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KBO 리그)] [include(틀:다른 뜻1, other1=2010 프로야구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게임빌의 모바일 게임, rd1=2010 프로야구(게임))] [include(틀:KBO 리그 시즌)] ||<-2> '''{{{#ffffff 2010 CJ 마구마구 프로야구}}}''' || ||<-2> [[파일:2010 CJ 마구마구 프로야구 엠블럼.svg|width=200]] || ||<-2> [[파일:2010 CJ 마구마구 프로야구 워드마크.svg|width=400]] || || '''기간''' || [[2010년]] [[3월 27일]] ~ [[2010년]] [[9월 26일]] (정규시즌) [br] [[2010년]] [[9월 29일]] ~ [[2010년]] [[10월 19일]] (포스트시즌) || || '''참가팀''' || [[넥센 히어로즈]], [[두산 베어스]], [[롯데 자이언츠]], [[삼성 라이온즈]], [br] [[한화 이글스]], [[KIA 타이거즈]], [[LG 트윈스]], [[SK 와이번스]] 이상 8개팀. || || '''스폰서''' || [[CJ E&M]] [[마구마구]] || [목차] [clearfix] == 개요 == 2010년에 펼쳐친 [[KBO 리그|한국프로야구]]. 3월 27일 개막[* 아시안게임의 영향으로 예년보다 한 주 정도 앞서서 했다.][* 전날 [[천안함 피격 사건]]이 일어났다.]하여, 각팀 별 133경기씩[* 전년도 1~4위인 KIA, SK, 두산, 롯데는 홈 67경기, 원정 66경기 / 5~8위인 삼성, 넥센, LG, 한화는 홈 66경기, 원정 67경기.]총 532경기를 치렀다. 승률 계산 방식은 전년도와 같이 무승부를 총 경기 횟수에서 제외하지 않는 방식을 택하기 때문에 무승부로도 승률이 떨어진다. 스폰서는 전년도와 같이 CJ [[마구마구]]. 개막전은 2008년도[* 2010년부터 직전년도 순위가 아닌, 2시즌 전 순위 기준으로 시행됐다. 그 이유는 한 시즌이 끝나기 전에 이듬해 경기 일정을 정해야 구단별로 이듬해 시즌을 대비한 일정을 빠르게 짤 수 있으므로 당 시즌 최종순위가 결정되기 전에 일정을 짜야했기 때문에 2시즌 전 순위 기준으로 개막 일정을 짜기로 한 것. 하지만 이로 인해 전년도 우승팀이 2시즌 전 성적이 나빴을 경우 개막전에 홈팀으로 정해지지 못하므로 개막전에서 디펜딩 챔피언의 입장이 퇴색되는 부작용도 있다. 때문에 2009년 우승팀인 KIA가 정작 2010년 시즌을 홈에서 개막하지 못하는 상황이 일어났다.] 상위 4개구단의 홈구장인 문학(한화-SK) / 잠실(KIA-두산) / 대구(LG-삼성) / 사직(넥센-롯데). 어린이날 경기는 격년제 편성에 따라, 2010년엔 광주, 문학, 대구, 잠실(LG홈)으로 열렸다. 올스타전은 7월 24일로 13년만에 대구구장에서 열렸다. 2009년 메인스폰서를 잡지 못했던 서울 히어로즈가 넥센타이어를 메인스폰서로 삼아서, '넥센 히어로즈'로 2010시즌에 나섰다. 최장신은 207cm의 [[두산 베어스|두산]] 장민익. 최단신은 165cm의 [[KIA 타이거즈|KIA]] [[김선빈]]. 최중량은 115kg[* 과연 115kg가 맞을까... 특히 최준석 이대호는 130kg는 넘는다는게 중론.]의 [[두산 베어스|두산]] [[최준석]]과 [[한화 이글스|한화]](현 KIA) [[박성호(야구선수)|박성호]]. 최고령은 [[삼성 라이온즈|삼성]] [[양준혁]]이다. [[1억번째 관중사건|5월 30일 문학야구장에 1억번째 관중이 나왔다.]] 