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제헌 국회의원/경상남도)]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3399 23%, #fff 23%, #fff 77%, #F9D537 77%)" '''{{{#003399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br]{{{#003399 {{{+1 한석범}}}[br]韓錫範}}}'''}}}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한석범.jpg |width=100%]]}}} || ||<|2> '''출생''' ||[[1897년]] [[8월 26일]] || ||[[경상남도]] [[동래군]] || || '''사망''' ||[[1956년]] [[7월 20일]](향년 58세) || || '''본관''' ||[[청주 한씨|청주]](淸州)[* 이양공파 29세 범(範) 항렬.[[http://bu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busan&dataType=99&contents_id=GC04200427|#]]]. ||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전 [[정치인]]이다. 본관은 [[청주 한씨|청주]](淸州). == 생애 == 1897년 8월 26일 [[경상남도]] [[동래군]](現 [[부산광역시]])에서 아버지 한경팔(韓敬八, 1856. 9. 8 ~ 1919. 3. 11)과 어머니 [[고성 이씨]](1867. 5. 15 ~ 1919. 3. 18)[* 이정동(李正東)의 딸이다.] 사이에서 4형제 중 막내 아들로 태어났다. 진주공립보통학교(現 진주초등학교)를 졸업하고 [[개성고등학교|부산공립상업학교]](現 [[개성고등학교]])에 입학했다가 3학년 때 중퇴하였다. 이후 1919년 [[3.1 운동]]에 참여했다. [[8.15 광복]] 후 [[우익]] 정치인으로 활동하여 부산서부치안대 대장, [[대한독립촉성국민회]] 부산지부 부위원장 및 경상남도지부 총무, [[한국민주당]] 경상남도당 부위원장, [[부산여자고등학교|부산공립여자중학교]] 후원회장 등을 지냈다.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국민주당]] 후보로 경상남도 부산시 병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국민당]] 후보로 [[경상남도]] 부산시 정 선거구에 출마하였다가 후보직을 사퇴하였다. [[6.25 전쟁]] 때 납북되었다. 다만 1956년 7월 20일에 [[북한]]에서 [[http://bu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busan&dataType=99&contents_id=GC04200427|별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제헌국회]] 활동 == * 1948년 9월 21일 양곡매입법안 제1독회를 이어서 하였다. == 선거 이력 == || 연도 || 선거종류 || 소속정당 || 득표수(득표율) || 당선여부 || 비고 || || 1948 || [[제헌 국회의원 선거]] (경남 부산시 병) || [include(틀:한국민주당)] || '''11,012표 (28.90%)''' || '''당선 (1위)''' || '''초선''' || || 1950 || [[제2대 국회의원 선거]] (경남 부산시 정) || [include(틀:민주국민당)] ||<-2> 후보 사퇴 || ||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청주 한씨 이양공파]][[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1897년 출생]][[분류:한국민주당 국회의원]][[분류:제헌 국회의원]][[분류:민주국민당 국회의원]][[분류:납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