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한(전국시대) 군주)] ||<-3> '''{{{#ece5b6 한(韓)나라 2대 국군[br]{{{+1 열후}}}[br]烈侯}}}''' || ||<-2> '''[[성씨|{{{#ece5b6 성}}}]]''' ||희(姬) || ||<-2> '''[[본관|{{{#ece5b6 씨}}}]]''' ||한(韓) || ||<-2> '''[[휘|{{{#ece5b6 휘}}}]]''' ||취(取) || ||<-2> '''{{{#ece5b6 아버지}}}''' ||[[한경후]](韓景侯) 한건(韓虔) || || '''{{{#ece5b6 생몰 기간}}}''' || 음력 ||기원전 ???년 ~ 기원전 387년 || || '''{{{#ece5b6 재위 기간}}}''' || 음력 ||기원전 399년 ~ 기원전 387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전국시대]] [[한(전국시대)|한(韓)나라]]의 2대 국군. 휘는 취(取). 아버지인 경후가 죽자, 그 뒤를 이었다. [[한문후]]의 아버지. 이때 재상인 한괴(韓傀)[* 한열후의 이복동생. 이 사람이 한나라의 왕족이기 때문에 이렇게 표기했다. 흔히 알려진 이름인 협루(侠累)는 자로 추정된다.]가 암살된 사건이 일어나 나라가 일시 혼란에 빠졌으나 철제 농기구가 보급되어 생산력이 향상되었다. == 생애 == 한 열후 3년(기원전 397년), 엄중자(嚴仲子)[* 본명은 엄수(嚴遂).]가 은혜를 베푼 협객인 섭정(聶政)이 원수인 상국 협루(俠累)를 죽여버리고 난 뒤에 자신의 얼굴 가죽을 벗기고 눈을 뽑으며 자결하여 아무도 그 정체를 알 수 없었다. 그런데, 그 누나가 섭정의 정체를 알려주고 자결했다. 한 열후 9년(기원전 391년), [[진(영성)|진(秦)나라]]가 한나라의 땅 의양(宜陽)을 쳐서 그 주변의 6개 읍을 취했다. 한 열후 13년(기원전 387년), 한 열후가 죽고, 그 아들인 한유(韓猷)가 즉위하니, 그가 바로 [[한문후]]이다. 한 열후 시대의 기록이 적지만 특기할 사항은 바로 한나라에서 중앙집권체제가 이뤄지기 시작했으며, 철제 농기구가 본격적으로 보급되어 생산력이 증대되었다는 것이다.[* 한나라가 있던 [[하남성]]은 지금은 가난한 지역이지만 고대 중국에선 가장 부유한 지역이었다. 중국 역사의 시작이 하동, 하남, 하내 지역에서 시작되었다.] [각주] [[분류:한(韓)나라의 군주]][[분류:기원전 387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