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현대전/한국 함선)] [include(틀:대한민국 해군이 운용 중인 전투지원함)] ||[[파일:war-20200930-123551-000-resize.jpg|width=100%]]|| || 한산도함(ATH 81) || [목차] == 개요 == '''[[한산도함]]'''(ATH 81)은 길이 142m, '''경하 배수량 4,500톤'''급[* 참고로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의 경하 배수량이 4,400톤(만재 5,500~5,600톤)이다.]의 [[대한민국 해군]] 최초의 전용 훈련함(ATH: Auxiliary Training ship Helicopter)이다. 전용 훈련함이 없던 해군은 원양 항해훈련 등을 하려면 작전임무를 수행하는 전투함을 한시적으로 활용해왔다. 헬기 탑재가 가능한 한산도함은 순항·연안 훈련, 함정실습 지원 및 병력 수송, 의료 지원, 구호활동 지원 등 다목적으로 운용될 예정이다. 함장으로는 해군 함정(항해) 중령이 보임된다.[* 대한민국 해군에서 2급함(SS-I/FFG/FF/PCC/LST/MLS/ATH/ATS/ASR)은 중령이, 1급함(SS-II/DDG/DDH/LPH/MLS-II/AOE)은 대령이 함장을 맡는다.] 한산도함은 120명의 승조원 외에 300여 명의 교육생이 생활할 수 있는 격실과 더불어, 교육‧훈련이 가능하도록 대규모 강의실 및 실습공간을 갖췄다. 강의실과 실습실은 유사시 수술실·진료실·병실로 전환 사용이 가능해 전상자 구조·치료함(CRTS: Casualty Receiving and Treatment Ship) 임무도 수행할 수 있다. 한산함은 [[2018년]] 11월 16일 인수평가·전력화 등을 거쳐 현대중공업 울산조선소에서 '''진수'''됐고, [[2020년]] 10월 22일 '''취역'''했다. [[2021년]] 4월 [[해군교육사령부|해군 교육사령부]]에 배치됐다. == 동급함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함종[br]선체번호''' || '''함명''' || '''기공''' || '''진수''' || '''인수''' || '''취역''' || '''건조사''' || '''비고''' || || ATH 81 || 한산도 || [[2018년]] [[3월]][* 2017년 8월 31일 착공] || [[2018년]] [[11월 16일]][[http://kookbang.dema.mil.kr/newsWeb/20181119/15/BBSMSTR_000000010024/view.do|#]] || [[2020년]] [[10월 21일]] || [[2020년]] [[10월 22일]][[https://www.yna.co.kr/view/MYH20201023003800641|#]] || [[현대중공업]] || - ||}}} *한산도함은 1977년 퇴역한 경비함인 한산(PCE 53)[* 동급함으로 명량함, 노량함, 당포함 등이 있다.]에 이어, [[임진왜란]] 3대 대첩 중 하나인 [[한산도 대첩]]에서 함명이 유래한 함정이다. 충무공 이순신이 한산도를 삼도수군통제영으로 삼아 조선 수군을 양성하고, 한산도 해전을 계기로 남해의 제해권을 장악한 점 등을 고려해 함명이 정해졌다.[[http://kookbang.dema.mil.kr/newsWeb/m/20181119/13/BBSMSTR_000000010024/view.do|#]][* [[한산도]]에는 [[이순신]] 제독을 기리는 제승당(制勝堂)이 있는데, 임진왜란 당시 첫 삼도수군통제영이 설치된 곳이다.] *소속은 [[해군교육사령부|교육사령부]] [[실습전대]]로, 첫 교육사 예속 함정이다.[[http://www.gn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272929|#]] * 2021년 6월 [[코로나바이러스-19]] 백신 접종을 위해 육지로 나가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전라남도]] 도서지역 주민들을 위한 '해상 순회 접종'을 지원했다.(아래 관련 영상 참조)[* 전라남도 도지사의 적극적인 요청이 있었다고 한다. 접종 백신은 [[Ad26.COV2-S|얀센 백신]]으로 2021년 6월 14일부터 6월 말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 사업 배경 == * 훈련함(ATX) 사업 추진 경과 - 2008년 5월: 중기전환 소요결정 - 2008년 9월: 사업추진기본전략 승인(제31회 방추위) - 2013년 9월 ~ 2015. 10월: 탐색개발 계약(현대중공업) - 2016년 6월 ~ 2020. 