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대외관계)] [include(틀:아프가니스탄의 대외관계)] || [[대한민국|{{{#!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100%]]}}}]] || [[아프가니스탄|{{{#!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width=100%]]}}}]] || || '''{{{+1 [[대한민국|{{{#fff 대한민국}}}]]}}}'''[br]''{{{#fff 大韓民國}}}''[br]''{{{#fff Republic of Korea}}}''[br]''{{{#fff د کوریا جمهوریت}}}'' || '''{{{+1 [[아프가니스탄|{{{#fff,#000 아프가니스탄}}}]]}}}'''[br]''{{{#fff,#000 د افغانستان اسلامي امارت}}}''[br]''{{{#fff,#000 Islamic Emirate of Afghanistan}}}''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과 [[아프가니스탄]]의 관계. 2023년 현재 대한민국 정부는 공식적으로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을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의 후계 국가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탈레반]]이 [[2021년 아프가니스탄 탈레반 공세|아프가니스탄을 불법점령을 해서]] 자동으로 외교관계가 단교되었다. == 역사적 관계 == === 20세기 이전 === 신라의 승려 [[혜초]]가 아프가니스탄 일대를 비롯한 중앙아시아와 남아시아의 여러 지역을 탐사한 이후 현지상황을 담은 기행록인 [[왕오천축국전]]을 남긴 바 있다. 왕오천축국전은 고대 말 아프가니스탄의 역사를 재구성하고 분석하는데 귀중한 1차사료로 학술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혜초 전후로 상당수의 신라인 승려들이 아프가니스탄을 답사한 것으로 보이지만 기행록이 남아있거나 발굴된 경우는 오직 혜초의 왕오천축국전이 유일하다고 한다.[[http://www.beopbo.com/news/articleView.html?idxno=97945|#]]] === 20세기 === 양국은 [[1973년]]에 처음 수교했으나[* [[북한]]과는 [[1978년]]에 수교했다.] 5년 만에 [[1978년]] 아프가니스탄에 사회주의 성향의 인민민주당이 쿠데타를 일으켜 사회주의 정부가 수립되면서 그 해 단교했다.[* [[1988년 서울 올림픽]] 때는 자국 선수단을 공식파견했다.] 90년대 초에 아프간의 공산주의 정권이 붕괴되었지만, 탈레반 정권이 들어서면서 수교가 없었다. === 21세기 === ==== 2000년대 ==== [[2002년]] [[탈레반]] 정권 붕괴 이후 과도정부가 수립되면서 2002년에 재수교했다. 아프가니스탄은 [[2002 부산 아시안 게임]]에도 참가했다. 대한민국은 한때 미국에게 전투병 파병요청도 받았으나 여러 문제로 어렵겠다며 흐지부지 거절 (!)하고 ~~[[이라크 전쟁]] 때의 파병논란과 달리 이건 아예 언론적으로 묻혀졌다~~ 2007년까지 공병, 의무부대인 다산부대, [[동의부대]]가 활동하다가 파병기한이 연장되지 않아 철수했는데 [[2010년]] [[오쉬노 부대]]가 재파병돼 [[파르완]]주에서 지방재건팀(PRT)으로 활동했으나 현재 철수했다. [[2007년]]에는 [[대한민국]]의 선교활동을 간 [[개신교]] 선교사들의 피랍 사건이 일어나기도 했다. 이전부터 [[아프가니스탄 평화 축제 사건]] 등을 일으키며 따가운 눈총을 받았던 대한민국 개신교계는 결국 [[샘물교회 선교단 아프가니스탄 피랍 사건]]을 일으키며 아프가니스탄과 한국 양쪽 모두에서 개신교에 대한 반감만을 키우고 말았다. 이 사건을 계기로 [[외교통상부]]가 [[여행금지|여행금지국가]]에 대한 규제를 강화했으니, 목숨이 아깝다면 가지 말자. ==== 2010년대 ==== [[2017년]] [[1월 17일]]에 [[우석대학교]]는 헤라트 대학교, 지브라엘 학교와 국제교류협약을 맺고 교환학생프로그램, 교원교류를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http://naver.me/GFpFxytJ|#]] [[2018년]] 9월에 아프간에서 한 소녀가 카불과 한국에 지부를 둔 국제 [[NGO]] 단체인 '영양과 교육인터내셔널'의 도움으로 한국에서 종양치료를 무사히 받았다. [[http://naver.me/5kLrSr59|#]] 아프가니스탄은 한국에선 여행금지국가로 지정돼 있지만, 한국정부에서 [[타지키스탄]]을 통해 타지키스탄과의 협력과 함께 아프간을 새 시장으로 삼아서 진출하려는 움직임이 있었다. [[http://naver.me/FslZBZBx|#]] [[2019년]] [[8월 9일]]에 아프간 여성부와 공무원 15명이 방한해서 경북 [[상주시]]의 봉강공동체를 방문해서 생산자회의의 경험을 배웠다. [[http://www.ikp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38090|#]] 그리고 [[한국국토정보공사]]는 [[8월 15일]]에 외교부 서남아 유력인사 초청사업으로 방한한 아프간 대표단과 서울시에서 토지 및 지적측정분야 협력관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http://naver.me/5ncmU2il|#]] 2019년 [[7월 17일]]에 카불에서 폭탄테러가 발생하자 한국정부는 강력히 규탄한다고 성명했다. [[http://naver.me/xqfJlc1j|#]] 김영채 아프간·파키스탄 특별대표가 2020년 