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하위 문서, top1=대한민국의 보수주의)] [include(틀:보수주의)] [목차] == 개요 == [[한반도]] 전역에서의 [[보수주의]], 즉 Conservatism in Korea에 대해 다룬다. [[북한]]에는 (실질적인 여부와 별개로) 공식적으로 보수[[우파]] [[정당]]이 없으며,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의 경우 [[대한민국의 보수주의]] 문서가 따로 있어서, 이 문서는 [[구한말]]과 [[일제강점기|일제시대]]가 더 중점이 될 수 있다. == 역사 == === [[대한제국]] 시기 === [[대한민국]]의 보수주의 이념이 시작된 기원에 대해서는 이견이 분분하지만 가장 오래된 기원은 구한말 [[개화파]]가 서구의 보수주의 개념을 소개하면서 시작되었다고 본다. 다만 당시 개화파의 라이벌이었던 수구당을 공격하기 위해서 도입한 개념이었을 뿐 대한민국의 보수주의 이념 자체와는 상관이 없다. 오히려 개화파가 도입했던 [[자유주의]], [[민주주의]], [[공화주의]]는 오히려 (최소한 당대의) [[좌파]] 이념이였다. 오히려 [[수구당]]이 [[대한제국]]의 보수주의에 가깝다. 이후에는 (고전적)[[고전적 자유주의|자유주의]]/[[좌파]] 성향의 [[독립협회]]에 맞서 [[고종]]을 기반으로 한 사회적 보수주의 세력을 대변하던 '''[[황국협회]]'''나 '''황제파'''를 비롯한 '''구한말 [[왕당파]]'''도 (고전적)[[전통적 보수주의|보수주의]]/[[우파]] 세력이였다고 볼 수 있다. === [[일제강점기]] 시기 === 민족주의와 공화주의가 일제강점기 1919년 3.1 운동 이후 폭발적으로 범우파 계열 독립운동가들을 장악했고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탄생시켰다. 소련에서 수입된 [[사회주의]] 이념들이 도입되기 전까지 유일한 이념이 되었다가 우익의 이념으로 정착되었다. 대표적인 정당이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전 정당|한국국민당]], [[한국독립당]], [[통일한국당]]이다. === [[8.15 광복|광복]] 이후 [[이북]] 지역 === [[조선민주당]]이라는 기독교에 기반한 보수주의 정당이 있었으나 [[조만식]]이 퇴출하고 [[최용건]]이 당권을 장악한 이후에는 좌파 정당으로 변모한다. 물론 사실상 조선로동당의 위성정당에 불과하다. 조선로동당 일당독재로 인해 북한에 공식적으로 보수주의라고 볼만한 운동은 일소되었으나, 북한의 백두혈통 운운 개인숭배 등 봉건적 요소는 [[전통적 보수주의|고전적 의미의 보수주의]][* 고전적 보수주의는 전통적 보수주의와 같거나 비슷한 의미이다. 여기에는 소위 '만들어진 전통'도 포함될 수 있다.]와 가깝거나, [[유사 파시즘|파시즘과 유사]]하다는 대외적 평가도 있다. 사실 북한이 아닌 최우방국인 중국의 신권위주의도 [[중국의 보수주의]](Neoauthoritarianism)의 일종으로 평가받기도 한다. 한편, [[자유조선]]의 경우 아직까진 [[한반도의 자유주의|자유주의]]에 가깝고, 딱히 보수주의적[* 기독교 등 종교적 성격이나 유교 문화 보존같은 전통적 보수주의 성향 등이 없고 북한의 자유민주화에 힘쓰고 있다. 한국의 보수주의와도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 성격을 강하게 드러내지는 않는 듯하다. == 조직, 정당 == === [[조선]] 말 ~ 대한제국 시기 === * [[수구당]] * 친청파 * [[친러|친러파]] * [[위정척사파]] * [[황국협회]] ===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전 정당|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전]] === * [[한국독립당]] * [[한국국민당]] * [[대동청년단]] * [[조선민족청년단]] * [[독립촉성중앙협의회]] * [[백의사]] * [[조선민주당]] == 같이 보기 == * [[유교]] * [[성리학]] * [[유림]] * [[대한제국/황실]] * [[한반도의 자유주의]] * [[한반도의 사회주의]] * [[대한민국의 보수주의]] == 둘러보기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대한민국의 보수주의, version=487)] [[분류:동아시아의 정치]][[분류:아시아의 사상]][[분류:보수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