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슈츠슈타펠/장성급 지휘관)] ||<-2> {{{#!wiki style="margin: -4px -9px" [[파일:한스 위트너.jpg|width=100%]]}}}|||| ||<#666> {{{#FFF 이름}}} ||<(>'''Hans Jüttner'''[br] 한스 위트너|| ||<#666> {{{#FFF 출생}}} ||<(>[[1894년]] [[3월 2일]], [[독일 제국]] [[포젠]]주 슈미겔 || ||<#666> {{{#FFF 사망}}} ||<(>[[1965년]] [[5월 24일]], [[서독]] [[바이에른]]주 바트 퇼츠 || ||<#666> {{{#FFF 복무}}} ||<(>[[슈츠슈타펠]] (1933년 ~ 1945년) || ||<#666> {{{#FFF 최종계급}}} ||<(>[[슈투름압타일룽]] [[소령]] (돌격대지도자) [br] [[슈츠슈타펠]] [[무장친위대]] [[대장(계급)|대장]] (상급집단지도자) || ||<#666> {{{#FFF 주요 참전}}} ||<(>[[제1차 세계 대전]] [br] [[제2차 세계 대전]] || [목차] [clearfix] == 개요 == [[나치 독일]]의 [[슈츠슈타펠]] [[대장(계급)|대장]] 및 [[무장친위대]] [[대장(계급)|대장]] == 초기 행적 == [[독일 제국]] 포젠의 슈미겔[* 현재는 폴란드령 슈미기엘]에서 태어난 한스 위트너는 고교졸업 후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제국 육군에 종군하여 [[1915년]]에 소위로 승진했지만 독일의 패전 후인 [[1920년]]에 제대당하여 그 후 세일즈맨으로 일하다가 [[1928년]]부터 프리랜서로 일했다. == [[나치당]] 입당 == 한스 위트너는 [[1931년]]에 [[나치당]]에 입당했다. [[1933년]]에 브레슬라우 대학에서 체육강사가 된 위트너는 이 때 돌격대와 친위대에 입대했는데 [[1934년]]에는 [[뮌헨]]의 돌격대 훈련소의 소장이 되었다. [[1935년]] 이후엔 완전히 친위대원으로 활동하여 이후 [[무장친위대]]가 되는 친위대 특무부대에서 일했다. [[1936년]] [[9월]]에 친위대 소령으로 승진한 위트너는 베를린 사령부에 배치되었다. == [[제2차 세계 대전]] == 위트너는 친위대 특무부대의 예비대 감독으로 일했는데, [[1940년]]에 위트너는 사령부에서 유력자가 되었다. [[8월 15일]]에 친위대 작전본부가 신설되자 본부장으로는 [[하인리히 힘러]]가 앉았지만 실무는 위트너가 담당했다. [[1942년]] [[6월]]에 위트너는 친위대 대장 및 무장친위대 대장으로 승진했다. [[1943년]] [[1월 30일]]엔 힘러로부터 친위대 작전본부장의 자리를 양도받아 정식으로 취임했다. [[1944년]] [[7월 20일]]에 [[히틀러 암살 미수 사건]]이 발생하고 힘러가 국내예비군의 사령관으로 임명되자 위트너는 그 대리로 지명되어 국내예비군의 실권도 장악했다. == 전후 재판과 행적 == 독일의 패전 후인 [[1945년]] [[5월 17일]]에 영국군의 포로가 된 위트너는 [[1948년]]에 징역 10년형을 선고받았지만 이듬 해에 4년으로 감형되어 복역 후 바이에른 주 바트 퇼츠에서 노인 요양소를 운영하다가 [[1965년]]에 사망했다. [[분류:1894년 출생]][[분류:1965년 사망]][[분류:제1차 세계 대전/군인]][[분류:제2차 세계 대전/군인]][[분류:독일 제국의 군인]][[분류:나치당원]][[분류:슈투름압타일룽/인물]][[분류:친위대(나치 독일)/인물]][[분류:독일의 실향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