7월 9일 아프가니스탄의 평화구축방안을 논의하는 화상회의에 참석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421&aid=0004747307|#]] ==== 2020년대 ==== 2020년 9월 20일, 한국 정부는 [[코로나19]]로 고통받고 있는 아프간에 9억 원 규모의 진단키트를 지원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1893353|#]] 한국정부는 2024년까지 아프간군 신탁기금에 계속 기여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1955975|#]] 11월 24일, 이자형 주아프간 대사가 아프간 정부 훈격 3등급의 권위 있는 훈장을 받았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2045384|#]] 2021년 1월 25일, 강경화 장관은 아프간의 모하메드 하니프 아트마 외교장관의 요청으로 전화통화를 하고 아프간 평화 프로세스 등을 논의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2162006|#]] 국제여성가족교류재단은 2021년 7월 5일부터 열흘간 아프가니스탄 공무원을 대상으로 성평등, 성주류화 역량강화 온라인 연수를 했다고 밝혔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2526674|#]] 그러나, 결국 탈레반 세력이 7월부터 아프간 영토의 대부분을 차지하자 현지 한국대사관에도 비상이 걸렸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4838365?sid=104|#]] 한국군에게 협력했던 아프간인들이 도움을 요청하고 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2592626|#]] 한국에 거주하는 한 아프간인이 뉴시스와의 인터뷰에서 걱정과 우려가 높지만, 심각한 상황이 아니라는 의견을 전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3&aid=0010668939|#]] 하지만 한국내 아프간인 유학생들을 중심으로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다. [[https://news.naver.com/main/ranking/read.naver?mode=LSD&mid=shm&sid1=001&oid=055&aid=0000915117&rankingType=RANKING|#]] 최태호 대사가 8월 18일에 기자들과 비대면으로 접촉해서 공관 철수 당시 급박했던 상황을 전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3&aid=0010670997|#]] 한국에 거주하는 20대 아프간인이 [[뉴스1]]과의 인터뷰에서 탈레반이 카불을 점령한 현실에 무력감을 내비쳤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421&aid=0005551641|#]] 국내의 시민단체들이 한국 정부에 아프가니스탄 난민보호대책을 마련할 것을 촉구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3&aid=0010674300|#]] 한국 외교부는 한국정부의 활동을 지원한 현지인들에 대한 국내이송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421&aid=0005557936|#]] 이후 [[미라클 작전|8월 26일에 한국직원의 아프간 철수를 도운 아프간인 390명이 '''한국에 입국했다.''']] [[https://youtu.be/ZFcNVJZ6RnU|#]] 탈레반이 한국정부 등으로부터 합법정부로 인정받고 싶다는 발언에 대해 외교부는 아프간 상황을 주시한다는 입장을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2615693|#]] 10월 13일, 최태호 주아프간 대사가 아프간 인도적 지원이 우선이라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2720287?sid=104|#]] 10월 28일, 카타르 도하에서 최태호 주아프간 대사가 13개국 대사 일행과 함께 아미르 칸 무타키 탈레반 외교부 장관 대행과 회동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366&aid=0000770074|#]] 신북부동맹의 대변인 겸 외무담당인 알리 나자리가 연합뉴스와의 화상인터뷰에서 한국 등 다른나라들이 탈레반을 인정해선 안 되고 1년이내에 탈레반 정권이 무너질 것이라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12774183|#]] 카타르 도하에서 한국과 탈레반의 두번째 고위급 회담이 진행됐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5/0000937139?sid=104|#]] 12월 6일, 외교부는 미얀마와 아프간에 대해 2022년 공적개발원조를 대폭 축소한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29&aid=0002709732|#]] 2022년 1월 26일, 한국에 정착한 아프간인들이 설날 체험 행사에 참여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2943567?sid=104|#]] 그리고 아프간인 특별기여자의 40%가 울산시에 새거처를 마련하고 정착을 위한 생활을 시작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2964531|#]] 2월 9일, 인천시교육청은 아프간인 특별기여자의 가정 출신 학생 25명에 대한 학력심의위원회를 열 