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한국프로야구/1998년)] [include(틀:역대 KBO 신인 드래프트)] [목차] == 개요 == [[1998년]] [[KBO 신인 드래프트]] (공식 명칭: '''1998년 한국 프로 야구 신인선수 지명 회의''')는 1차 지명, 고졸우선지명과 2차 지명으로 진행되었다. == 1차 지명 및 고졸우선 지명 == 1차 지명은 [[1997년]] [[9월 29일]]까지 각 팀에서 팀 별 연고지 내 고교 출신 선수 중 1명을 뽑았다. 고졸우선 지명은 각 팀에서 팀 별 연고지 내 고졸선수 중 3명을 뽑았다. ※표시는 해외진출, 지명권 포기 등으로 지명팀에 입단하지 않은 선수. @표시는 고졸로 지명받고 대학에 진학하지 않았거나 대학 진학 후 중도하차한 선수. 볼드체는 통산 WAR이 스탯티즈 기준 2 이상 되는 선수. || 팀 || 1차 지명자 || 고졸우선 지명자 || ||[[롯데 자이언츠]] ||'''[[임경완]]'''(경남고-인하대, 투수) ||김정열(마산고, 투수) [br] [[김진수(1979)|김진수]](경남고, 포수) [br] [[이승학]](부산공고, 투수)※ || ||[[삼성 라이온즈]] ||'''[[강동우]]'''(경북고-단국대, 외야수) ||[[김일엽(야구)|김일엽]](경북고, 투수)※ [br] '''[[김진웅]]'''(대구고, 투수) [br] 이준민(대구상고, 포수) || ||[[쌍방울 레이더스]] ||[[조진호(야구)|조진호]](전주고-원광대 투수) ||문광민(군산상고, 투수)※ [br] [[윤형국]](전주고, 내야수) [br] 임진성(전주고, 포수)※@ || ||[[한화 이글스]] ||[[김민규(1979)|김민규]](북일고, 투수) ||[[김재현(1979)|김재현]](대전고, 투수) [br] 임광규(청주기계공고, 외야수) [br] [[조현수(외야수)|조현수]](북일고, 외야수) || ||[[해태 타이거즈]] ||'''[[최희섭]]'''(광주일고, 내야수) ||'''[[강철민]]'''(효천고, 투수) [br] 김정진(진흥고, 투수)※ [br] '''[[이현곤]]'''(광주일고, 내야수) || ||[[현대 유니콘스]] ||[[고호봉]](부천고-원광대, 투수) ||'''[[강귀태]]'''(동산고, 포수) [br] '''[[김수경(야구)|김수경]]'''(인천고, 투수) [br] '''[[이대환]]'''(춘천고, 투수) || ||[[LG 트윈스]] ||'''[[조인성(야구)|조인성]]'''(신일고-연세대, 포수) ||'''[[박용택]]'''(휘문고, 외야수) [br] '''[[안치용(야구)|안치용]]'''(신일고, 외야수) [br] 정현택(배명고, 내야수) || ||[[OB 베어스]] ||'''[[김동주(타자)|김동주]]'''(배명고-고려대, 내야수) ||[[유재웅]](휘문고, 외야수) [br] [[윤상무]](배재고, 내야수) [br] 이경수(배명고, 투수) || == 2차 지명 == [[1997년]] [[10월 29일]] [[서울특별시]] 올림픽파크텔에서 개최되었다. 고등학교 및 대학교 졸업 예정자, 상무 소속 선수들이 신인 드래프트에 참가했다.[* 주의해야 할 것은 고교, 대학 졸업 예정자들은 전원 자동 지명 대상이다.] === 지명방식 === 1라운드부터 12라운드까지 진행되며 각 팀은 최대 12명의 선수를 지명할 수 있다. 단, 지명을 원치 않는 팀의 경우 해당 라운드에서 패스할 수 있다. 지명방식은 매 라운드마다 1997 시즌 성적 역순대로 지명하는 방식이다. === 지명 결과 === ※표시는 해외진출, 지명권 포기 등으로 지명팀에 입단하지 않은 선수. @표시는 고졸로 지명받고 대학에 진학하지 않았거나 대학 진학 후 중도하차한 선수. '''볼드체'''는 통산 WAR이 스탯티즈 기준 2 이상 되는 선수. ||<|2>
'''RD''' ||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1996~2002).svg|width=60]] ||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1994~2006).svg|width=70]] || [[파일:현대 유니콘스 엠블럼.svg|width=45]] || [[파일:OB 베어스 엠블럼.svg|width=50]] || [[파일:삼성 라이온즈 워드마크(1995~2007).svg|width=80]] || [[파일:PKPuIYF.png|width=50]] || [[파일:LG 트윈스 엠블럼(1990~2005).svg|width=60]] || [[파일:해태 타이거즈 엠블럼(1996~2001).svg|width=55]] || || '''[[롯데 자이언츠|{{{#000 롯데}}}]]''' || '''[[한화 이글스|{{{#ffffff 한화}}}]]''' || '''[[현대 유니콘스|{{{#fab93d 현대}}}]]''' || '''[[OB 베어스|{{{#fff OB}}}]]''' || '''[[삼성 라이온즈|{{{#ffffff 삼성}}}]]''' || '''[[쌍방울 레이더스|{{{#fff 쌍방울}}}]]''' || '''[[LG 트윈스|{{{#ffffff LG}}}]]''' || '''[[해태 타이거즈|{{{#f01e23 해태}}}]]''' || || 1 || '''[[손인호(야구)|손인호]]''' [br] (경남고-고려대,[br]외야수) || '''[[신경현]]''' [br] (군산상고-동국대,[br]포수) || [[홍민구]] [br] (부산상고-한양대,[br]투수) || [[송원국]] [br] (광주일고,[br]내야수) || [[김수관]] [br] (경북고-한양대,[br]내야수) || [[윤재국]] [br] (인천고-경남대,[br]외야수) || [[김경태(1975)|김경태]] [br] (성남고-경희대,[br]투수) || [[소소경]] [br] (대구고,[br]투수) || || 2 || [[서한규]] [br] (인천고-홍익대-상무,[br]내야수) || 김장백 [br] (서울고-연세대,[br]투수) || 이학균 [br] (경남상고-한양대,[br]내야수) || '''[[이혜천]]''' [br] (부산상고,[br]투수) || 박영진 [br] (경남고,[br]투수) || 고승환 [br] (선린상고-경성대,[br]투수) || 박선규 [br] (경남상고-동아대,[br]외야수) || 방수환 [br] (군산상고-동국대,[br]외야수) || || 3 || 전용종 [br] (경동고,[br]투수) || 김기성 [br] (공주고-원광대,[br]외야수) || [[채종국]] [br] (경남상고-연세대,[br]내야수) || [[김지훈(1973)|김지훈]] [br] (신일고-고려대-상무,[br]포수) || 이복연 [br] (광주일고-영남대,[br]내야수) || [[윤석권]] [br] (경남고-성균관대,[br]내야수) || --[[서승화]]-- [br] (대전고,[br]투수) || [[엄병열]] [br] (신일고-중앙대,[br]투수) || || 4 || 손용수 [br] (휘문고,[br]투수) || 정주용 [br] (신일고-인하대,[br]투수) || '''[[김민우(1979)|김민우]]''' [br] (부천고,[br]내야수) || 김주용 [br] (성남고,[br]투수)[br]※ || [[현재윤]] [br] (신일고,[br]포수) || 이병수 [br] (부천고-홍익대,[br]외야수) || 김용우 [br] (인천고,[br]내야수) || 이우석 [br] (인하대,[br]외야수) || || 5 || [[엄정대]] [br] (경남상고-건국대,[br]외야수) || [[채상병]] [br] (휘문고,[br]포수) || '''[[조용준]]''' [br] (효천고,[br]투수) || 이영일 [br] (경남상고,[br]투수)[br]※ || 정찬민 [br] (경동고,[br]투수)[br]※ || [[강민규(야구)|강민규]] [br] (성남고-원광대,[br]외야수) || 김성준 [br] (경남고,[br]투수) || 윤호석 [br] (성남고,[br]투수)[br]※ || || 6 || 한상훈 [br] (북일고,[br]투수)[br]※ || [[심재윤(야구선수)|심재윤]] [br] (동산고-인하대,[br]외야수) || 문정환 [br] (인천고,[br]투수) || 오세학 [br] (경동고,[br]포수) || 최부락 [br] (부산고-중앙대,[br]투수) || 김상호 [br] (배명고-중앙대,[br]내야수) || 변인재 [br] (배재고,[br]투수)[br]※ || 김민주 [br] (경북고,[br]외야수)[br]※@ || || 7 || 김문식 [br] (서울고,[br]외야수)[br]※ || 김도윤 [br] (한서고-원광대,[br]내야수) || [[조재호]] [br] (서울고,[br]외야수) || 유석호 [br] (부천고,[br]내야수) || [[권오원]] [br] (부산상고,[br]투수) || 이용석 [br] (장충고,[br]내야수)[br]※ || 신상호 [br] (중앙고,[br]외야수) || 유광일 [br] (효천고,[br]투수)[br]※ || || 8 || 노은성 [br] (공주고,[br]투수) || 김기연 [br] (북일고,[br]내야수)[br]※@ || 김홍기 [br] (마산고,[br]투수) || 박세훈 [br] (동산고,[br]내야수)[br]※ || 천재영 [br] (선린상고-한양대),[br]투수) || [[오충원]] [br] (신일고-홍익대,[br]외야수) || 김세중 [br] (충암고,[br]내야수) || 홍석룡 [br] (배재고,[br]투수)[br]※ || || 9 || 김정현 [br] (마산상고,[br]내야수) || 이용섭 [br] (동대문상고,[br]투수) || 박우호 [br] (공주고,[br]외야수) || 조은진 [br] (부천고-원광대,[br]외야수) || 박재완 [br] (경북고,[br]내야수) || 김대홍 [br] (배명고,[br]투수)[br]※ || 김광우 [br] (광주일고,[br]투수) || 김대남 [br] (대전고,[br]포수)[br]※ || || 10 || 이용주 [br] (배명고,[br]투수)[br]※ || '''[[마정길]]''' [br] (청주기계공고,[br]투수) || 서정수 [br] (동대문상고,[br]투수) || [[유선우(야구선수)|유병목]] [br] (성남고,[br]투수) || 김정태 [br] (경북고,[br]내야수)[br]※ || 김경진 [br] (신일고-경희대,[br]투수) || 이상우 [br] (인천고,[br]포수) || [[서재환]] [br] (광주일고-인하대,[br]외야수)[br]※ || || 11 || 윤지환 [br] (부산고-중앙대,[br]내야수) || 박성창 [br] (경북고,[br]투수)[br]※ || 석경일 [br] (경남상고,[br]내야수)[br]※@ || '''[[이재우(야구선수)|이재우]]''' [br] (휘문고,[br]내야수)[br]※@ || 김진구 [br] (경북고-영남대,[br]투수)[br]※ || 김석 [br] (마산고-경성대,[br]외야수)[br]※ || [[이기중(야구)|이기중]][br] (선린상고-제주전문대,[br]외야수) || 임동진 [br] (대전고,[br]외야수)[br]※ || || 12 || 임근민 [br] (부산고-경성대,[br]외야수) || 최동연 [br] (대전고,[br]내야수) || [[이정훈(1975)|이정훈]] [br] (장충고-홍익대,[br]외야수) || 구판진 [br] (장충고,[br]외야수) || [[김민수(1979년 8월)|김민수]] [br] (휘문고,[br]투수) || 최근혁 [br] (군산상고,[br]투수)[br]※ || '''[[추승우]]''' [br] (청주기계공고,[br]내야수) || 임근수 [br] (청주기계공고,[br]투수)[br]※@ || == 드래프트 평가 == === 선수별 총평 === ==== [[롯데 자이언츠]] ==== ||<:><-3>
[[롯데 자이언츠|[[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1996~2002).svg|width=55]]]] || ||<:><-3> [[롯데 자이언츠|{{{#ffffff '''롯데 자이언츠'''}}}]] || || '''RD''' || '''지명자''' || '''평가''' || || 1차 || [[임경완]][br](경남고-인하대 / 투수) ||2003년 부터 싱커가 대성공하며 2003-2004년 불펜에서 마당쇠 역할을 했고 병역 비리에 연루되며 2007년에 복귀했다 2008년에 마무리로 낙점 받았지만 쉴 새 없이 불을 지르며 임작가라는 별명을 얻게 된다 그러나 2009년부터 마무리에서 내려왔고 수준급 불펜의 모습을 보였고 2012년에 FA를 선언해 SK로 이적했다 그 뒤로 2019년에 코치로 복귀해 2022시즌 현재 1군 불펜코치를 맡고 있다. || || 고졸우선 지명 1 || 김정열[br](마산고 / 투수) || || || 고졸우선 지명 2 || [[김진수(1979)|김진수]][br](경남고 / 포수) || || || 고졸우선 지명 3 || [[이승학]][br](부산공고 / 투수) ||지명 후, 미 입단(2001년 필라델피아 계약, 2007년 두산 입단) || || 2차 1RD 1번 || [[손인호(야구)|손인호]][br](경남고-고려대 / 외야수) || 대학시절 좋은 성적으로 [[부산아재|입단 후 많은 기대를 받았지만]][* 오히려 후배들과 팀에 도움이 안된다고 욕만 먹었다.] 2003년과 2004년 빼고는 본인 몫을 하지 못하고 결국 2007년에 LG로 트레이드[* 성씨가 같은 후배 [[신명철]]도 [[삼성 라이온즈|다른팀으로]] 트레이드 된다.] 됐다. || || 2차 2RD 1번 || [[서한규]][br](인천고-홍익대-상무 / 내야수) || 활약은 커녕 다른 팀 가서 실적을 조금 쌓고 은퇴한다. || || 2차 3RD 1번 || 전용종[br](경동고 / 투수) || || || 2차 4RD 1번 || 손용수[br](휘문고 / 투수) || || || 2차 5RD 1번 || [[엄정대]][br](경남상고-건국대 / 외야수) || 입단 후에는 별 족적을 남기지 못했지만 그의 [[엄장윤|2세가]] 2024년 지명을 받고 입단한다. || || 2차 6RD 1번 || 한상훈[br](북일고 / 투수) ||지명 후, 미 입단 || || 2차 7RD 1번 || 김문식[br](서울고 / 외야수) ||지명 후, 미 입단 || || 2차 8RD 1번 || 노은성[br](공주고 / 투수) || || || 2차 9RD 1번 || 김정현[br](마산상고 / 내야수) || || || 2차 10RD 1번 || 이용주[br](배명고 / 투수) ||지명 후, 미 입단 || || 2차 11RD 1번 || 윤지환[br](부산고-중앙대 / 내야수) || || || 2차 12RD 1번 || 임근민[br](부산고-경성대 / 외야수) || || ==== [[한화 이글스]] ==== ||<:><-3>
[[한화 이글스|[[파일:한화 이글스 화이트 엠블럼(1994~2006).svg|height=40px]]]] || ||<:><-3> [[한화 이글스|{{{#000000 '''한화 이글스'''}}}]] || || '''RD''' || '''지명자''' || '''평가''' || || 1차 || [[김민규(1979)|김민규]][br](북일고 / 투수) || || || 고졸우선 지명 1 || [[김재현(1979)|김재현]][br](대전고 / 투수) || || || 고졸우선 지명 2 || 임광규[br](청주기계공고 / 외야수) || || || 고졸우선 지명 3 || [[조현수(외야수)|조현수]][br](북일고 / 외야수) || || || 2차 1RD 2번 || [[신경현]][br](군산상고-동국대 / 포수) || || || 2차 2RD 2번 || 김장백[br](서울고-연세대 / 투수) || || || 2차 3RD 2번 || 김기성[br](공주고-원광대 / 외야수) || || || 2차 4RD 2번 || 정주용[br](신일고-인하대 / 투수) || || || 2차 5RD 2번 || [[채상병]][br](휘문고 / 포수) || || || 2차 6RD 2번 || [[심재윤(야구선수)|심재윤]][br](동산고-인하대 / 외야수) || || || 2차 7RD 2번 || 김도윤[br](한서고-원광대 / 내야수) || || || 2차 8RD 2번 || 김기연[br](북일고 / 내야수) ||지명 후, 미 입단 || || 2차 9RD 2번 || 이용섭[br](동대문상고 / 투수) || || || 2차 10RD 2번 || [[마정길]][br](청주기계공고 / 투수) || || || 2차 11RD 2번 || 박성창[br](경북고 / 투수) ||지명 후, 미 입단 || || 2차 12RD 2번 || 최동연[br](대전고 / 내야수) || || ==== [[현대 유니콘스]] ==== ||<:><-3>
