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한(전국시대) 군주)] ||<-3> '''{{{#ece5b6 한(韓)나라 5대 국군[br]{{{+1 의후}}}[br]懿侯}}}''' || ||<-2> '''[[성씨|{{{#ece5b6 성}}}]]''' ||희(姬) || ||<-2> '''[[본관|{{{#ece5b6 씨}}}]]''' ||한(韓) || ||<-2> '''[[휘|{{{#ece5b6 휘}}}]]''' ||약산(若山) || ||<-2> '''{{{#ece5b6 아버지}}}''' ||[[한애후]](韓哀侯) 한유(韓猷) || || '''{{{#ece5b6 생몰 기간}}}''' || 음력 ||기원전 ???년 ~ 기원전 363년 || || '''{{{#ece5b6 재위 기간}}}''' || 음력 ||기원전 370년 ~ 기원전 363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전국시대]] [[한(전국시대)|한(韓)나라]]의 5대 국군. 휘는 약산(若山). 아버지인 [[한애후]]가 신하의 손에 죽고, 그 뒤를 이었다. 본문의 재위기간과는 달리 다른 설에 의하면 한 애후가 기원전 374년에 죽어서 기원전 373년에 뒤를 이었다는 말이 있다. == 생애 == 한 의후 2년(기원전 369년), 한 의후는 [[공손기]](公孫頎)의 건의에 따라 [[위(전국시대)|위(魏)나라]]의 내란에 개입했고, [[조(전국시대)|조(趙)나라]]와 연합해 황하에서 만났다. 그리고 위나라의 성읍을 공략했다. 거기서 크게 이겨 그 기세를 타고 서쪽으로 위나라의 수도 안읍을 쳤으나 연합군 내부에 불화가 일어나 한 의후는 병사를 거느리고 떠나 안읍의 포위는 풀렸다.[* 이것과는 별개로 후일 [[위혜왕|위 혜왕]]은 [[진(영성)|진(秦)나라]]에게 거듭 패해 수도인 안읍이 국경에 가까워지자 결국 수도를 동쪽의 대량으로 옮기게 된다.] 한 의후 5년(기원전 366년), 위 혜왕과 택양(宅陽)에서 회맹하였다. 한 의후 8년(기원전 363년), 한 의후가 죽고, 그 아들인 한무(韓武)가 즉위하니 그가 바로 한 소후다. [각주] [[분류:한(韓)나라의 군주]][[분류:기원전 363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