예정이라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2970630|#]] 2월 26일, 울산경찰청은 아프간인 특별기여자들을 대상으로 한국 법규와 교통안전 수칙, 문화 등을 교육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3014437|#]] 아프간인 특별기여자 자녀들이 울산시 학교에 입학할려는 소식이 알려지자 한국인 학부모들이 시위를 진행했고 일부만 입학식에 참여한 사실이 알려졌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14/0001185156?sid=102|#]] 아프간인 특별기여자 자녀들의 입학식이 진행됐지만, 반발은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48/0000354386?sid=102|#]] 박범계 장관은 울산시에 정착한 아프간인 특별기여자 가정을 방문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3109683|#]] 한국에 정착한 아프간인 특별기여자 자녀들이 한국 학생들의 도움을 받고 있다.[[https://n.news.naver.com/article/469/0000671139|#]] 4월 1일, 외교부는 한국 정부가 탈레반의 여성 교육이 허용되어야 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098307?sid=100|#]] 8월 18일, 한국에 정착한 아프간인 특별기여자의 20%가 적응문제로 인해 직장을 그만둔 것으로 나타났다.[[https://news.v.daum.net/v/20220818030235220?x_trkm=t|#]] 탈레반 인사가 [[주 카타르 대한민국 대사관의 탈레반 인사 초청 논란|한국 대사관 행사에 나타난 사건]]이 일어났다. 외교부는 초청갱신이 안된 상태라는 해명했다.[[https://m.yna.co.kr/view/AKR20221020136200504|#]] == 문화 교류 == 특이하게도 [[신라]]의 문화가 아프가니스탄, 우즈베키스탄과 타지키스탄 등에 있었던 [[그리스-박트리아 왕국]]과 연관성이 있는데, [[스키타이]]의 [[실크로드]]에 의해 전해진 것으로 추측된다. 박트리아는 그리스인들의 [[식민지]]였기 때문에 박트리아인들은 지금의 아프가니스탄이나 우즈베키스탄인들과 전혀 아무런 혈연관계가 거의 없다.[* 하지만, 아예 없다고는 할 수는 없는 것이 아프가니스탄에 거주하는 현재 파슈툰족이나 타지크인, 누리스탄인 같은 이란계 종족들은 중앙아시아에서 남아시아(인도)로 넘어가던 고대 [[아리아인]]의 후손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즉 아프가니스탄에 박트리아 유물이 발견된 거지, 지금의 아프가니스탄과 관련성이 거의 없다. 1세기에 만들어진 박트리아 왕관은 당시 로마 시대의 금 세공법이 실크로드로 스키타이인들에 의해 전해졌고 5~6세기에 만들어진 신라 [[금관]]과 장식이나 제조법이 거의 유사하다. 많은 수는 아니지만 주로 [[취업]]/[[유학]] 목적으로 한국에 체류하는 아프간인들이 좀 있다. 아프가니스탄 출신의 여학생들은 한국 내에서도 같은 아프간 남학생들과의 충돌을 우려해 일부러 여대를 선택하는 비율이 높다. 그리고 [[난민]] 신청을 하며 인도적 체류허가를 받아서 한국에 사는 사람들도 극소수지만 존재한다.[* 한국에 거주하는 [[비다 모하마드]]도 아프간 출신이지만, 현재 국적은 [[미국]]이다.] 또한 아프간 여성들 사이에서 [[태권도]]와 [[주짓수]] 등 자기 방어 스포츠가 각광을 받고 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469&aid=0000519312|#]] 아프간의 [[공용어]]인 [[파슈토어]]와 [[다리어]]는 한국에서 [[특수외국어]]로 지정되었다. == 대사관 == 양국 모두 대사관을 두고 있다. 아프간은 2007년 이후에 여행금지국가가 되었지만, [[카불]]에는 [[주 아프가니스탄 대한민국 대사관]]이 존재했다. 아프간은 서울시에 주한 아프간 대사관을 두고 있다. 하지만 2021년 8월 15일부로 아프간이 탈레반에 의해 정복당하고 카불까지 함락당하면서 한국정부에선 대사관 철수를 검토하고 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2600811|#]] 8월 17일, 대사를 포함한 공관원들과 교민들이 모두 제3국으로 철수했다. 대사관은 철수 후 주카타르 대한민국 대사관에 임시공관을 만들어 임시운영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 관련 기사 ==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8/0002557280?sid=110|[코즈모폴리턴] 아프간에서 눈을 돌릴 수 없는 이유]] - 한겨레 == 관련 문서 == * [[대한민국/외교]] * [[아프가니스탄/외교]] * [[아프간 재건지원단]] * [[주 아프가니스탄 대한민국 대사관]] * [[2021년 아프가니스탄 탈레반 공세]] * [[주 카타르 대한민국 대사관의 탈레반 인사 초청 논란]]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동아시아 국가]]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중앙아시아 국가]]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남아시아 국가]]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아프가니스탄/외교, version=26, paragraph=17)] [[분류:한국-아프가니스탄 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