[[현대 유니콘스|[[파일:현대 유니콘스 엠블럼.svg|width=55]]]] || ||<:><-3> [[현대 유니콘스|{{{#ffffff '''현대 유니콘스'''}}}]] || || '''RD''' || '''지명자''' || '''평가''' || || 1차 || [[고호봉]][br](부천고-원광대 / 투수) || [[한국프로야구/1997년/신인 드래프트|전년도]]에 입단한 [[최영필]] 처럼 망했다. 그나마 최영필은 현대가 아닌 [[한화 이글스|한화]]에 가서 그나마 포텐이 터지면서 고호봉 보다는 많은 시간동안 프로에서 족적을 남겼다. || || 고졸우선 지명 1 || [[강귀태]][br](동산고 / 포수) || 대학시절 명성은 좋았으나 프로에 와서는 별다른 활약은 없었다. 다만 뭔가 특별한 경기에서만 기록을 세우면서 가끔 이름에서 종종 언급 된다. || || 고졸우선 지명 2 || [[김수경(야구)|김수경]][br](인천고 / 투수) || 드래프트 최고 수확 신인상과 [[1998년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 우승을 거뒀다. 삼성의 강동우, OB의 김동주와 함께 팀내에서 좋은 활약을 선보인것은 덤 || || 고졸우선 지명 3 || [[이대환]][br](춘천고 / 투수) || 2002년에 팀에 입단, 그러나 활약은 없었다. || || 2차 1RD 3번 || [[홍민구]][br](부산상고-한양대 / 투수) || 뚜렷한 족적 없이 입단 5년만에 은퇴를 했다. || || 2차 2RD 3번 || 이학균[br](경남상고-한양대 / 내야수) || || || 2차 3RD 3번 || [[채종국]][br](경남상고-연세대 / 내야수) || 입단 초기에는 실적이 없었으나 이후 백업 멤버로 뛰다가 6년만에 주전으로 활약 || || 2차 4RD 3번 || [[김민우(1979)|김민우]][br](부천고 / 내야수) || 프로 초창기 활약은 미미했으나 군복무 이후 이름을 좀 날리다가 이후 은퇴 했다 || || 2차 5RD 3번 || [[조용준]][br](효천고 / 투수) || 2002년에 입단하여 마찬가지로 김수경 처럼 신인상을 수상하고 [[2003년 한국시리즈|이듬해]]와 [[2004년 한국시리즈|그 다음]]에는 리그에서 제일가는 마무리 투수가 되었으나 부상으로 일찍 은퇴를 하게 되어서 팬들이 가장 아쉬어하는 케이스다. || || 2차 6RD 3번 || 문정환[br](인천고 / 투수) || || || 2차 7RD 3번 || [[조재호]][br](서울고 / 외야수) || 2002년 입단, 입단초에 준주전으로 뛰었으나 이후 커리어가 미미해졌다. || || 2차 8RD 3번 || 김홍기[br](마산고 / 투수) || || || 2차 9RD 3번 || 박우호[br](공주고 / 외야수) || 활약은 커녕 민폐만 끼치고 은퇴했다. || || 2차 10RD 3번 || 서정수[br](동대문상고 / 투수) || || || 2차 11RD 3번 || 석경일[br](경남상고 / 내야수) || 지명 후, 미 입단 || || 2차 12RD 3번 || [[이정훈(1975)|이정훈]][br](장충고-홍익대 / 외야수) || || ==== [[OB 베어스]] ==== ||<:><-3>
[[OB 베어스|[[파일:OB 베어스 엠블럼.svg|height=40px]]]] || ||<:><-3> [[OB 베어스|{{{#ffffff '''OB 베어스'''}}}]] || || '''RD''' || '''지명자''' || '''평가''' || || 1차 || [[김동주(타자)|김동주]][br](배명고-고려대 / 내야수) || 대한민국 최고의 3루수로 각성하여 드넓은 잠실에서 18년을 뛰면서 300홈런을 때린 베어스 사상 유일무일한 거포 || || 고졸우선 지명 1 || [[유재웅]][br](휘문고 / 외야수) || 대학시절과는 별개로 프로에 와서 이런저런 부상으로 기량을 올리지 못하고 이른 은퇴를 했다. || || 고졸우선 지명 2 || [[윤상무]][br](배재고 / 내야수) || || || 고졸우선 지명 3 || 이경수[br](배명고 / 투수) || || || 2차 1RD 4번 || [[송원국]][br](광주일고 / 내야수) || 유재웅 처럼 비슷한 케이스이다. || || 2차 2RD 4번 || [[이혜천]][br](부산상고 / 투수) || 역대 베어스 좌완들[* 대선배인 [[윤석환]]과 후배 [[유희관]]이 있다. 그러나 윤석환은 [[중무리 투수]]로 이름을 날려서 [[김성근]]이 혹사 시켜 망가졌고 유희관은 선발투수로 괜찮은 성적을 남겼으나 몇몇 안티 때문에 의외로 평가가 절하당하는 케이스다.] 중에서 최고의 투수로 성적은 안좋을수도 있으나 그가 뛸때만 해도 당시 리그의 추세만 보면 오히려 준수한 성적을 보여줬다. 