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한국프로야구)] [include(틀:한국프로야구 역대 포스트시즌 목록)] [include(틀:2000년 한국프로야구 포스트시즌)] [목차] == 개요 == [[한국프로야구/2000년|2000 삼성 fn.com 프로야구]] 포스트시즌은 드림 1위 [[현대 유니콘스]], 2위 [[두산 베어스]], 3위 [[삼성 라이온즈]], 매직 1위 [[LG 트윈스]], 매직 2위 [[롯데 자이언츠]]가 포스트시즌에 진출하였다. 특이사항으로는 양대리그간의 전력 불균형으로 인한 '''5개팀 포스트시즌 참가'''라는 프로야구 사상 초유의 일이 벌어졌다는 것. 삼성은 드림리그 3위였으나 매직리그 1위 LG, 2위 롯데보다 승률이 높아서 포스트시즌에 참가하였는데 이런 사태로 인해 전력 불균형으로 불거졌던 양대 리그는 다음해에 다시 단일 리그로 환원이 되는 결정타가 되었고 다시 5개팀이 포스트시즌을 참가하는것은 15년 후에야 이뤄졌다. 그리고 현대가 당시 최다승 기록이었던 '''91승'''을 기록했다는 것도 중요 사항이다.[* 2016년 두산 베어스가 93승으로 경신 한다.] 준PO는 1년만에 만난 삼성이 롯데를 꺾고 [[경기는 삼성쪽으로 기울고|직전 해의 대참사]]를 갚아주게 되었다[* 이때 롯데는 구장의 보수 관계로 당시 제 2홈구장이었던 마산에서 경기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현대와 삼성의 [[재계 라이벌 시리즈|'재계 라이벌' PO]]에서 현대가 일방적인 스윕으로 승리, 두산과 LG의 [[잠실시리즈|'한 지붕 두 가족' PO]]에서는 두산이 승리했다. 그렇게 해서 드림 1위 [[현대 유니콘스]]와 드림 2위 [[두산 베어스]]간에 한국시리즈가 열렸다. 자세한 내용은 [[2000년 한국시리즈]] 항목 참조. [[현대 유니콘스]]가 한국시리즈 우승을 거뒀다. 여담으로 롯데와 현대가 동시에 포스트시즌에 진출한 유일한 포스트시즌이나 맞대결[* 덤으로 2008년 1월 현대가 해체되고 선수들을 이어받은 신생팀 [[키움 히어로즈|우리 히어로즈]]가 창단이 되고 수년간 가을야구 도전기을 했으나 끝끝내 롯데와는 단 한번도 만나본적이 없었다. 처음으로 가을야구에 직행했던 2013시즌 때는 키움이[* 당시 팀 스폰서는 "넥센" 히어로즈] 포스트시즌 진출을 하였고 롯데가 아쉽게 5위를 기록하면서 무산이 되었고 2017 시즌은 반대로 넥센이 7위로 가고 롯데가 4위를 하면서 마주치지 못했다. 이후 롯데가 잘하면[* 2008년~2011년 / 2017년] 키움이 하위권에 맴돌고 있고 키움이 잘하면[* 2013년~2016년 / 2018년~2022년] 롯데가 하위권에서 놀고있는 뫼비우스의 띠를 형성하고 있다.]은 성사되지 못하였다. == 대진표 == || 준플레이오프 || 플레이오프 || 한국시리즈 || || D3 '''삼성 라이온즈 2''' VS 1 M2 롯데 자이언츠 || D3 삼성 라이온즈 0 VS '''4 D1 현대 유니콘스''' ||<|2> '''D1 현대 유니콘스 4''' VS 3 D2 두산 베어스 || || - || M1 LG 트윈스 2 VS '''4 D2 두산 베어스''' || == [[KBO 준플레이오프/2000년|준플레이오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KBO 준플레이오프/2000년)] == [[KBO 플레이오프/2000년|플레이오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KBO 플레이오프/2000년)] == [[2000년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000년 한국시리즈)] == 관련 문서 == * [[한국프로야구/2000년]] * [[KBO 준플레이오프]] * [[KBO 플레이오프]] * [[KBO 한국시리즈]] * [[KBO 포스트시즌]] [[분류:KBO 포스트시즌]][[분류:한국프로야구/200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