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KBO 리그)] [include(틀:KBO 리그 시즌)] ||<:> '''기간''' || [[1997년]] [[4월 12일]] ~ [[1997년]] [[10월 2일]] (정규시즌)[br][[1997년]] [[10월 6일]] ~ [[1997년]] [[10월 25일]] (포스트시즌) || ||<:> '''참가팀 ''' ||[[해태 타이거즈]], [[OB 베어스]], [[롯데 자이언츠]], [[현대 유니콘스]],[BR] [[삼성 라이온즈]], [[쌍방울 레이더스]], [[LG 트윈스]], [[한화 이글스]] 이상 8개팀. || [목차] == 개요 == 1997년에 열린 프로야구 시즌. 팀당 126경기씩 총 504 경기가 열렸다. 전년도처럼 이번에도 전문가의 예상을 뒤엎은 시즌이었는데 우승 후보로 [[해태 타이거즈]], [[OB 베어스]], [[롯데 자이언츠]]가 지목되었으나 해태 빼고 다 부진했다. OB는 5위에 그쳤고, 롯데는 꼴찌를 했다. ~~[[성동일(응답하라 1997)|성동일]]도 꼴찌했고 [[성시원|자신의 딸]]도 꼴찌했다.~~ [[해태 타이거즈]]가 2년 연속 1위를 할 수 있었던 데에는 [[임창용]], [[이대진]] 등의 신예들의 역할이 컸다. 또한 투수력으로 버티던 다른 해와 달리 타선도 좋은 편이었는데 [[이종범]], [[홍현우]], [[장성호]], [[김종국(야구선수)|김종국]], [[최훈재]] 등이 활약했다.[* 97년도의 해태 팀 타격 성적이 이상하리만치 93년 삼성과 닮았다. 133홈런으로 같고, 득점도 97해태는 616점, 93삼성은 615점. 20홈런 이상 타자인 [[이종범]], [[홍현우]]와 [[김성래]], [[양준혁]] 둘이 타선을 이끌었다는 것도.] ~~99년 이종범이 있었다면 해태는 240홈런은 쳤을듯~~ 해태는 이 시즌 프로야구 최초 팀 통산 1,000승을 달성하였다. 중위권으로 예상된 [[LG 트윈스]]는 [[김용수]], [[임선동]], [[손혁]], [[최향남]] 등의 선발진과 [[차명석]], [[이상훈(좌완투수)|이상훈]]의 막강 불펜을 내세워 초반 1위, 최종 2위를 거두었다. 여기에 [[이병규(1974)|이병규]], [[서용빈]], [[심재학]], [[김동수(야구)|김동수]], [[류지현(야구)|유지현]] 등의 타선도 좋았다. [[1994년 한국시리즈|94년 우승]] 멤버가 대부분 남아있었기도 했고. [[김재현(1975)|김재현]]이 신장염으로 1경기도 나오지 못했지만 해태에서 온 [[동봉철]]이 공백을 어느 정도 메웠고, '신데렐라'로 불렸던 2루수 [[신국환(야구)|신국환]]이 히트상품이었다. [[백인천]] 감독의 [[삼성 라이온즈]]는 [[이승엽]]을 발굴해내며 [[556|암흑기]]를 끝내는데 성공했다. 초반에 2위권을 유지했을 무렵 어린이날 3연전에서 당시 1위였던 LG를 학살 했는데 이 때 벌어진 사건이 [[삼성 라이온즈/1997년/5월/4일|부정 배트 사건]]. 그러나 삼성 배트에는 문제가 없었다. == 중계 방송 == 1995년 [[SBS Sports|한국스포츠TV]]가 주중경기 중계를 시작했음에도 불구하고, 당시 [[케이블TV]] 보급률이 낮아 실제로 야구를 시청할 수 있는 사람들이 극히 적었다. 그러나 1996년 7월 개국한 KBS 위성1 채널이 이 시즌부터 프로야구 중계에 참여하면서 실질적인 프로야구 중계 빈도가 높아졌다. [[https://www.mk.co.kr/news/economy/1760218|KBS 위성1TV 야구경기 생중계]] 당시 위성TV 또한 보급률이 매우 낮았으나 별도의 시청료가 있던 케이블TV와는 달리 비교적 고가의 장비가 필요할 뿐 위성TV에는 시청료가 없어, 공청이라고 불리던 유선중계방송 사업자들이 이 채널을 편성하였기에 실질적인 중계 빈도가 늘어나는 효과가 생겼다. === 정규시즌 중 지상파 방송 경기 === * 4월 * 4월 12일 (토, 개막전) | 광주 - 롯데 VS 해태 ([[KBS 