단지 [[김인식|감독]][[김경문|들이]] 너무 [[노예(야구)|굴려서]] 부상도 있었고, 해외진출때 나름 활약했지만 한국으로 복귀 후 마운드에서 불만 지르는 선수로 욕만 먹은거다. || || 2차 3RD 4번 || [[김지훈(1973)|김지훈]][br](신일고-고려대-상무 / 포수) || || || 2차 4RD 4번 || 김주용[br](성남고 / 투수) ||유급으로 지명권 상실[* 이듬해 롯데에 다시 지명되었으며, 이후 유급을 해도 지명권을 상실하지 않도록 규정이 바뀌게 된다.] || || 2차 5RD 4번 || 이영일[br](경남상고 / 투수) ||지명 후, 미 입단 || || 2차 6RD 4번 || 오세학[br](경동고 / 포수) || || || 2차 7RD 4번 || 유석호[br](부천고 / 내야수) || || || 2차 8RD 4번 || 박세훈[br](동산고 / 내야수) ||지명 후, 미 입단 || || 2차 9RD 4번 || 조은진[br](부천고-원광대 / 외야수) || || || 2차 10RD 4번 || [[유선우(야구선수)|유병목]][br](성남고 / 투수) || || || 2차 11RD 4번 || [[이재우(야구선수)|이재우]][br](휘문고 / 내야수) || 대학시절 부상이 발생하여 지명권이 소멸 되었으나 구단이 배팅볼 투수로 받아주며 이후 정식선수로 등록 되면서 팀의 허리를 지탱해줬다. || || 2차 12RD 4번 || 구판진[br](장충고 / 외야수) || || ==== [[삼성 라이온즈]] ==== ||<:><-3>
[[삼성 라이온즈|[[파일:삼성 라이온즈 워드마크(1995~2007/화이트).svg|height=30px]]]] || ||<:><-3> [[삼성 라이온즈|{{{#074ca1 '''삼성 라이온즈'''}}}]] || || '''RD''' || '''지명자''' || '''평가''' || || 1차 || '''[[강동우]]'''[br](경북고-단국대 / 외야수) ||데뷔 첫 해부터 신인 규정타석 3할[* 강동우는 정확히 3할을 쳤다. 그리고 이 기록은 훗날 '''[[이정후]]'''가 데뷔하여 고졸 최초로 달성한다.(사족으로 이정후는 1998년에 출생했다.)]-10홈런-20도루를 달성하는 등 활약하였으나, 당해 [[KBO 플레이오프/1998년|플레이오프]]에서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대구시민야구장]] 역사에 길이 남는 엄청난 부상을 당하여 선수 생활이 꼬인 비운의 선수. 이후 [[저니맨]]으로 여러 팀을 옮겼고, 오랜 재활끝에 한화에서 선수 말년에 다시 재기에 성공하였다.|| || 고졸우선 지명 1 || [[김일엽(야구)|김일엽]][br](경북고 / 투수) ||지명 후, 미 입단(2001년 필라델피아 계약, 2007년 롯데 신고선수 입단) || || 고졸우선 지명 2 || '''[[김진웅]]'''[br](대구고 / 투수) ||1999년부터 3년 연속 10승을 달성하면서 차기 삼성의 에이스로 기대를 받았으나, [[2001년 한국시리즈]]를 기점으로 [[새가슴]] 등의 비판을 받으면서 성적이 나빠졌다. 2003~2004년에 각각 9승을 기록하는 등 부활의 조짐을 보였으나, 이후 [[비만|자기관리 실패]] 등으로 인하여 몰락하였다.|| || 고졸우선 지명 3 || 이준민[br](대구상고 / 포수) || || || 2차 1RD 5번 || 김수관[br](경북고-한양대 / 내야수) || || || 2차 2RD 5번 || 박영진[br](경남고 / 투수) || || || 2차 3RD 5번 || 이복연[br](광주일고-영남대 / 내야수) || || || 2차 4RD 5번 || [[현재윤]][br](신일고 / 포수) || [[진갑용]] 이후 쓸만한 포수 자원이 들어왔으나 하필 본인이 병풍사건에 연루되어 2년을 날려먹은게 독이 되었다. 소집이후 팀에서 활약을 하다가 LG로 트레이드[* 삼성과 LG가 처음으로 트레이드를 한것이다. 일전에는 LG가 아닌 [[MBC 청룡|MBC]]에서 선수를 트레이드를 했는데 당시에는 MBC가 [[문화방송|방송국이 모기업이였기 때문]]이다.] 되어 그곳에서 선수생활 종지부를 찍는다. || || 2차 5RD 5번 || 정찬민[br](경동고 / 투수) ||지명 후, 미 입단 || || 2차 6RD 5번 || 최부락[br](부산고-중앙대 / 투수) || || || 2차 7RD 5번 || [[권오원]][br](부산상고 / 투수) || 선수시절 봄에서 초여름에만 잘한다 해서 봄오원 이라는 좋지 않는 별명을 얻었지만, 한팀에서 꾸준히 던진 공로는 나쁘지 않았다. || || 2차 8RD 5번 || 천재영[br](선린상고-한양대 / 투수) || || || 2차 9RD 5번 || 박재완[br](경북고 / 내야수) || || || 2차 10RD 5번 || 김정태[br](경북고 / 내야수) ||지명 후, 미 입단 || || 2차 11RD 5번 || 김진구[br](경북고-영남대 / 투수) ||지명 후, 미 입단 || || 2차 12RD 5번 || [[김민수(1979년 8월)|김민수]][br](휘문고 / 투수) || || ==== [[쌍방울 레이더스]] ==== ||<:><-3>