그 관중에겐 ''' 평생 전구장 이용권+광저우 아시안게임 초청'''이라는 엄청난 혜택을 주고 9,999만9,999번째와 1억1번째 관객에게는 '''이번시즌''' 전구장 무료+광저우 아시안게임 초청이라는 혜택을 준다 == 스토브리그 == === 룰 변경 === '속도 향상'이 이번 시즌의 목표이다. 기존에 있던 [[투수]]가 12초내에 공을 던져야 한다는 12초룰을 보다 엄격하게 적용한다. 2루심이 초시계로 시간을 측정한 후 1차 위반시 경고, 2차 위반시 볼을 선언한다. 타자가 타석에서 스탠스를 잡는 시점부터 투수가 내딛는 발을 드는 시점까지의 시간이다. 공을 던질때까지의 시간이 아니다. 12~13초 사이로 시간이 애매한 경우에는 타자에게 어드밴티지를 부여한다.[* 다시 말해, 투수가 애매한 시간에 공을 던진 걸 쳐서 아웃이 되면 무효처리. 안타가 된 경우에는 그대로 인정] 스트라이크 존을 타자의 몸쪽과 바깥쪽에 공 반개씩 넓힐 예정이다. 또한 투수가 로진을 과다하게 묻히는 행위에 첫번째 경고, 두번째 볼을 선언. 타자가 요구하는 타임이 너무 늦은경우는 받아주지 않기로 했다. 클리닝 타임 또한 속도향상을 이유로 사라진다. 대신에 3,5,7회 간격으로 그라운드 정리를 시행한다. 낫아웃과 파울플라이 관련 규정도 이 시즌부터 개정되었다. 종전에는 낫아웃이 됐을 때 타자가 덕아웃으로 들어가기 전까지는 낫아웃이었다는 것을 알면 1루로 갈 수 있었으나 이 시즌부터 홈 플레이트 주변의 둥근 흙판을 벗어나는 순간 심판이 아웃을 선언할 수 있게 개정되었다. 또한, 덕아웃 안에서 파울볼을 포구하더라도 파울플라이로 인정하였던 것을 개정하여 덕아웃 안에서 포구하면 그 포구는 무효로 하고 파울볼로 처리하기로 하였다. 포구할 때 덕아웃 안으로 한 발이 살짝 들어가더라도 덕아웃 안에서 포구한 것으로 간주하여 파울볼 처리. ==== 영향 ==== 12초룰은 어느정도 찬성을 받고 효과가 나오고 있지만, 그 외의 부분들은 반대도 많고 부작용만 계속 나오고 있다. 스트라이크 존의 갑작스러운 확대는 일선의 타자들에게 반발을 불러왔을뿐더러 심판들의 고무줄 스트라이크존이 더 심해져버렸다. 또한, 클리닝 타임의 삭제는 팬들을 위해 속도향상을 한다는 취지에 반대로 어긋나는 처사라 논란을 빚고 있다. 종전에 키스타임 등과 같은 시간이 좀 걸리는 이벤트는 전부 클리닝타임에 진행되었기 때문에 구단들도 이벤트 짜기가 참 난감해졌고, 거기에 클리닝타임 삭제를 했다고는 하는데 정작 경기시간 자체는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는 것이 문제. === 코칭 스탭 변경 === * [[KIA 타이거즈]] 1군 투수코치 [[스기모토 타다시]] (前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투수코치) * [[SK 와이번스]] 1군 주루코치 [[전준호(1969)|전준호]] (前 히어로즈 선수) * [[LG 트윈스]] 감독 [[박종훈(1959)|박종훈]] (前 두산 2군 감독) 수석코치 김영직 (前 LG 2군 감독) 1군 투수코치 [[윤학길]] (前 히어로즈 2군 감독) 1군 타격코치 [[서용빈]] (前 LG 육성군 코치) 2군 감독 [[김기태(1969)|김기태]] (前 요미우리 코치) * [[한화 이글스]] 감독 [[한대화]] (前 삼성 수석 코치) 수석코치 [[이종두]] (前 삼성 코치) 1군 투수코치 [[성준(야구선수)|성준]] (前 롯데 투수코치) === 트레이드 === 두산 : 내야수 [[이대수]] ↔ 한화 : 투수 [[조규수]] + 투수 [[김창훈(1985)|김창훈]] 넥센 : 투수 [[이현승(야구선수)|이현승]] ↔ 두산 : 투수 [[금민철]] + 현금 10억 넥센 : 투수 [[장원삼]] ↔ 삼성 : 투수 [[박성훈(야구)|박성훈]] + 투수 [[김상수(투수)|김상수]] + 현금 20억 넥센 : 외야수 [[이택근]] ↔ LG : 포수 박영복 + 외야수 강병우 + 현금 25억 넥센 : 투수 [[마일영]] ↔ 한화 : 투수 [[마정길]] + 현금 3억 === 신규영입 === KIA : 리카르도 로드리게스(투수. 