2TV|KBS2]]) * 4월 15일 (화) | 사직 - 현대 VS 롯데 ([[MBC]]) * 4월 16일 (수) | 잠실 - 해태 VS LG ([[SBS]]) * 4월 17일 (목) | 잠실 - 해태 VS LG ([[KBS 2TV|KBS2]]) * 4월 19일 (토) | 잠실 - 현대 VS OB ([[KBS 2TV|KBS2]]) * 4월 20일 (일) | 광주 - 삼성 VS 해태 ([[KBS 1TV|KBS1]]) * 5월 * [[어린이날|5월 5일]] (월) | 전주 - 현대 VS 쌍방울 ([[KBS 2TV|KBS2]]) * 5월 17일 (토) | 잠실 - OB VS LG ([[KBS 2TV|KBS2]]) * 6월 * ~~6월 1일 (일) | 광주 - 현대 VS 해태 ([[SBS]])~~[*우취 우천 순연] * [[현충일|6월 6일]] (금) | 전주 - 현대 VS 쌍방울 ([[KBS 2TV|KBS2]]) * 6월 7일 (토) | 잠실 - 현대 VS LG ([[KBS 1TV|KBS1]]) * 6월 8일 (일) | 대전 - 해태 VS 한화 ([[KBS 1TV|KBS1]]) / 잠실 - 현대 VS LG ([[SBS]]) * 6월 15일 (일) | 전주 - LG VS 쌍방울 ([[MBC]]) * 6월 28일 (토) | 잠실 - 해태 VS LG ([[MBC]]) * 7월 * ~~7월 6일 (일) | 잠실 - 쌍방울 VS LG ([[KBS 1TV|KBS1]])~~[*우취] * 7월 25일 (금) | 대구 - LG VS 삼성 ([[SBS]]) * 8월 * 8월 1일 (금) | 광주 - LG VS 해태 ([[MBC]]) * 8월 23일 (토) | 대구 - 쌍방울 VS 삼성[*DH1 더블헤더 1차전] ([[SBS]]) * 8월 30일 (토) | 잠실 - 쌍방울 VS LG ([[KBS 2TV|KBS2]]) * 8월 31일 (일) | 잠실 - 쌍방울 VS LG ([[KBS 1TV|KBS1]]) / 대구 - 해태 VS 삼성 ([[SBS]]) * 9월 * 9월 2일 (화) | 잠실 - 삼성 VS LG ([[SBS]]) * 9월 6일 (토) | 대구 - 롯데 VS 삼성 ([[KBS 2TV|KBS2]]) * 9월 7일 (일) | 광주 - LG VS 해태 ([[KBS 1TV|KBS1]]) * 9월 10일 (수) | 잠실 - 해태 VS LG ([[SBS]]) * 9월 13일 (토) | 잠실 - 현대 VS LG ([[KBS 2TV|KBS2]]) * 9월 14일 (일) | 잠실 - LG VS OB ([[KBS 1TV|KBS1]]) * 9월 20일 (토) | 광주 - 쌍방울 VS 해태 ([[KBS 2TV|KBS2]]) * 9월 21일 (일) | 광주 - 쌍방울 VS 해태 ([[SBS]]) * ~~9월 26일 (금) | 광주 - 삼성 VS 해태 ([[SBS]])~~[*우취] * 9월 28일 (일) | 광주 - 삼성 VS 해태 ([[KBS 1TV|KBS1]]) == 정규시즌 최종순위 == ||<#0066b3> '''{{{#white 순위}}}''' ||<#0066b3> '''{{{#white 팀}}}''' ||<#0066b3> '''{{{#white 경기수}}}''' ||<#0066b3> '''{{{#white 승}}}''' ||<#0066b3> '''{{{#white 무}}}''' ||<#0066b3> '''{{{#white 패}}}''' ||<#0066b3> '''{{{#white 게임차}}}''' ||<#0066b3> '''{{{#white 승률}}}''' || ||<#ffd700,#968200> 1 ||<#ffd700,#968200> [[해태 타이거즈]] ||<#ffd700,#968200> 126 ||<#ffd700,#968200> 75 ||<#ffd700,#968200> 1 ||<#ffd700,#968200> 50 ||<#ffd700,#968200> 0.0 ||<#ffd700,#968200> 0.599 || ||<#fae7a6,#786400> 2 ||<#fae7a6,#786400> [[LG 