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오슨 웰스 감독 장편 연출 작품)]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 ||<-2>
{{{#F5A826 '''{{{+1 한밤의 차임벨[* '심야의 종소리'나 '팔스타프'로 불리기도 한다.]}}}''' (1965)[br]Campanadas a medianoche[* 스페인 개봉명] / Chimes at Midnight[* 미국 개봉명] / Falstaff[* 영국 및 세계 개봉명]}}}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965 한밤의 차임벨 스위스 포스터.jpg|width=100%]]}}} || || '''장르''' ||[[전쟁]], [[역사]], [[드라마]], [[코미디]] || || '''감독''' ||<|3>[[오슨 웰스]] || || '''각본''' || || '''의상''' || || '''원작''' ||[[윌리엄 셰익스피어]] 《헨리 4세》, 《리처드 2세》, 《헨리 5세》, 《윈저의 즐거운 아낙네들》[br]라파엘 홀린셰드 《홀린셰드의 연대기》 || || '''제작''' ||해리 샐츠먼, 앙헬 에스콜라노, 에밀리아노 피에드라 || || '''주연''' ||[[오슨 웰스]], [[잔느 모로]] || || '''촬영''' ||에드몬드 리차드 || || '''편집''' ||엘레나 하우만드레우, 프레데릭 뮐러, 피터 파라셀레스 || || '''미술''' ||마리아노 에르도이사 || || '''음악''' ||안젤로 프란체스코 라박니노 || || '''제작사'''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0]] 인터내셔널 필름스[br][[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20]] 알파인 필름스 || || '''배급사'''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0]] 프레피 필름스[br][[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CFDC || || '''개봉일'''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0]] 1965년 12월 23일[br][[파일:칸 영화제 로고.svg|width=20]] 1966년 5월 8일[br][[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1966년 7월 20일[br][[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20]] 1966년 11월 17일 || || '''화면비''' ||1.66 : 1 || || '''상영 시간''' ||1시간 59분 || || '''제작비''' ||'''80만 달러''' || || '''북미 박스오피스''' ||'''$126,724''' || || '''상영 등급''' ||'''[[15세 이용가|[[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width=30]] {{{#373a3c,#dddddd 15세 이상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오슨 웰스]] 감독 및 각본, [[오슨 웰스]], [[잔느 모로]] 주연의 스페인, 스위스 합작 영화.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곡 《헨리 4세》, 《리처드 2세》, 《헨리 5세》, 《윈저의 즐거운 아낙네들》에 등장하는 가상의 캐릭터 '팔스타프'를 가져와 그를 중심으로 해당 내용들을 각색 및 재창조하고, 그 과정에서 영국의 연대기 작가 라파엘 홀린셰드가 저술한 '홀린셰드의 연대기' 속 해설을 더해 웰스가 써낸 창작 이야기이다. 제19회 [[칸 영화제]] 경쟁 부문 초청작.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z6_yO1HqP_w)]}}}|| || {{{#F5A826,#dddddd '''▲ 예고편'''}}} || == 시놉시스 == > 15세기 영국, 리처드 2세가 죽고 헨리 4세가 왕위에 오르지만 왕권은 불안하고 > 헨리는 건달 팔스타프와 어울리기에 바빠 정치엔 관심이 없다. > 헨리 4세가 반란을 진압하고 사망에 이르자, 헨리 왕자가 헨리 5세에 취임한다. > 팔스타프는 출세할 기회라고 생각하여 달려오지만 왕은 냉정하게 그를 외면하는데... == 등장인물 == * [[오슨 웰스]] - 팔스타프 역 * [[잔느 모로]] - 돌 티어쉬트 역 * 마거릿 러더퍼드 - 미스트리스 역 * [[존 길구드]] - [[헨리 4세]] 역 * 마리나 블라디 - 케이트 페르시 역 * 발테르 키아리 - 미스터 사일런스 역 * 마이클 엘드리지 - 피스톨 역 == 줄거리 ==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chimes-at-midnight, critic=94, user=8.2)]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chimes_at_midnight_1965, tomato=96, popcorn=85)] [include(틀:평가/IMDb, code=tt0059012, user=7.7)]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chimes-at-midnight, user=4.0)]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영화코드, user=X.X)]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3912, presse=X.X, spectateurs=3.5)] [include(틀:평가/mymovies.it, code=falstaff, MYMOVIES=3.00, CRITICA=X.XX, PUBBLICO=3.00)]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3464, user=3.8)] [include(틀:평가/Filmarks, code=9519, user=3.7)]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영화코드, user=X.X)]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영화코드, user=X.X)] [include(틀:평가/야후! 키모, code=영화코드, user=X.X)] [include(틀:평가/왓챠, code=mO8g8XW, user=4.0)]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14327, light=XX.XX)]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영화코드, expert=X.XX, audience=X.XX, user=X.XX)]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29664, user=X.X)] [include(틀:평가/CGV, code=영화코드, egg=XX)] [include(틀:평가/롯데시네마, code=영화코드, user=X.X)] [include(틀:평가/메가박스, code=영화코드, user=X.X)] [include(틀:평가/MRQE, code=campanadas-a-medianoche-m100055512, user=96)] [include(틀:평가/시네마스코어, score=X±)] [include(틀:평가/TMDB, code=986-campanadas-a-medianoche, user=72)] [include(틀:평가/무비파일럿, code=falstaff-2, user=7.3)] [include(틀:평가/RogerEbert.com, code=falstaff---chimes-at-midnight-1968, user=4.0)] [include(틀:평가/MyDramaList, code=영화코드, user=X.X)] [include(틀:평가/Google Play 무비, code=영화코드, user=X.X)] [include(틀:평가/네이버 시리즈온, code=영화코드, user=X.XX)] > A classic story adapted by a filmmaker near his creative peak, Chimes at Midnight unites Welles and Shakespeare - and powerfully distills the best of both. >---- > '''한 영화 감독이 자신의 창의적 재능이 정점에 가까워진 순간에 만든 고전 각색물, <한밤의 차임벨>은 [[오슨 웰스]]와 [[셰익스피어]]라는 두 창작자의 요소를 결합하여 두 사람의 장점을 모두 강력하게 압축시켰다.''' > - [[로튼 토마토]] 평론가 총평 == 흥행 == == 수상 및 후보 이력 == * 제19회 [[칸 영화제]] 경쟁 부문 초청 * 제21회 [[BAFTA|영국 아카데미 시상식]] 외국 남우주연상 ([[오슨 웰스]]) 후보 == 기타 == * 원래 웰스는 셰익스피어의 4대 비극인 [[햄릿]], [[리어왕]], [[오셀로]], [[맥베스]]를 전부 영화화 하려는 야심이 있었고 실제로 두 편은 영화화 하였으나, 두 편을 영화화 하는 과정에서 자금 등 여러가지 문제로 고충을 겪은 뒤 이 작품을 마지막으로 셰익스피어 작품 영화화는 손을 떼게 된다. == 관련 문서 == ## 개별 문서가 존재하는 관련 문서를 기재하는 문단입니다. * {{{[[관련 문서1]]}}} * {{{[[관련 문서2]]}}} == 외부 링크 == ## 해당 작품과 관련 있는 외부 사이트의 링크를 기재하는 문단입니다. ## 아래 예시에 삽입된 주소와 문구를 연결을 원하는 사이트로 교체합니다. * [[https://namu.wiki/w/%EB%82%98%EB%AC%B4%EC%9C%84%ED%82%A4:%EB%8C%80%EB%AC%B8|사이트 이름1]] - (설명) * [[https://namu.wiki/w/%EB%82%98%EB%AC%B4%EC%9C%84%ED%82%A4:%EB%8C%80%EB%AC%B8|사이트 이름2]] - (설명) == 둘러보기 == ## 해당 작품과 관련된 둘러보기 틀을 배치하는 문단입니다. ## 최상단 둘러보기 틀은 최대 2개까지만 배치할 수 있으니 더 많은 둘러보기 틀을 넣길 원하면 본 문단에 배치하세요. [[분류:스페인의 전쟁 영화]][[분류:스위스의 전쟁 영화]][[분류:스페인의 역사 영화]][[분류:스위스의 역사 영화]][[분류:스페인의 드라마 영화]][[분류:스위스의 드라마 영화]][[분류:스페인의 코미디 영화]][[분류:스위스의 코미디 영화]][[분류:1965년 영화]][[분류:희곡 원작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