 VS 해태 ([[KBS 1TV|KBS1]]) / 잠실 - 쌍방울 VS OB ([[SBS]])[*다원 민영TV의날 특집으로 4원(잠실, 광주, 사직, 대구) 중계 실시] * 5월 19일 (일) | 수원 - OB VS 현대 ([[MBC]]) * [[부처님오신날|5월 24일]] (금) | 잠실 - 현대 VS LG ([[KBS 2TV|KBS2]]) / 전주 - 해태 VS 쌍방울 ([[MBC]]) * 5월 25일 (토) | 대구 - OB VS 삼성 ([[SBS]]) * 5월 26일 (일) | 대구 - OB VS 삼성 ([[KBS 2TV|KBS2]]) / 잠실 - 현대 VS LG ([[MBC]]) * 6월 * 6월 2일 (일) | 인천 - 삼성 VS 현대 ([[MBC]]) * [[현충일|6월 6일]] (목) | 인천 - OB VS 현대 ([[KBS 1TV|KBS1]]) / 광주 - 삼성 VS 해태 ([[MBC]]) * 6월 8일 (토) | 잠실 - 해태 VS OB ([[SBS]]) * 6월 15일 (토) | 전주 - OB VS 쌍방울 ([[KBS 2TV|KBS2]]) / 인천 - 한화 VS 현대 ([[SBS]]) * 6월 23일 (일) | 대전 - 해태 VS 한화 ([[MBC]]) * 6월 29일 (토) | ~~인천 - LG VS 현대 ([[KBS 2TV|KBS2]])~~[*우취] / 전주 - 해태 VS 쌍방울 ([[SBS]]) * 6월 30일 (일) | 잠실 - 삼성 VS OB ([[MBC]]) * 7월 * 7월 6일 (토) | 광주 - 삼성 VS 해태 ([[KBS 2TV|KBS2]]) * 7월 7일 (일) | 대전 - 쌍방울 VS 한화 ([[KBS 1TV|KBS1]]) / 잠실 - 현대 VS OB ([[MBC]]) * 8월 * 8월 24일 (토) | 대전 - 해태 VS 한화 ([[MBC]]) * 8월 25일 (일) | 대전 - 해태 VS 한화 ([[KBS 1TV|KBS1]]) * 8월 31일 (토) | 인천 - 쌍방울 VS 현대 ([[KBS 2TV|KBS2]]) / ~~광주 - LG VS 해태 ([[MBC]])~~[*우취] * 9월 * 9월 1일 (일) | 인천 - 쌍방울 VS 현대 ([[SBS]]) * 9월 7일 (토) | 사직 - 해태 VS 롯데 ([[KBS 2TV|KBS2]]) * 9월 15일 (일) | 광주 - 한화 VS 해태 ([[SBS]]) == 정규시즌 최종순위 == ||<#0066b3> '''{{{#white 순위}}}''' ||<#0066b3> '''{{{#white 팀}}}''' ||<#0066b3> '''{{{#white 경기수}}}''' ||<#0066b3> '''{{{#white 승}}}''' ||<#0066b3> '''{{{#white 무}}}''' ||<#0066b3> '''{{{#white 패}}}''' ||<#0066b3> '''{{{#white 게임차}}}''' ||<#0066b3> '''{{{#white 승률}}}''' || ||<#ffd700,#968200> 1 ||<#ffd700,#968200> [[해태 타이거즈]] ||<#ffd700,#968200> 126 ||<#ffd700,#968200> 73 ||<#ffd700,#968200> 2 ||<#ffd700,#968200> 51 ||<#ffd700,#968200> 0.0 ||<#ffd700,#968200> 0.587 || ||<#fae7a6,#786400> 2 ||<#fae7a6,#786400> [[쌍방울 레이더스]] ||<#fae7a6,#786400> 126 ||<#fae7a6,#786400> 70 ||<#fae7a6,#786400> 2 ||<#fae7a6,#786400> 54 ||<#fae7a6,#786400> 3.0 ||<#fae7a6,#786400> 0.563 || ||<#fae7a6,#786400> 3 ||<#fae7a6,#786400> [[한화 이글스]] ||<#fae7a6,#786400> 126 ||<#fae7a6,#786400> 70 ||<#fae7a6,#786400> 1 ||<#fae7a6,#786400> 55 ||<#fae7a6,#786400> 3.5 ||<#fae7a6,#786400> 0.560 || ||<#fae7a6,#786400> 4 ||<#fae7a6,#786400> [[현대 유니콘스]] ||<#fae7a6,#786400> 126 ||<#fae7a6,#786400> 