트윈스]] ||<#fae7a6,#786400> 126 ||<#fae7a6,#786400> 73 ||<#fae7a6,#786400> 2 ||<#fae7a6,#786400> 51 ||<#fae7a6,#786400> 1.5 ||<#fae7a6,#786400> 0.587 || ||<#fae7a6,#786400> 3 ||<#fae7a6,#786400> [[쌍방울 레이더스]] ||<#fae7a6,#786400> 126 ||<#fae7a6,#786400> 71 ||<#fae7a6,#786400> 2 ||<#fae7a6,#786400> 53 ||<#fae7a6,#786400> 3.5 ||<#fae7a6,#786400> 0.571 || ||<#fae7a6,#786400> 4 ||<#fae7a6,#786400> [[삼성 라이온즈]] ||<#fae7a6,#786400> 126 ||<#fae7a6,#786400> 66 ||<#fae7a6,#786400> 7 ||<#fae7a6,#786400> 53 ||<#fae7a6,#786400> 6.0 ||<#fae7a6,#786400> 0.552 || ||<#ffc0cb,#943838> 5 ||<#ffc0cb,#943838> [[OB 베어스]] ||<#ffc0cb,#943838> 126 ||<#ffc0cb,#943838> 57 ||<#ffc0cb,#943838> 5 ||<#ffc0cb,#943838> 64 ||<#ffc0cb,#943838> 16.0 ||<#ffc0cb,#943838> 0.472 || ||<#ffc0cb,#943838> 6 ||<#ffc0cb,#943838> [[현대 유니콘스]] ||<#ffc0cb,#943838> 126 ||<#ffc0cb,#943838> 51 ||<#ffc0cb,#943838> 4 ||<#ffc0cb,#943838> 71 ||<#ffc0cb,#943838> 22.5 ||<#ffc0cb,#943838> 0.421 || ||<#ffc0cb,#943838> 7 ||<#ffc0cb,#943838> [[한화 이글스]] ||<#ffc0cb,#943838> 126 ||<#ffc0cb,#943838> 51 ||<#ffc0cb,#943838> 2 ||<#ffc0cb,#943838> 73 ||<#ffc0cb,#943838> 23.5 ||<#ffc0cb,#943838> 0.413 || ||<#ffc0cb,#943838> 8 ||<#ffc0cb,#943838> [[롯데 자이언츠]] ||<#ffc0cb,#943838> 126 ||<#ffc0cb,#943838> 48 ||<#ffc0cb,#943838> 1 ||<#ffc0cb,#943838> 77 ||<#ffc0cb,#943838> 27.0 ||<#ffc0cb,#943838> 0.385 || 지난 해와 마찬가지로 4강권 팀과 그렇지 않은 팀간의 차이가 뚜렷했다. 1위 해태부터 4위 삼성까지 6.0경기 차지만 4위 삼성과 5위 OB의 경기 차가 10.0경기나 된다. [[해태 타이거즈]]가 단일리그제 도입 이후 최초로 2년 연속 정규리그 우승을 했다. 중위권 정도로 예상된 [[LG 트윈스]]가 7월 17일 해태에게 1위를 내주기 전까지 1위를 달렸고 최종 순위로도 2위로 마무리했다. [[쌍방울 레이더스]]는 2년 연속으로 포스트시즌 진출에 성공했다. 또, [[삼성 라이온즈]]가 [[556|3년 간의 암흑기]]를 끝내고 4년만에 포스트시즌에 복귀했다. 그리고 쌍방울의 마지막 [[리즈 시절]]이 '''[[1997년 외환 위기|될 지 누가 알았을까]]'''...? [[현대 유니콘스]]는 주전 대부분이 부상으로 나가 떨어져 물타선이 되면서[* 현대 타선이 강해 진 건 1998년부터. 현대 초창기에는 태평양의 물타선 이미지가 남아있었고 이는 지난해에도 현대가 1위에서 4위까지 떨어지는 원인이 되었다.] 6위로 뻗어버렸고 팀의 주포 [[박재홍(야구)|박재홍]]이 시즌 초반 한달동안 출전 하지 못한것이 뼈아픈 과제로 남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20 클럽에는 가입했다. [[롯데 자이언츠]]와 [[한화 이글스]]는 최하위권으로 떨어졌으며, 롯데의 경우 [[입대]]를 하는 [[주형광]]이 몸이 좋지 않아 [[의병 제대]]를 하자 굴린 와중에 동계 훈련 비대상자 였던 그가 생각치도 못한 상황이 되자 구단이 주형광의 몸을 더 혹사 시키는 짓을 했다. 