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SSG 랜더스/간략(투수))] ||
'''{{{#ffffff 한두솔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 [[kt wiz|{{{#ffffff kt wiz}}}]] 등번호 92번}}}''' || || [[이재근(야구)|이재근]][br](2015) || {{{+1 →}}} || '''한두솔[br](2018)''' || {{{+1 →}}} || [[이창엽(야구선수)|이창엽]][br](2019) || ||<-5> '''{{{#ffffff [[SSG 랜더스|{{{#ffffff SSG 랜더스}}}]] 등번호 06번}}}''' || || [[김표승]][br](2020) || {{{+1 →}}} || '''한두솔[br](2021)''' || {{{+1 →}}} || [[서상준]][br](2022) || ||<-5> '''{{{#fff [[SSG 랜더스|{{{#ffffff SSG 랜더스}}}]] 등번호 34번}}}''' || || [[안상현(야구선수)|안상현]][br](2021.7.7.~2021) || {{{+1 →}}} || '''한두솔[br](2022~)''' || {{{+1 →}}} || 현역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한두솔2023.png|width=100%]]}}} || ||<-2> '''SSG 랜더스 No.34''' || ||<-2> '''{{{+2 한두솔}}}[br]韓두솔 | Han Doosol'''[* 순우리말 이름이다. [[http://lions1985.blog122.fc2.com/blog-entry-1406.html|출처]]] || ||<|2> '''출생''' ||[[1997년]] [[1월 15일]] ([age(1997-01-15)]세) || ||[[광주광역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광주수창초등학교|광주수창초]] - [[광주진흥중학교|광주진흥중]] - [[광주제일고등학교 야구부|광주제일고]] - 리세이샤의료스포츠전문학교 || || '''신체''' ||179cm, 85kg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좌투좌타]] || || '''프로입단''' ||2018년 [[육성선수]] ([[kt wiz|kt]]) || || '''소속팀''' ||[[kt wiz]] (2018)[br][[SSG 랜더스]] (2021~) || || '''병역''' ||[[현역병|현역]] (2019~2021) || || '''연봉''' ||3,100만원 (3.3%↑, 2023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SSG 랜더스]] 소속 좌완 투수.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시절 === 3학년이었던 2014년 광주일고 시절[* 빠른 97로 [[김택형]]을 비롯한 1996년생 선수들과 동기이다. 광주일고 출신 팀동료 [[최지훈]]과는 1년 선후배 관계.], 고교야구 주말리그와 대통령배, 대한야구협회장기, 전국체전 등에서 16경기에 등판해 80이닝을 던졌으며 7승 3패 평균자책점 2.25의 성적을 거두었고, U-18 야구 국가대표팀에 선발될 정도로 포텐셜이 있는 투수였으나 [[한국프로야구/2015년/신인드래프트|2015년 KBO 신인드래프트]]에서 지명을 받지 못하자[* 청소년 대표 선수 중 유일한 미지명자였다.], 일본의 사회인 야구 팀 중 하나인 '리세이샤 의료 스포츠 전문학교'에 입단했다.[* 일본 전문학교는 보통 학생들에게는 전문대처럼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대학 대신 가는 곳이다. 그러나 전문학교 야구부는 대학야구가 아닌 사회인야구로 분류된다.] 야구 명문고 출신에 청소년 국대까지 다녀온 투수가 대학 진학을 하지 않고 일본 사회인 야구 팀에 입단한 것은 꽤나 특이한 경우라고 볼 수 있으며, 심지어 당시 한두솔에게 스카웃 제의를 한 대학교가 여럿 있던 상황에서 내린 결정이었다고 한다. 이는 KBO 미지명에 실망한 선수 측이 [[http://www.hsbaseball.kr/board/bbs_news_read.php?menu_idxno=1&idxno=2147&search_item=&search_word=&page=5|일본 프로야구 진출을 위해]] 과감하게 선택한 길이었다고. 하지만 일본 프로야구 진출이 어렵다고 생각했는지 2018년 드래프트에 참여하였다. 그리고 또 지명받지 못했다. 스카우터들의 평가는 일본으로 가던 시절과 별반 차이가 없었다고. === [[kt wiz]] === 2018년, [[kt wiz]]에 육성선수로 입단하였고, 2018년 5월 2일 정식선수로 등록되었다. 그러나 퓨처스리그에서 45경기 4승 2패, 평균자책점 4.45을 기록한 것 외에는 별다른 활약을 보여주지 못하였고, 부상까지 겹쳐 1군에는 올라오지 못하며 그 해에 방출되었다. 이후 바로 군 복무를 하였다. === [[SSG 랜더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SG한두솔.jpg|width=100%]]}}} || 군 제대 이후 2021년 6월 [[SSG 랜더스]]의 입단 테스트에 합격하여 입단하였다. 