방출[* 시범 경기 도중 방출. 예전에 팔꿈치가 부러져서에 받은 수술의 상태가 안좋아졌다고 한다. 그런데 그 뒤에 도핑 검사 결과 양성반응이 나와서 충격을 줬다.]) SK : [[전준호(1975)|전준호]](투수, 넥센 방출), 박진원(외야수, 두산 방출), 추경식(내야수, 롯데 방출) 두산 : [[레스 왈론드]](투수), [[켈빈 히메네스]](투수), 오현근(외야수, SK 방출) 롯데 : [[라이언 사도스키]](투수) 넥센 : [[애드리안 번사이드]](투수) LG : [[오카모토 신야]](투수), [[에드가 곤잘레스]](투수), [[이병규(1974)|이병규]](외야수, 국내복귀), [[이상열(야구)|이상열]](투수, 넥센 방출), [[정성훈(1977)|정성훈]](투수, 두산 방출) 한화 : [[호세 카페얀]](투수), [[훌리오 데폴라]](투수), [[전근표]](내야수, 넥센 방출), [[정원석(야구선수)|정원석]](내야수, 두산 방출), [[송창식(야구선수)|송창식]] (투수, 입단테스트를 거쳐 재영입) == 방출 및 임의탈퇴 == * 히어로즈 : [[전준호(1975)|전준호]], [[전근표]], [[이상열(야구)|이상열]], [[박동욱]], [[전인환]], 김종문 * KIA : [[김영수(야구선수)|김영수]], 조동현, [[이재주]], 유승룡, 장태성 * SK : [[허일상]], [[손지환]], [[윤재국]], [[오현근]], [[김동건(야구)|김동건]] * 두산 : [[이승학]], 윤요한, 이석만, [[정원석(야구선수)|정원석]], 박진원, [[김진수(1979)|김진수]], 이정민 * 롯데 : [[김이슬]], 추경식 * 삼성 : [[조진호(야구)|조진호]], 김문수, 이성훈, 강희성 * LG : [[박지철]], [[김경태(1975)|김경태]], 강창주 * 한화 : [[양승학]], [[신민기(1980)|신민기]], 문용민, 연지, 강병수 == 은퇴 == * 한화 : [[김민재(내야수)|김민재]](3루 작전코치), [[송진우(야구)|송진우]]( 요미우리 코치연수), [[정민철]](1군 투수코치[[불펜]]) * 히어로즈 : [[김동수(야구)|김동수]](1군 배터리코치), [[전준호(1969)|전준호]](SK 1군 주루코치) * KIA : [[장문석]], [[최경환(야구)|최경환]](1군 타격코치) * 삼성 : [[김재걸]](1군 트레이닝코치), [[김창희(야구)|김창희]](전력분석요원) * LG : [[이종열]](2군 육성군 타격코치) * 롯데 : [[박현승]](2군 수비, 주루코치) * 두산 : [[전상렬]](코치연수 예정) * SK : 윤재국(부상), [[정경배]](1군 타격코치), [[조웅천]](컵스 코치연수) == FA 계약 == 자격 취득 선수 27명중 8명이 신청을 하였다. 