67 ||<#fae7a6,#786400> 5 ||<#fae7a6,#786400> 54 ||<#fae7a6,#786400> 4.5 ||<#fae7a6,#786400> 0.552 || ||<#ffc0cb,#943838> 5 ||<#ffc0cb,#943838> [[롯데 자이언츠]] ||<#ffc0cb,#943838> 126 ||<#ffc0cb,#943838> 57 ||<#ffc0cb,#943838> 6 ||<#ffc0cb,#943838> 63 ||<#ffc0cb,#943838> 14.0 ||<#ffc0cb,#943838> 0.476 || ||<#ffc0cb,#943838> 6 ||<#ffc0cb,#943838> [[삼성 라이온즈]] ||<#ffc0cb,#943838> 126 ||<#ffc0cb,#943838> 54 ||<#ffc0cb,#943838> 5 ||<#ffc0cb,#943838> 67 ||<#ffc0cb,#943838> 17.5 ||<#ffc0cb,#943838> 0.448 || ||<#ffc0cb,#943838> 7 ||<#ffc0cb,#943838> [[LG 트윈스]] ||<#ffc0cb,#943838> 126 ||<#ffc0cb,#943838> 50 ||<#ffc0cb,#943838> 5 ||<#ffc0cb,#943838> 71 ||<#ffc0cb,#943838> 21.5 ||<#ffc0cb,#943838> 0.417 || ||<#ffc0cb,#943838> 8 ||<#ffc0cb,#943838> [[OB 베어스]] ||<#ffc0cb,#943838> 126 ||<#ffc0cb,#943838> 47 ||<#ffc0cb,#943838> 6 ||<#ffc0cb,#943838> 73 ||<#ffc0cb,#943838> 24.0 ||<#ffc0cb,#943838> 0.397 || [[해태 타이거즈]]의 승률이 1위 치곤 그렇게 높지 않은데 초반의 부진이 컸기 때문이다.[* 이 당시 투타의 핵심이었던 이종범, 이대진이 방위복무의 영향이 컸었다.] 참고로 역대 페넌트레이스 1위 승률중 [[KBO 리그/2021년|2021년]] [[kt wiz/2021년|kt]], [[한국프로야구/2004년|2004년]] 현대 다음으로 낮은 승률이다.[* 2021년은 후반기부터 동점 상태로 9회 종료시 그대로 무승부로 끝나며 무승부가 폭증하고, 2004년 시즌은 현대와 삼성의 선두 경쟁이 워낙 치열한데다가 당시 순위를 다승제로 기록했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4강권 팀과 그렇지 않은 팀간의 차이가 뚜렷했다. [[한국프로야구/1990년|1990년 시즌]], [[한국프로야구/2013년|2013년 시즌]] 못지 않은 상위권 싸움이 치열했다.[* 세 시즌 모두 4위팀이 3위팀, 2위팀을 업셋하였고 준우승을 차지하였다.] 1위 해태부터 4위 현대까지 4.5경기 차지만 4위 현대와 5위 롯데의 경기 차가 9.5경기나 된다. 한편 [[삼성 라이온즈]]는 2016 시즌에 9위를 찍기 이전까지 구단 역사상 가장 낮았던 성적인 6위[* 물론 2016년 시즌의 승률(0.455)이 이 시즌보다 더 높긴 했지만 2016 시즌은 kt의 부진으로 인해 승률 인플레가 존재했던 것을 감안해야 한다.]를 기록하며 8~90년대 초반까지의 강자의 모습을 잃은 상태.[* 556으로 대표되는 이 암흑기는 한동안 삼성 구단 역사상 최악의 암흑기였지만 이후 2016~2020년의 [[99688]]로 경신하게 되었다. 다행히 99688은 [[비밀번호(스포츠)|비밀번호]]의 기준인 6년까지 가지 않고 2021년에 종결되었다.] 2018년 이전까지 삼성 역사에서 10승 투수를 유일하게 단 한 명도 배출하지 못했던 시즌이다.[* 시즌 초반에는 최창양과 최재호가 많은 승수를 올렸지만 후반기로 갈수록 부진했다.] 하지만 절치부심하여 이듬해 4위로 포스트시즌 복귀에 성공한다. == 시즌 최종과 시즌 마감 == === 정규 시즌 기록 1위 === 이하 '''실제로 수상이 이루어지는 1위 타이틀은 굵게 표시'''한다. 