그해 성적 역시 폭망하였고 이에 앞서 구단에서는 [[전준호(1969)|전준호]]와 [[현대 유니콘스]]의[* 당시에는 실업 야구팀이던 [[현대 피닉스]]가 데리고 있었다.] [[문동환]]을 맞바꾸는 [[트레이드]]를 하여 톱타자를 잃은 방안으로 전년도 신인 [[김대익]]을 1번 타자로 내새웠지만, 승자는 전준호를 낚아챈 현대가 되었고[* 하지만 전준호는 이 시즌에는 트레이드의 충격으로 매우 저조한 성적을 기록했다.], 김대익은 롯데의 [[8888577|비참함]]를 지켜보던 와중 [[삼성 라이온즈|삼성]]으로 팔려가 간만에 준우승과 우승을 맛본다. 문동환은 5년간 롯데에서 [[염종석]] - [[주형광]] 다음으로 가는 승수를 쌓았지만, 훗날 두산에 이어 한화 유니폼을 입고 은퇴를 한다. 한화는 당해년도 [[구대성]]과 [[장종훈]], [[정민철]], [[강석천]]이외에 다 말아먹었고 특히 신인 4인방 [[임수민(야구선수)|임수민]], [[송지만]], [[이영우]], [[홍원기]]가 [[2년차 징크스]]에 맥을 맺추지 못했다. [[송진우(야구)|송진우]]는 이해와 다음해 부진하여 은퇴 위기에 몰렸다가 교육리그에서 습득한 체인지업을 통해 기교파 투수로 1999년부터 부활했다. [[OB 베어스]]는 막판 뒷심 부족으로 5위로 떨어졌다. 그나마 작년 꼴찌로 떨어진 팀을 리빌딩 모드로 들어가서 초반 선전하다가 쌍방울의 기세에 밀려서 5위에 그친 것. 그리고, [[1997년 외환 위기|구단 위기]]로 그해 겨울 베테랑들을 대거 [[웨이버 공시]]를 하거나 타 팀으로 현금 트레이드를 해버린다.[* 특히, 팀의 2루수였던 노장 [[이명수(1966)|이명수]]나 맏형이던 주전 1루수 [[김형석]] 등등의 선수 이탈은 팬들에게도 많은 실망감을 감추지 못했다.] 이듬해 마지막으로 OB라는 이름을 그만 사용하며, 99년도부터 모기업명을 따서 [[두산 베어스|두산]]으로 바꾸었다. [[1997년 한국시리즈]]에서 [[해태 타이거즈]]가 우승을 차지했지만 이 시리즈가 [[해태 타이거즈]]의 마지막 한국시리즈 우승일 줄 누가 알았을까? 우승 이후 일주일 만에 [[해태그룹]]이 [[1997년 외환 위기]]로 인해 부도를 맞이하게 되었고, 결국은 2001년 [[기아자동차]]가 인수해 지금의 [[KIA 타이거즈]]가 되었다. 다만 [[현대 유니콘스]]나 [[쌍방울 레이더스]]처럼 해체 후 재창단이 아니라 그대로 인수했기 때문에 [[해태 타이거즈]]의 역사가 그대로 계승된다. 마치 [[MBC 청룡]]-[[LG 트윈스]]나 [[SK 와이번스]]-[[SSG 랜더스]] 같은 경우. == 시즌 최종과 시즌 마감 == === 정규 시즌 기록 1위 === 이하 '''실제로 수상이 이루어지는 1위 타이틀은 굵게 표시'''한다. 순서는 '단일 시즌 기록' - '개인 통산 기록' - '개인 통산 O년 연속 기록' - 'KBO 역대 기록' 순이다. ==== 타자, 공격 ==== || '''타이틀''' || '''선수명''' || '''소속팀''' || '''기록''' || '''비고''' || || '''수위 타자''' || [[김기태]] || [[쌍방울 레이더스]] || .344 || 개인 통산 첫 타율왕 || || '''최다 안타''' ||<|3> [[이승엽]] ||<|3> [[삼성 라이온즈]] || 170안타 || 개인 통산 첫 최다안타왕[br]KBO 역대 2번째 좌타자 150+ 안타[* KBO 역대 5번째 150+ 안타][br]KBO 역대 최초 좌타자 170+ 안타[* KBO 역대 2번째 170+ 안타] || || '''홈런''' || 32홈런 || 개인 통산 첫 홈런왕[br]KBO 역대 2번째 좌타자 홈런왕[br]KBO 역대 최초 좌타자 30+ 