잔류 KIA [[김상훈(1977)|김상훈]] : 1년 10억 2천 5백만 원 KIA [[장성호]] : 1년 2억 5천만 원 SK [[박재홍(야구)|박재홍]] : 1년 8억 원 롯데 [[최기문]] : 1년 1억 5천만 원 삼성 [[박한이]] : 1년 6억 5천만 원 (옵션 5천만 원 포함) 한화 [[강동우]] : 1년 3억 원 이적 한화 [[이범호]] → 日소프트뱅크 : 2년+1년 5억 엔 한화 [[김태균]] → 日지바롯데 : 3년 7억 엔 (옵션 1억 5천만 엔 포함) === 상무, 경찰청 및 군입대 === KIA : 박진영, 이호신, [[임준혁]], [[진해수]][* 원래 이름은 진민호였으나 개명.], [[박정규(야구선수)|박정규]], [[오준형]], [[유용목]], 임세업, 현승민 SK : [[윤길현]], 권영진, [[채병용]] 두산 : [[박민석(야구선수)|박민석]], [[최주환]], 권영준, [[최재훈(야구선수)|최재훈]], [[허경민]] 롯데 : [[이동훈(1981)|이동훈]], 이웅한, 최혁권 삼성 : [[이지영(야구선수)|이지영]], [[우동균]], [[조현근]], [[최원제]] 넥센 : [[박헌도]], [[장효훈]], [[조용훈]], [[전유수|전승윤]], [[유재신]], [[임창민]], [[전동수]] LG : 김종찬, 신창명, 윤찬수[* 방출되고서 중범죄를 일으켜서 흑역사 확정!], 오현민, [[우규민]], [[이승우(1988)|이승우]] 한화 : [[연경흠]], [[정대훈]], 최연오 == 시범경기 == 3월 6일부터 21일까지 열린다. 09시즌의 높은 인기가 이어진덕에, 시범경기 초반부터 많은 관중들이 찾고 있다. 첫 2연전부터 문학에 8천명, 목동에 7천명이 들어왔고, 13일 두산 대 LG전에는 1만2천명, 14일은 1만6천명이 찾았다. 입장료를 내지는 않지만, 시범경기 역사상 최대. 13일에는 심지어 한 관중의 경기장 난입까지 일어났다! 최종적으로 총 47경기에서 총 17만702명(평균 3,632명)을 동원하였다. 무료입장이긴 하지만 작년에 비해 3배[* 2009년에는 50경기에서 6만7,500명(평균 1,350명)]가량 증가한것. 광저우 아시안게임을 대비한 승부치기가 시범경기에 한해 도입되어 진행되었다. 시범경기부터 부상당하는 선수가 나오고 있기도 하다. 두산의 정수빈이 수비중 부상으로 3개월, KIA의 이성우가 부상을 입고 정밀진단을 기다리고 있다. KIA 용병 로드리게스도 부상으로 중도퇴출. 시범경기 최종 순위는 1위 롯데 : 10승 2패 0.833 2위 삼성 : 8승 5패 0.615 3위 KIA : 6승 6패 0.500 4위 두산 : 6승 7패 0.462 5위 SK : 5승 6패 0.455 6위 넥센 : 5승 7패 0.417 7위 LG : 4승 7패 0.364 8위 한화 : 3승 7패 0.300 로, 롯데가 시범경기 2연패를 달성하였다. == 개막전 == 잠실 : 두산 히메네즈 vs KIA 로페즈 문학 : SK 카도쿠라 vs 한화 카페얀 대구 : 삼성 윤성환 vs LG 곤잘레스 사직 : 롯데 사도스키 vs 넥센 금민철 개막 시구자는 잠실 [[이상화(스피드 스케이팅)|이상화]] (밴쿠버 동계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메달리스트)[* 이상화는 [[한국프로야구/2014년|4년 후]] 소치 동계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메달리스트로 다시 두산 개막전 시구를 맡는다.] 문학 [[모태범]]-[[이승훈(스피드 스케이팅)|이승훈]] (밴쿠버 동계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메달리스트) 대구 김하나 (전국체전 최우수선수, 여자 단거리 육상 4관왕) 사직 [[현아]] (포미닛)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 직후라서 세 메달리스트가 모두 시구자가 되었다. ~~근데 SK와 모태범 이승훈은 무슨 상관이 있지?