[[파일:PKPuIYF.png|width=50]]|| ||<:><-3> [[쌍방울 레이더스|{{{#ffffff '''쌍방울 레이더스'''}}}]] || || '''RD''' || '''지명자''' || '''평가''' || || 1차 || [[조진호(야구)|조진호]][br](전주고-원광대 / 투수) || 계약금 때문에 계약이 되지 않아 직접 메이저리그로 간다. [[박찬호]] 다음으로 국내 제 2호 메이저리그 투수. 2002년 국내로 복귀 이후 쌍방울 구단이 해체 되자 그 팀 선수들을 기반으로 새롭게 창단한 [[SK 와이번스]]에 합류[* SK 창단때 쌍방울 선수들이 지명한 신인 드래프트 선수들의 지명권이 소멸되지 않고 유효했다.] 한다. || || 고졸우선 지명 1 || 문광민[br](군산상고 / 투수) ||지명 후, 미 입단 || || 고졸우선 지명 2 || [[윤형국]][br](전주고 / 내야수) || || || 고졸우선 지명 3 || 임진성[br](전주고 / 포수) ||지명 후, 미 입단 || || 2차 1RD 6번 || [[윤재국]][br](인천고-경남대 / 외야수) || || || 2차 2RD 6번 || 고승환[br](선린상고-경성대 / 투수) || || || 2차 3RD 6번 || [[윤석권]][br](경남고-성균관대 / 내야수) || || || 2차 4RD 6번 || 이병수[br](부천고-홍익대 / 외야수) || || || 2차 5RD 6번 || [[강민규(야구)|강민규]][br](성남고-원광대 / 외야수) || || || 2차 6RD 6번 || 김상호[br](배명고-중앙대 / 내야수) || || || 2차 7RD 6번 || 이용석[br](장충고 / 내야수) ||지명 후, 미 입단 || || 2차 8RD 6번 || [[오충원]][br](신일고-홍익대 / 외야수) || || || 2차 9RD 6번 || 김대홍[br](배명고 / 투수) ||지명 후, 미 입단 || || 2차 10RD 6번 || 김경진[br](신일고-경희대 / 투수) || || || 2차 11RD 6번 || 김석[br](마산고=경성대 / 외야수) ||지명 후, 미 입단 || || 2차 12RD 6번 || 최근혁[br](군산상고 / 투수) ||지명 후, 미 입단 || ==== [[LG 트윈스]] ==== ||<:><-3>
[[LG 트윈스|[[파일:LG 트윈스 엠블럼(1990~2005).svg|width=61]]]] || ||<:><-3> [[LG 트윈스|{{{#ffffff '''LG 트윈스'''}}}]] || || '''RD''' || '''지명자''' || '''평가''' || || 1차 || [[조인성(야구)|조인성]][br](신일고-연세대 / 포수) || 이런저런 구설수가 있었지만 선수 성적은 괜찮았다. || || 고졸우선 지명 1 || [[박용택]][br](휘문고 / 외야수) || LG 트윈스의 3번째 '''[[영구결번]]''' 이자 [[6668587667|암흑기]] 시절 팀을 위해 고군분투한 레전드 이다. || || 고졸우선 지명 2 || [[안치용(야구)|안치용]][br](신일고 / 외야수) || || || 고졸우선 지명 3 || 정현택[br](배명고 / 내야수) || || || 2차 1RD 7번 || [[김경태(1975)|김경태]][br](성남고-경희대 / 투수) || || || 2차 2RD 7번 || 박선규[br](경남상고-동아대 / 외야수) || || || 2차 3RD 7번 || [[서승화]][br](대전고 / 투수) || [[한기주]] 이전 10억원 신화를 쓴 선수 그러나 성적은 미미했다. || || 2차 4RD 7번 || 김용우[br](인천고 / 내야수) || || || 2차 5RD 7번 || 김성준[br](경남고 / 투수) || || || 2차 6RD 7번 || 변인재[br](배재고 / 투수) ||지명 후, 미 입단, 2002년 롯데에 신고선수로 입단 || || 2차 7RD 7번 || 신상호[br](중앙고 / 외야수) || || || 2차 8RD 7번 || 김세중[br](충암고 / 내야수) || || || 2차 9RD 7번 || 김광우[br](광주일고 / 투수) || || || 2차 10RD 7번 || 이상우[br](인천고 / 포수) || || || 2차 11RD 7번 || [[이기중(야구)|이기중]][br](선린상고-제주전문대 / 외야수) || || || 2차 12RD 7번 || [[추승우]][br](청주기계공고 / 내야수) || LG에서 성적은 못남기고 한화가서 나름 성적을 남겼다. || ==== [[해태 타이거즈]] ==== ||<:><-3>
[[해태 타이거즈|[[파일:해태 타이거즈 엠블럼(1996~2001).svg|width=60]]]] || ||<:><-3> [[해태 타이거즈|{{{#ffffff '''해태 타이거즈'''}}}]] || || '''RD''' || '''지명자''' || '''평가''' || || 1차 || [[최희섭]][br](광주일고 / 내야수) ||지명 후, 미 입단(1999년 시카고 컵스 계약, 2007년 KIA 입단) || || 고졸우선 지명 1 || [[강철민]][br](효천고 / 투수) || 대학 진학 후 조용준과 쌍두마차로 이름을 날렸지만 프로에 와서는 '''[[사이버 투수]]''' 라는 불명예를 남겼다. || || 고졸우선 지명 2 || 김정진[br](진흥고 / 투수) ||지명 후, 미 입단 || || 고졸우선 지명 3 || [[이현곤]][br](광주일고 / 내야수) || 대학 진학 후 김민우와 쌍벽을 이루는 활약을 보여주고 프로에 데뷔. 거기다가 2007년에는 이전까지만해도 2할 7푼 ~ 8푼 때리는데에 그쳤던 타율을 3할3푼때 까지 치면서 타격왕[* 그해에 2위는 '''[[양준혁]]'''이다.]