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FFFFFF ''' 한재림의 주요 수상 이력 ''' }}} }}} |||| ||<#ffffff,#191919><-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EDD200> {{{+1 '''{{{#000000 역대}}}''' [[대종상|[[파일:daejongfilmawards_logo.png|width=120]]]]}}} || ||<#FFFFFF,#191919><:><-5> [[파일:daejongawards.png|width=50]] || ||<#EDD200><-5><:> {{{#000000 '''감독상'''}}} || ||<:> ''' 제49회 [br] ([[2012년]]) ''' ||<:> {{{+1 → }}} ||<:> ''' 제50회 [br] ([[2013년]]) ''' ||<:> {{{+1 → }}} ||<:> ''' 제51회 [br] ([[2014년]]) ''' || ||<:> [[추창민]][br]([[광해, 왕이 된 남자]]) ||<:> {{{+1 → }}} ||<:><#b4a377> '''{{{#000 한재림[br]([[관상(영화)|{{{#000 관상}}}]])}}}''' ||<:> {{{+1 → }}} ||<:> [[김성훈(1971)|김성훈]][br]([[끝까지 간다]]) || ||<-5><:> {{{#000000 '''시나리오상'''}}} || ||<:> ''' [[제53회 대종상|제53회]] [br] ([[2016년]]) ''' ||<:> {{{+1 → }}} ||<:> ''' [[제54회 대종상|제54회]] [br] ([[2017년]]) ''' ||<:> {{{+1 → }}} ||<:> ''' [[제55회 대종상|제55회]] [br] ([[2018년]]) ''' || ||<:> [[우민호]][br]([[내부자들(영화)|내부자들]]) ||<:> {{{+1 → }}} ||<:> '''{{{#090806 한재림[br]([[더 킹(영화)|{{{#090806 더 킹}}}]])}}}''' ||<:> {{{+1 → }}} ||<:> [[전고운]][br]([[소공녀(2018)|소공녀]]) || ||<#EDD200><-5><:> || ---- ||<-5>
{{{+1 '''{{{#white '''역대'''}}} [[청룡영화상|[[파일:bluedragonfilmawards_logo.png|width=120]]]]'''}}} || ||<-5> [[파일:bluedragonawards3.png|width=30]] || ||<-5> {{{#fff '''각본상'''}}} || || '''제25회[br]([[2004년]])''' || {{{+1 →}}} || '''제26회[br]([[2005년]])''' || {{{+1 →}}} || '''제27회[br]([[2006년]])''' || || [[최동훈]][br]([[범죄의 재구성]]) || {{{+1 →}}} || '''{{{#fff 고윤희[br]한재림[br]([[연애의 목적|{{{#fff 연애의 목적}}}]])}}}''' || {{{+1 →}}} || [[이해영]][br][[이해준]][br]([[천하장사 마돈나]]) || ||<-5>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한재림.jpg|width=100%]]}}} || || '''이름''' ||한재림 || ||<|2> '''출생''' ||[[1975년]] [[7월 14일]] ([age(1975-07-14)]세)|| ||[[제주특별자치도|제주도]] (현 [[제주특별자치도]]) || || '''학력''' ||제주북초등학교 {{{-2 (졸업)}}}[br]오현중학교 {{{-2 (졸업)}}}[br][[제주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제주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 {{{-2 (졸업)}}}[br][[서울예술대학교|서울예술전문대학]] {{{-2 (영화과 / 전문학사)}}} || || '''데뷔''' ||[[2005년]] 영화 《[[연애의 목적]]》 || || '''가족''' ||부모님, 동생 한재범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 충무로의 [[상업영화]] 감독 중 하나다. == 감독 경력 == [[2005년]] 발칙했던 데뷔작 《[[연애의 목적]]》으로 [[대종상|대종상영화제]] 신인감독상과 [[청룡영화상]] 각본상을 수상하면서 충무로에 혜성처럼 등장했다. 