~~[* 참고로 이상화와 두산은 상관 '''있다.''' 이상화 선수가 두산 팬이라고 한다.] == 중계 방송 == [[Xports]]가 지난해 말 폐국하면서 [[MBC QueeN|MBC LIFE]]가 새로 중계방송에 합류했다. 기존의 [[MBC ESPN]], [[KBS N 스포츠]], [[SBS 스포츠]]는 그대로 유지되었다. 추가로 [[IPTV]] 채널 두 군데에서도 중계를 했다. === 정규시즌 중 지상파 중계 경기 === * 3월 * 3월 27일 (토, 개막전) | 잠실 - KIA VS 두산 ([[MBC]]) * 3월 28일 (일) | 잠실 - KIA VS 두산 ([[KBS 1TV|KBS1]]) * 4월 * 4월 3일 (토) | 광주 - 롯데 VS KIA([[SBS]]) * 4월 4일 (일) | 문학 - 두산 VS SK([[KBS 2TV|KBS2]]) * 5월 * 5월 2일 (일) | 사직 - KIA VS 롯데 ([[MBC]]) * 5월 9일 (일) | 잠실 - KIA VS LG ([[MBC]]) == 신인드래프트 == [[한국프로야구/2011년/신인드래프트]] == 정규시즌 최종순위 == || '''{{{#white 순위}}}''' || '''{{{#white 팀}}}''' || '''{{{#white 경기수}}}''' || '''{{{#white 승}}}''' || '''{{{#white 무}}}''' || '''{{{#white 패}}}''' || '''{{{#white 게임차}}}''' || '''{{{#white 승률}}}''' || || 1 || [[SK 와이번스]] || 133 || 84 || 2 || 47 || 0.0 || 0.632 || || 2 || [[삼성 라이온즈]] || 133 || 79 || 2 || 52 || 5.0 || 0.594 || || 3 || [[두산 베어스]] || 133 || 73 || 3 || 57 || 11.0 || 0.549 || || 4 || [[롯데 자이언츠]] || 133 || 69 || 3 || 61 || 15.0 || 0.519 || || 5 || [[KIA 타이거즈]] || 133 || 59 || 0 || 74 || 25.0 || 0.444 || || 6 || [[LG 트윈스]] || 133 || 57 || 5 || 71 || 27.0 || 0.429 || || 7 || [[넥센 히어로즈]] || 133 || 52 || 3 || 78 || 32.0 || 0.391 || || 8 || [[한화 이글스]] || 133 || 49 || 2 || 82 || 35.0 || 0.368 || 그야말로 올라갈 팀만 올라갔던 밋밋하고 김이 빠졌던 시즌. 아마 프로야구 역사상 가장 이변이 적었던 시즌 중 하나로 손에 꼽을 듯. SK가 이번에도 무난하게 정규시즌에 우승했다. 삼성이 2위에 오른 점이 '''당시로선''' 특이사항이였고 두산, 롯데는 각각 2년 연속 3,4위를 기록했다. 한편 전년도 우승팀 KIA는 [[잠실 KIA팬의 난|16연패]]로 폭망. ~~하지만 SK의 독주가 이듬해부터 깨질줄은 누가 알았을까?~~ 그리고 동군 팀들은 잘 나간 반면 서군 팀들은 죽을 쑨 형세가 두드러졌다. ~~한반도도 동고서저 KBO도 동고서저~~ == [[한국프로야구/2010년 포스트시즌|포스트시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한국프로야구/2010년 포스트시즌)] == 구단별 시즌 기록 == [include(틀:한국프로야구 구단별 2010 시즌)] [각주] [[분류:한국프로야구/201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