2년이 넘는 실전 공백으로 인해 퓨처스리그에 합류할 예정이라고 한다. ==== 2021 시즌 ==== 6월 18일 [[고양 히어로즈]]를 상대로 이적 후 첫 등판에 나섰다. [[조병현]]의 뒤를 이어 두 번째 투수로 등판했는데, 아웃카운트를 하나도 잡지 못하고 [[박준태(1991)|박준태]]에게 3루타를 맞는 등 2볼넷 3실점(3자책점)을 기록하며 패전 투수가 되었다. 6월 26일 [[두산 베어스]]를 상대로 이 날 경기의 세 번째 투수로 등판했는데, 내야 땅볼로 아웃카운트 1개를 잡으며 첫 홀드를 기록했지만, 볼넷을 2개나 내주었고, 바뀐 투수 [[정영일(야구선수)|정영일]]이 실점을 하며 1실점까지 기록했다. 7월 7일 [[두산 베어스]]를 상대로 8회에 등판했고, 1이닝 동안 1볼넷, 1삼진을 잡아내고 [[강지광]]과 교체되었다. 7월 9일 [[LG 트윈스]]전에서 4회에 등판했고, 1이닝 동안 28개를 던지면서 3사사구 1탈삼진 2실점(2자책점)을 기록하며 패전투수가 되었다. 8월 11일에는 [[삼성 라이온즈]]와의 경기에 출전했고, 8회말 5번째 투수로 등판하여 1이닝 4피안타 2실점(2자책점)을 기록했다. 1군 엔트리에는 최종적으로 들지는 못했지만, 퓨처스리그에서 15경기 18⅓이닝 1승 2패 2홀드 ERA 6.35를 기록하며 2021 시즌을 마쳤다. ==== 2022 시즌 ==== 3월 29일 광주에서 열린 [[KIA 타이거즈]]와의 시범경기에 5회말 등판하여 1이닝 무실점을 기록했다. 육성선수 신분인지라 5월 이후로 정식선수 등록이 가능하다. 현재 1군에 [[김택형]] 말고는 마땅한 좌완 불펜이 없어서[* [[김태훈(1990)|김태훈]]은 삽질하다 강화행을 통보받았고, [[고효준]]도 1군 붙박이는 아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선발 자원인 [[오원석]]을 불펜으로 보내야 하는거 아니냐는 말까지도 나오는 중이다.], 퓨처스에서 준비를 마치면 곧바로 정식 선수 전환이 될 것으로 보인다. 5월 3일 정식선수로 전환되어 프로 데뷔 이후 처음으로 1군에 콜업되었다. 5월 6일 키움전에서 8회말에 등판해 1이닝을 퍼펙트로 막으며 인상적인 데뷔전을 치렀다. 5월 12일 삼성전에서도 팀이 4:2로 지고 있는 8회말에 등판하여 1이닝을 퍼펙트로 막았다. 5월 17일 두산전 9:5로 앞선 8회말 등판했으나, 1피안타 1사사구 2실점(2자책점)을 내주고 [[윤태현]]과 교체되었다. 5월 22일 1군 엔트리에서 말소되었다. 6월 3일 1군 엔트리에 등록되었다. 1군 엔트리에 복귀하자마자 LG전에 팀이 팀이 7:0으로 지고 있던 6회말에 등판하여 1이닝을 삼자범퇴로 막았다. 6월 8일 NC전, 동점 상황인 12회말에 등판해 1이닝 동안 무피안타 1볼넷 무실점을 기록, 경기를 무승부로 마무리했다. 6월 21일 두산전, 팀이 5:2로 지고 있는 6회초 무사 만루 상황에 등판하여 [[김주온]]의 책임주자를 모두 불러들이는 것을 포함해 1이닝 5피안타 2사사구 6실점을 내주는 최악의 피칭을 보여주었다. 6월 22일 1군 엔트리에서 말소되었다. ==== 2023 시즌 ==== 4월 12일 전날 왼쪽 어깨 염증으로 1군 말소된 [[김광현]] 대신 1군 등록되었다. 4월 16일 NC전, 9:5로 지고 있는 9회초에 등판하여 1이닝 2K 2사사구 1피안타 1실점을 기록했다. 4월 17일 1군 엔트리에서 말소되었다. == 플레이 스타일 == SSG 입단 당시 보도된 자료에 따르면, 140km/h 중반대의 직구 스피드가 우수하고 슬라이더의 구속 및 제구가 양호하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실제로도 145km/h 전후의 직구와 135km/h 전후의 슬라이더를 던진다. 여기에 커브, 체인지업 등 변화구로 카운트를 잡을 수 있어 활용도가 높다는 평가를 받았다. 다만 제구가 들쑥날쑥하고 구위가 크게 좋은 편도 아니어서 더욱 다듬어야할 필요가 있다. == 연도별 주요 성적 == ||<-14> {{{#ffffff 역대 기록}}} || || 연도 || 소속팀 || 경기 || 이닝 || ERA || 승 || 패 || 세이브 || 홀드 || 피안타 || 피홈런 || 사사구 || 탈삼진 || WHIP || || 2018 || [[kt wiz|kt]] ||<-12> 1군 기록 없음 || || 연도 || 소속팀 || 경기 || 이닝 || ERA || 승 || 패 || 세이브 || 홀드 || 피안타 || 피홈런 || 사사구 || 탈삼진 || WHIP || || 2021 ||<|3> [[SSG 랜더스|SSG]] ||<-12> 1군 기록 없음 || || 2022 || 8 || 5⅓ || 16.88 || 0 || 0 || 0 || 0 || 10 || 0 || 4 || 1 || 2.63 || || 2023 || 1 || 1 || 9.00 || 0 || 0 || 0 || 0 || 1 || 0 || 2 || 2 || 2.00 || ||<-2> '''[[KBO 리그]] 통산[br](2시즌)''' || 9 || 6⅓ || 15.63 || 0 || 0 || 0 || 0 || 11 || 0 || 6 || 3 || 2.53 || == 여담 == * 2022 시즌 한정으로 모자를 힙합 모자처럼 쓰고 경기에 출장하다가 영 좋지 않은 성적을 보였다. 이 때문에 다시 평범하게 모자를 고쳐 쓰는 듯하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1997년 출생]][[분류:2022년 데뷔]][[분류:광주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광주수창초등학교 출신]][[분류:광주제일고등학교 출신]][[분류:좌완 투수]][[분류:좌투좌타]][[분류:kt wiz/은퇴, 이적]][[분류:SSG 랜더스/현역]][[분류:순우리말 이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