에 오른다. || || 2차 1RD 8번 || [[소소경]][br](대구고 / 투수) || || || 2차 2RD 8번 || 방수환[br](군산상고-동국대 / 외야수) || || || 2차 3RD 8번 || [[엄병열]][br](신일고-중앙대 / 투수) || || || 2차 4RD 8번 || 이우석[br](인하대 / 외야수) || || || 2차 5RD 8번 || 윤호석[br](성남고 / 투수) ||지명 후, 미 입단 || || 2차 6RD 8번 || 김민주[br](경북고 / 외야수) ||지명 후, 미 입단 || || 2차 7RD 8번 || 유광일[br](효천고 / 투수) ||지명 후, 미 입단 || || 2차 8RD 8번 || 홍석룡[br](배재고 / 투수) ||지명 후, 미 입단 || || 2차 9RD 8번 || 김대남[br](대전고 / 포수) ||지명 후, 미 입단 || || 2차 10RD 8번 || [[서재환]][br](광주일고-인하대 / 외야수) ||지명 후, 미 입단 || || 2차 11RD 8번 || 임동진[br](대전고 / 외야수) ||지명 후, 미 입단 || || 2차 12RD 8번 || 임근수[br](청주기계공고 / 투수) ||지명 후, 미 입단 || === 팀별 총평 === * [[삼성 라이온즈]]: '''[[강동우]]''' 이 한 명으로 대박을 쳤다. 바로 삼성의 리드오프 자리를 획득. 그러나 그 해 가을야구에서 [[이병규(1974)|이병규]]의 타구를 잡다 콘크리트로만 된 펜스와 충돌해 부상을 입으면서 야구 인생이 크게 꼬였다. 그 외에도 [[김진웅]]도 1999~2001년에 10승을 거두며 나름대로 성공하나 싶었지만, 2001시즌에 혹사당한 이후 부상과 자기관리 실패로 몰락의 길을 걷고 만다. 그리고 [[현재윤]]도 백업 포수로 어느 정도 밥값을 했다. * [[롯데 자이언츠]]: [[임경완]]과 [[손인호(야구)|손인호]] 빼고는 말아먹은 드래프트. * [[한화 이글스]]: 전년도와 달리 재미를 꽤 봤다. [[신경현|향후 15년을 책임진 ~~체고의 포수~~ 안방마님]], [[마정길|수준급 불펜 투수]] 2명을 얻었다. * [[해태 타이거즈]]: '''[[최희섭|한국인 최초 메이저리그 타자]]''', [[이현곤|그 메이저 타자의 광고를 부르는 동기동창]] 이 두 명을 얻기는 했다. 근데 [[강철민|사이버투수]]가 있었다는 게 함정. 그리고 이들 셋 다 대학진학 또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메이저리그]] 진출 때문에 해태/KIA 입단은 이 드래프트로부터 4년도 더 지나서야 이루어졌다. 다만 [[최희섭]]은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메이저리그]] 진출로 인해 자격정지를 당하며 해태의 지명권이 [[시망|날아갔고]], 2007 시즌을 앞두고 [[KBO 리그]]의 중흥 목적으로 열린 [[해외파 특별 드래프트]]에서 KIA의 지명을 다시 받아 [[대한민국]]에 복귀했다. [[2009년 한국시리즈]]의 우승 주역으로 보여줬으나... 이 후 내리막길을 타며 은퇴했고 현재는 해설가 활동 및 해외 야구 칼럼을 쓰고 있다. 심지어 지도자로 전업했다. 이현곤도 나름대로 활약하였고 2007년 생애 첫 타격왕을 차지했다. 일부 팬들은 고졸 우선 지명에서 조용준이 아닌 김정진을 택한 것에 아쉬움을 표하기도 하지만 조용준은 작은 체구 때문에 발전 가능성에 한계가 있다는 스카우트들의 판단이 있었고[* 그 판단은 결과적으로 틀리지 않았다. 조용준은 작은 체구의 한계에 부딪혔고 불성실한 재활 과정이 겹치며 커리어가 일찍 끝났다.] 좌완투수가 금값인 사정을 감안할 때 김정진을 외면하기는 어려웠다. 김정진이 대학에서 부상으로 중도하차할 줄은 몰랐겠지만. * [[LG 트윈스]] : '''[[박용택]]'''을 지명하였으나 고려대에 진학, 이후 졸업 후 2002년에 입단하여 19년간 원클럽맨으로 뛰며 KBO리그 최다안타와 영구결번이라는 위대한 업적을 이루어냈다. 또한 '''[[조인성(야구)|LG 역사상 최고의 공격형 안방마님]]'''을 얻었[[KBO FA 제도|으나]], [[SK 와이번스|13년 후...]] . [[안치용(야구)|안치용]], [[추승우]]는 [[탈쥐효과|딴 팀에서 터졌고]], [[서승화]]는 [[이승엽]]과 [[벤치 클리어링|대판 싸우고]], [[윤재국|상대 팀 주자에게 태클을 걸어 선수 생활을 끊어 놓고]], [[이병규(1983)|2군에서 후배를 패는 등]]의 구설수를 일으키다 [[망했어요]]로 전락했다.[* 사실 서승화는 메이저리그 스카우터들과 계약한다는 썰이 있었다고 한다.] * [[현대 유니콘스]]: '''[[김수경(야구)|수경언니]]'''가 1998년 신인왕을 차지하면서 해당 드래프트 최고의 승자가 되었다. 그 외 [[진필중]], [[임창용]] 이후 리그 최고의 마무리 [[조용준]]과 ~~기록 브레이커~~ 포수 [[강귀태]], 내야전문 유틸리티 [[김민우(1979)|김민우]]를 얻은 것도 나름의 수확이다. 4명 모두 [[2003년 한국시리즈]] 우승 반지를 획득했다. * [[쌍방울 레이더스]]: [[망했어요]]. 그나마 1픽 투수 [[조진호(야구)|조진호]]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메이저리그]]에 진출했다가 말아먹은 뒤 [[쌍방울 레이더스]]의 선수단을 인계한 [[SK 와이번스]]에 2002년에 복귀했으나 폭망했고, [[2004년 프로야구 병역비리 사건|병역비리]] 사실이 드러나 구속됐다. 1군에서 모습을 보인 선수라고는 외야수 [[윤재국]]뿐이다. 