8월: 체계개발 계약(현대중공업) - 2017년 5월: 상세설계검토회의 - 2017년 7월: 생산준비검토회의 - 2018년 11월: 진수 - 2019년 2월 ~ 2020년 7월: 시험평가 - 2020년 10월: 함 인도 해군은 [[해군사관학교]] 생도들의 원양·연안 항해실습을 위한 전용 훈련함 건조를 요구해왔으나 재원 부족으로 성사 되지 못해, 전력(戰力) 공백에도 불구하고 [[충무공이순신급]], [[광개토대왕급]] 구축함, [[울산급 호위함]] 등을 차출해 매년 [[순항훈련]]을 실시해왔다.[* 장병들 교육·훈련을 위해서는 기뢰부설함인 [[원산급 기뢰부설함|원산함]], [[남포급 기뢰부설함|남포함]]이 평시에 훈련함 역할도 할 수 있도록 건조됐다. 또한 [[울산급 호위함]] 등 현역 함정들을 교육사 [[실습전대]]에 일정기간 배속시켜 실습함으로 운용했다.] 해군의 숙원인 훈련함 사업은 2008년 제31회 방위사업추진위원회 회의에서 승인됐다. 당초에는 2015년 전력화를 목표로 사관생도 및 [[해군사관후보생|사관후보생]]들의 함정기본훈련과 장비운용 숙달을 위한 4,500톤급 훈련함을 확보하려했으나,[[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2274570|#]] 재원 부족 등으로 사업 착수가 지연됐다. 이후 2013년 8월 [[현대중공업]]이 훈련함 탐색개발 우선협상 대상 업체로 선정됐고,[[http://www.korea.kr/news/pressReleaseView.do?newsId=155909995|#]] 2016년 6월 현대중공업과 약 2,600억 원에 체계개발[* 상세설계 및 선도함 건조, 시험평가, 함 인도까지의 과정] 계약을 체결했다. 해군은 훈련함 전력화를 통해 전력 공백을 방지하고, 훈련함을 사관생도 순항·연안훈련, 함정실습 지원 및 해난·재난사고 발생 시 구호활동 지원 등에 활용할 계획이다.[[http://www.korea.kr/news/pressReleaseView.do?newsId=156142672|#]] 한산도함은 2018년 11월 16일 현대중공업 울산조선소에서 진수됐고, [[2020년]] 10월 22일 취역했다. == 제원 및 특징 == ||<-5> '''{{{#FFFFFF 한산도함}}}''' || |||| '''함종''' ||<-3>훈련함(ATH: Auxiliary Training ship Helicopter) || ||<-2> '''건조 업체''' ||[[HD현대중공업]] || ||<|2> '''[[배수량]]''' || '''경하''' ||<-3>4,500톤 || || '''만재''' ||<-3>6,000톤 || |||| '''길이''' ||<-3>142m || |||| '''폭''' ||<-3>18m || |||| '''높이''' ||<-3>37m || |||| '''[[흘수선|흘수]]''' ||<-3>5m || |||| '''최대 속력''' ||<-3>24노트(43km/h) || |||| '''항속 거리''' ||<-3>7,000NM(12,000km)@18노트(33km/h) 순항시 || |||| '''승조원''' ||<-3>120여 명 || |||| '''수용 능력''' ||<-3>편승 인원 300여 명 || ||<|3> '''추진체계''' || '''방식''' ||<-3>[[선박/추진방식#s-3.1.1|CODOG]]|| || '''기관''' ||<-3>미상 || || '''추진''' ||<-3>프로펠러 샤프트 2기 || ||<-2> '''레이더''' ||<-3>탐색레이더, 대함레이더, 전자광학추적장비, 전술항공항법장비 || ||<-2> '''기만 장비''' ||<-3>대유도탄기만체계 || ||<|3> '''무장''' || '''함포''' ||<-3>[[현대위아]] [[오토멜라라 76mm 함포#s-7.3|KP-76L/62 76mm 62구경장 함포]] x1 || || '''CIWS''' ||<-3>[[노봉]] 40mm 기관포 x1 || || '''어뢰''' ||<-3>324mm KMk.32 3연장어뢰발사관 x2[br]* [[청상어 경어뢰]] 탑재 || ||<|2><-2> '''헬기 수용 능력''' ||<-3>비행갑판, 대형 헬리콥터 격납고 || ||상륙기동헬기 이·착함 가능, 해상작전헬기 2기 격납 가능 || ||<-2> '''단정''' ||<-3>양현: 인원이송 상륙주정(LCP) 2척[br]함미: [[고속단정]](RIB) 2척[* 비행갑판 하부 함미 도어를 통해 진/출입] || *한산도함은 승조원 120여 명과 실습생 300여 명을 수용할 수 있는 대형 함정으로, 최근 추세를 반영하여 스텔스 설계를 일부 적용하였다.[[http://panzercho.egloos.com/11277723|#]] *승조원이 함을 운용하는 공간과 교육, 실습공간이 분리돼 있어 기존 함정 실습훈련의 공간적 제한 요소가 해소됐다. *300여 명을 편승시킬 수 있는 인원 수용 능력도 갖췄고, 인원이송 상륙주정(LCP: Landing Craft Personnel)을 탑재해 유사시 병력 수송 임무 수행도 가능하다. === 교육·실습 지원 시설 === *이중함교를 갖추어 항해술, 갑판 운용술, 장비운용 숙달 등을 지원할 수 있게 설계되었다.[* 함교 뒤에 실습용 시뮬레이터 함교가 있다.] *함 운용 절차를 숙달하고 능력을 기를 수 있는 조함실습실, 전투 수행과 관련된 모의 콘솔과 훈련 프로그램이 설치된 전투지휘실습실 등 5개의 실습실이 마련돼 있다. 