홈런[* KBO 역대 5번째 30+ 홈런] || || '''타점''' || 114타점 || 개인 통산 첫 타점왕[br]KBO 역대 최초 좌타자 100+ 타점[* KBO 역대 5번째 100+ 타점] || || '''도루''' ||<|2> [[이종범]] ||<|2> [[해태 타이거즈]] || 64개 || 개인 통산 3번째 도루왕[br]개인 통산 2년 연속 도루왕[br]KBO 역대 11번째 50+ 도루[br]KBO 역대 5번째 60+ 도루 || || 득점 || 112득점 || KBO 역대 4번째 100+ 득점 || || '''출루율''' ||<|2> [[김기태]] ||<|2> [[쌍방울 레이더스]] || .460 ||<|2> 개인 통산 2번째 출루율왕[br]개인 통산 2번째 장타율왕 || || '''장타율''' || .636 || || 사사구 || [[양준혁]] || [[삼성 라이온즈]] || 137개 || KBO 역대 3번째 100+ 사사구[br]KBO 역대 2번째 120+ 사사구[* 볼넷 130개 + 몸에 맞는 공 7개] || || 몸에 맞는 공 || [[최익성]] || [[삼성 라이온즈]] || 18개 || || || 피삼진 || [[김민호(1969)|김민호]] || [[OB 베어스]] || 94삼진 || || || 병살타 || [[홍현우]] || [[해태 타이거즈]] || 19개 || || ==== 투수, 수비 ==== || '''타이틀''' || '''선수명''' || '''소속팀''' || '''기록''' || '''비고''' || || '''다승''' ||<|3> [[김현욱]] ||<|3> [[쌍방울 레이더스]] || 20승 || '''3관왕'''[br]KBO 역대 13번째 20승 투수 || || '''평균 자책점''' || '''1.88''' || 개인 통산 첫 방어율왕 || || '''승률''' || .909 || 시즌 20승 2패[br]개인 통산 첫 승률왕 || || '''탈삼진''' || [[정민철]] || [[한화 이글스]] || 160K || 개인 통산 2번째 탈삼진왕 || || '''구원''' || [[임창용]] || [[해태 타이거즈]] || 40포인트 || 개인 통산 첫 구원왕[br]KBO 역대 4번째 40+ 구원포인트[* 14승 + 26세이브] || || 세이브 || [[이상훈]] || [[LG 트윈스]] || 37세이브 || KBO 역대 5번째 30+ 세이브 || || 이닝 || [[정민태]] || [[현대 유니콘스]] || 219이닝 || KBO 역대 59번째 200+ 이닝 ^^2명^^ || || 등판 || [[김현욱]] || [[쌍방울 레이더스]] || 70경기 || KBO 역대 2번째 60+ 경기출장[br]KBO 역대 최초 70+ 경기출장 || || 피홈런 || [[주형광]] || [[롯데 자이언츠]] || 25홈런 || KBO 역대 3번째 25+ 피홈런 || || 피안타 || [[정민태]] || [[현대 유니콘스]] || 189안타 || || || 사사구 허용 || [[노장진]] || [[한화 이글스]] || 92개 || 볼넷 90개 + 몸에 맞는 공 2개 || ||<|2> 패전 || [[정민태]] || [[태평양 돌핀스]] ||<|2> 13패 || || || [[주형광]] || [[롯데 자이언츠]] || || || 몸에 맞는 공 허용 || [[정성훈]] || [[삼성 라이온즈]] || 19개 || || || 실책(야수) || || || || || || 실책(팀) || || || || || || 폭투(투수) || [[박명환]] || [[OB 베어스]] || 21개 || KBO 역대 3번째 15+ 폭투[br]KBO 역대 최초 20+ 폭투 || || 블론세이브 || || || || || == 신인드래프트 == [[한국프로야구/1998년/신인드래프트]] == 포스트시즌 == [[한국프로야구/1997년 포스트시즌]]으로 이동. [[분류:한국프로야구/1997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