그러나 [[윤재국]]도 LG와의 경기 중 [[서승화]]의 태클로 인한 부상 + [[2004년 프로야구 병역비리 사건|병역비리 사건]]으로 인해 쓸쓸히 사라졌다. * [[OB 베어스]]: '''[[김동주(타자)|2000년대 두산의 해결사]]'''에 [[이혜천|베어스 좌완 다승 2위 투수]]를 얻었다. 향후 두산 불펜진의 핵심 요원이 되는 [[이재우(야구선수)|이재우]]를 얻은 것도 수확. 다만 이재우는 탐라대 시절에 입은 부상과 [[2004년 프로야구 병역비리 사건|병역비리 사건]]에 연루된 것 때문에, 7년 정도의 공백기를 거친 끝에 2005년이 돼서야 포텐이 터졌다. == 이모저모 == * 연고지 내에 고교 팀이 전주고, 군산상고 2개 팀뿐이라 인재난에 허덕였던 [[쌍방울 레이더스]]는 나름대로 전국구급이었던 [[원광대학교|원광대]] 투수 [[조진호(야구)|조진호]]에게 기대를 걸었지만, [[조진호(야구)|조진호]]가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메이저리그]] 진출을 선언하고 [[보스턴 레드삭스]]에 입단하면서 그런 기대는 [[물먹다|물거품]]이 되었다. 지명권은 2년 후 당연히 [[SK 와이번스]]에 인계되었다. * 해태에 2차 1순위 지명을 받은 대구고 투수 [[소소경]]은 아버지가 [[대만]] 국적인 [[화교]]. 그러나 어려서부터 [[대구광역시|대구]]에서 자랐고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모두 [[대한민국]]에서 학교를 나온 관계로, 외국인 선수가 아닌 국내 선수로 인정받아 드래프트에 나올 수 있었다.[* [[한국야구위원회|KBO]]에서는 외국인이라도 중학교 이상 학교에 다니면서 대한야구협회의 등록선수로 활동했다면, 국내 선수에 준하여 신분을 인정받는다. NPB에서 뛴 [[장훈]] 선생이나 소소경 이후 두번째로 한국 학교에서 졸업한 [[히로나카 시히로]]가 있다.] 하지만 정작 [[소소경]]은 외야수 [[이용규]]를 상대로 [[LG 트윈스]]가 단행한 대쪽박 [[트레이드]]의 '''[[탈쥐효과|주인공으로 더 알려졌다]]'''.(...) * OB에 3라운드 지명된 [[김지훈(1973)|김지훈]]은 지명권 양도로 삼성에 입단했다. * 해태에 10라운드 지명을 받은 서재환은 [[한국프로야구/1996년/신인 드래프트|1996 신인 지명]]에서 해태에 고졸우선지명을 받은 투수 [[서재응]]의 형이다. 동생과 같이 [[뉴욕 메츠]]에 입단했지만, 부상을 당해 1년만에 은퇴했다. * OB에 4라운드 지명된 김주용은 지명을 받은 뒤 유급하면서 당시 규정에 따라 지명권이 소멸되었고, 이듬해 롯데에 다시 지명되었다. 이후 유급하더라도 지명권이 소멸되지 않는 것으로 규정이 바뀌게 된다. * OB에 11라운드 지명된 [[이재우(야구선수)|이재우]]는 [[제주국제대학교|탐라대학교]]에 입학한 후 발목 부상으로 선수 활동이 불투명해져 대학까지 중퇴했고, 결국 지명권이 취소되었다. 그 대신 [[두산 베어스]]에 경기기록원으로 입사했다. 그러면서 배팅볼[* [[한용덕]]은 [[육성선수|연습생]] 시절에 배팅볼을 많이 던지면서 능력을 키운 경우다.]을 던져 주다가 제법 구위가 좋아지며 [[육성선수|신고선수]]로 계약하고, 정식 선수로 등록되어 2005년 홀드왕에 올랐다. * 롯데의 고졸우선 지명을 받은 [[이승학]]은 [[단국대학교]] 졸업 후 [[필라델피아 필리스]]에 입단했다가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메이저리그]]에 오르지 못하고 [[두산 베어스]]의 해외파 특별 지명을 받아 입단했다.[* 해외파 특별 지명 시행은 이전부터 조금씩 거론이 되어 왔지만 이승학이 병역 면제여서 꼼짝없이 2년을 날릴 위기에 처하게 되자 2007년에 비로소 시행하게 되었다.] 하지만 결과는... 이 와중에 [[양준혁]]에게 [[KBO 리그]] 역대 최초 2,000안타를 [[허용투수|허용하기도 했으니...]] * 삼성의 고졸우선 지명을 받은 [[김일엽(야구)|김일엽]] 역시 [[이승학]]과 함께 [[단국대학교]] 졸업 후 [[필라델피아 필리스]]에 입단했다. 그러나 어깨 회전근 부상으로 필라델피아에서 방출되고, 유예 기간 동안 [[산업기능요원]]으로 일하면서 대체 복무를 마친 후 2007년 초 [[롯데 자이언츠]]에 [[육성선수|신고선수]]로 입단했다. * OB에 10라운드 지명된 [[유선우(야구선수)|유병목]]은 별 활약 없이 방출된 뒤 보스턴과 계약하면서 많은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 마이너리그에서 좋은 활약을 보이나 했으나 이내 한계를 드러내면서 그의 도전기는 끝났다. 이후 [[유선우(야구선수)|유선우]]로 개명했으며 야구교실을 열면서 MBC 스포츠플러스에서 메이저리그 해설을 하고 있다. * LG에 11라운드 지명된 [[이기중(야구)|이기중]]은 입단 직후 상무에 입단하여 군복무를 마친 후 복귀하여 2002년에 별볼일 없이 방출되었으나 KBO 심판으로 전향하여 --[[오심|안 좋은 쪽으로]](???)-- 이름을 날렸다. * 현대에 9라운드 지명된 박우호는 배우 [[박시후]]의 동생이다. 그나마 [[반어법|유명]]한게 있다면 '''[[2004년 프로야구 병역비리 사건]]''' 명단에 올라있는 인물이 바로 이 사람이다. [[분류:KBO 신인 드래프트]][[분류:한국프로야구/1998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