순서는 '단일 시즌 기록' - '개인 통산 기록' - '개인 통산 O년 연속 기록' - 'KBO 역대 기록' 순이다. ==== 타자, 공격 ==== || '''타이틀''' || '''선수명''' || '''소속팀''' || '''기록''' || '''비고''' || || '''수위 타자''' ||<|2> [[양준혁]] ||<|2> [[삼성 라이온즈]] || .346 || 개인 통산 2번째 타율왕 || || '''최다 안타''' || 151안타 || 개인 통산 첫 최다안타왕[br]KBO 역대 4번째 150+ 안타[br]KBO 역대 최초 좌타자 150+ 안타 || || '''홈런''' ||<|2> [[박재홍(야구)|박재홍]] ||<|2> [[현대 유니콘스]] || 30개 || 개인 통산 첫 홈런왕[br]KBO 역대 4번째 30+ 홈런 || || '''타점''' || 108타점 || 개인 통산 첫 타점왕[br]KBO 역대 4번째 100+ 타점 || || '''도루''' ||<|2> [[이종범]] ||<|2> [[해태 타이거즈]] || 57개 || 개인 통산 2번째 도루왕[br]KBO 역대 10번째 50+ 도루 || || 득점 || 94득점 || || || '''출루율''' || [[홍현우]] || [[해태 타이거즈]] || .453 || 개인 통산 첫 출루율왕 || || '''장타율''' || [[양준혁]] || [[삼성 라이온즈]] || .624 || 개인 통산 2번째 장타율왕 || || 사사구 || [[홍현우]] || [[해태 타이거즈]] || 111개 || KBO 역대 2번째 100+ 사사구 [* 볼넷 107개 + 몸에 맞는 공 4개] || || 몸에 맞는 공 || [[송구홍]] || [[LG 트윈스]] || 22개 || KBO 역대 2번째 20+ 사구 || || 피삼진 || [[박경완]] || [[쌍방울 레이더스]] || 113개 || KBO 역대 2번째 100+ 삼진 || || 병살타 || [[김형석]] || [[OB 베어스]] || 14개 || || ==== 투수, 수비 ==== || '''타이틀''' || '''선수명''' || '''소속팀''' || '''기록''' || '''비고''' || ||<|2> '''다승''' || [[주형광]] || [[롯데 자이언츠]] ||<|2> 18승 ||<|2> [[주형광]], [[구대성]] - 개인 통산 첫 다승왕[br]KBO 역대 3번째 15승+ 공동다승왕 || || [[구대성]] || [[한화 이글스]] || || '''평균 자책점''' || [[구대성]] || [[한화 이글스]] || '''1.88''' || 개인 통산 첫 방어율왕 || || '''탈삼진''' || [[주형광]] || [[롯데 자이언츠]] || 221K || 개인 통산 첫 탈삼진왕[br]KBO 역대 7번째 200+ 탈삼진 ^^2명^^ || || 세이브 || [[정명원]] || [[현대 유니콘스]] || 26세이브 || || || '''구원''' ||<|2> [[구대성]] ||<|2> [[한화 이글스]] || 42포인트 || 개인 통산 첫 구원왕[br]KBO 역대 3번째 40+ 구원포인트 [* 18승 + 24세이브] || || '''승률''' || .857 || 시즌 18승 3패[br]개인 통산 첫 승률왕 || || 이닝 || [[정민철]] || [[한화 이글스]] || 219⅔이닝 || KBO 역대 55번째 200+ 이닝 ^^4명^^ || || 등판 || [[조웅천]] || [[현대 유니콘스]] || 68경기 || KBO 역대 3번째 60+ 경기출장 || || 피홈런 ||<|2> [[주형광]] ||<|2> [[롯데 자이언츠]] || 20개 || || || 피안타 || 196개 || || || 사사구 허용 || [[송진우]] || [[한화 이글스]] || 101개 || [* 볼넷 94개 + 몸에 맞는 공 7개] || || 패전 || [[이상목]] || [[한화 이글스]] || 13패 || || || 몸에 맞는 공 허용 || [[정삼흠]] || [[LG 트윈스]] || 22개 || KBO 역대 4번째 20+ 사구허용 || || 실책(야수) || || || || || || 실책(팀) || || || || || || 폭투(투수) || [[박명환]] || [[OB 베어스]] || 15개 || KBO 역대 2번째 15+ 폭투 || || 블론세이브 || || || || || == 신인드래프트 == [[한국프로야구/1997년/신인드래프트]] == 포스트시즌 == [[한국프로야구/1996년 포스트시즌]]으로 이동. [[분류:한국프로야구/1996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