전투지휘실습실에는 위해 구축함, 호위함 등 해군이 운용 중인 함정의 전투체계 모의 프로그램이 설치돼 있다. *기관조종, 음탐, 전자전 실습실도 있어서 장비와 무기체계의 특성과 운용에 대한 실습 기회를 제공한다. *200명이 한곳에서 교육받을 수 있는 대형 강의실 등 4개의 강의실이 있다. === 의무 지원 시설 === *필요 시에는 전상자 구조·치료함(CRTS: Casualty Receiving and Treatment Ship) 임무를 수행하며, 중환자 처치를 위한 대수술실 1실을 포함한 수술실 3개실, 진료실과 병실을 갖추었다. 전체 의무구역 면적은 국내 최대 군함인 독도함의 1.8배에 달한다. 당연히 군의관, 의무부사관 등의 의무 인력도 승무원으로 승선한다. 평시에는 진료실·수술실은 강의실로, 60실 규모(중환자실, 일반병실 구분)의 병실은 실습생 침실로 사용할 예정이다. *음압 병실을 갖추고 있어 감염병에도 대응이 가능하다. *비행갑판이 있어 육지 병원에서 수술이 필요한 환자가 발생하면 신속히 이송시킬 수 있다. == 기타 == * 해군은 재난 구조, 해외 국민 보호, 비상시 전투 상황 투입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훈련함 운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최소한 1척의 추가 건조를 바라고 있으나, 예산 문제로 성사 여부는 불투명하다.[[https://www.sedaily.com/NewsVIew/1KYYAHVX4T|출처]] * 유사시에 [[병원선]]으로 전용 될수는 있지만 훈련함인 지금 상태로는 국제법상 보호를 받기 어렵다. 병원선은 하얗게 칠하고 군사적 목적으로 인식되지 않을 정도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는 [[제네바 협약]]과는 달리 함수에 큼지막한 76미리 주포와 함미에 40미리 부포를 달고 누가봐도 구축함 선형에 회색 위장도색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시에 병원선으로 사용된다면 주포를 탈거함과 동시에 도색도 하얀색으로 다시 칠해짐과 동시에 적십자 무늬를 세기는 등 개조가 가해질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병원선인 머시급의 경우에는 소총과 중기관총정도가 자체무장의 끝이다.] 또한 한반도 근처면 육지로 수송하는 일이 효율적이고 파병이라면 미군과 함께 행동해 필요도도 낮은 편이다. 하지만 한국에 병원선이라고는 낙도를 순방하며 건강검진과 왕진을 하는 참수리 고속정만한 관공선이 다였고 한국 해군 내에서도 이정도 의료지원 능력을 지닌 함은 [[독도급]] 밖에 없었기 때문에 도서지역 접종지원, 의료지원등에 나서는 등 의료지원 목적으로도 활약하고 있다. * 2022년 9월 1일, [[백패커]] 15회 방송의 의뢰 장소로 등장했다. 방송 허가를 받고 한산도함의 내부 시설이 다수 공개되었는데, 이는 예능 방송으로서는 최초의 사례다. * 2023년 해군사관학교 78기 생도들을 주축으로 구성된 순항훈련전단이 8월 28일부터 내년 1월 15일까지 13개국[* [[미국]], [[콜롬비아]], [[캐나다]], [[독일]], [[영국]], [[프랑스]], [[스페인]], [[이집트]], [[사우디아라비아]], [[인도]], [[방글라데시]], [[필리핀]], [[일본]]] 14개 항을[* [[하와이]]와 [[볼티모어]]를 방문하여 미국을 2번 방문하게 된다.] 방문하는 세계일주를 진행한다. 4500t급 훈련함 한산도함과 4200t급 군수지원함 [[화천함]]에 탑승해 지구 한 바퀴 반에 달하는 5만 4200㎞를 141일에 걸쳐 항해하는 일정이다. 계획 상으로는 [[파나마 운하]]와 [[수에즈 운하]]를 모두 통과하고 [[태평양]], [[대서양]], [[인도양]] 3개 대양을 통과하며, [[지중해]]와 [[호르무즈 해협]] 등 주요 해상 교통로를 통과하는 일정으로, 지난 3년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로 제한되었던 순항훈련에 대한 한을 풀겠다는 듯 [[대한민국 해군|해군]]이 의욕적으로 준비한 모습이 보인다. == 관련 영상 == [youtube(4RqHVSHky-Y)] [youtube(zvTV-u_jc0k)] [youtube(qWcJFOTGRHA)] [youtube(vB4nlzHPSzI)] [youtube(iSFdZAvznfI)] [youtube(G1pzP776Uxs)] [youtube(WnU4iNPIFGY)] [youtube(VDBSmldwbTM)] [youtube(xBANSrx7Ujg)] [[분류:대한민국 국군/군함]][[분류:해상 병기/현대전]] [[분류:훈련함]] [[분류:2018년 공개]][[분류:2020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