영화가 흥행하지 못했다는 이야기가 있으나, 흥행에 성공한 영화다. 당시 관객동원수가 173만 명인데, 흥행 못한 것은 절대 아니다. 일단 [[청불]] 영화인 데다, [[2005년]] [[6월]] 전체 박스오피스 2위를 기록했는데, 한국영화로는 1위였다. 실제로 《[[연애의 목적]]》은 6월 전체 박스오피스 1위인 《[[미스터 & 미세스 스미스]]》가 개봉하기 전까지 5일 동안 1위를 기록하다가 저 영화가 개봉하자, 콩라인이 되었고 꽤 오랫동안 유지했다. 한 달 가까이 10위권 내에 있었던 것과, [[박해일]]과 [[강혜정]] 모두 스타덤에 오른 건 덤. 연애라는 뻔하고 로맨틱한 소재를 전혀 꾸미지 않고, 그 이면을 직설적으로 표현해 상당한 주목을 받았다. 이 영화로 상만 7개를 받았다. 앞서 언급한 두 개의 상을 포함해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시나리오상,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영평10선,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최우수작품상・신인감독상・각본상을 수상했다. 또한 뉴욕한국영화제, 우디네 극동영화제, 도쿄국제영화제, [[가치봄]]영화제 등에서 상영되기도 했다. 그러니까, 흥행에 실패한 영화는 절대 아니다. [[2006년]] 개봉한 두번째 작품 《[[우아한 세계]]》는 조폭 느와르의 새 지평을 열었다는 극찬을 받았다. 기존의 조폭 영화들이 조폭세계의 비정함을 다루거나 희화화시켜 [[코미디]] 장르로 흘러갔다면, 장르를 살짝 비틀어 조폭을 극단적 '직업'으로 설정하며 중년 가장의 삶과 직장인의 불안감을 이야기한 영화였다. 아쉽게 흥행은 실패했으나 그의 최고작으로 여전히 회자된다.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과 [[청룡영화상]]에서 최우수작품상을 거머쥐었다. 캐나다에서 열린 판타지아 영화제에서는 경쟁부문 각본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또한 [[송강호]]가 인생연기를 펼친 작품으로도 꾸준히 언급된다. [[2013년]] '2010 한국영화 시나리오 공모전' 대상 수상작으로 선정된 김동혁 의 시나리오 '관상'으로 연출한 세번째 작품 《[[관상(영화)|관상]]》은 워낙 시나리오가 좋아 기대가 큰 작품이었다. 또한, [[송강호]], [[이정재]], [[백윤식]], [[조정석]], [[이종석(배우)|이종석]], [[김혜수]] 등 초호화 라인업을 선보여 큰 화제가 되었는데, 최종 관객수 913만명을 동원하며 대박을 터뜨렸다. [[2017년]] 개봉한 네번째 작품 《[[더 킹(영화)|더 킹]]》은 [[대한민국]]의 대표 톱스타 미남인 [[조인성]]과 [[정우성]]을 캐스팅하면서 많은 이들의 주목을 끌었다. 예지력이 있냐는 소리가 나올 정도로 시의적절한 내용과 지금 봐도 탁월하고 감각적인 연출이 화제되면서 흥행했고, 최종 관객수 531만명을 동원했다. 이 작품으로 [[대종상|대종상영화제]] 시나리오상을 수상했는데, 상당히 잘 쓰여진 각본으로 유명하다. [[2022년]] [[8월 3일]], 다섯번째 작품 《[[비상선언]]》이 개봉하였다. 현존 최고의 배우들 [[송강호]], [[이병헌]], [[전도연]]을 모두 캐스팅하자 제작 단계부터 대체 무슨 내용이길래 캐스팅이 저렇냐는 이야기가 정말 많았다. 바로 [[대한민국]] 최초로 항공 재난을 소재로 한 작품인데, [[제74회 칸 영화제]] 비경쟁 부문에 초청되면서 화제를 모으기도 했으나, 개봉 이후 작품성에 대한 혹평을 비롯해 작품 내외적으로 여러 논란이 일었다. 차기작으로 첫 드라마 《[[머니게임(웹툰 원작 드라마)|머니게임]]》을 촬영하고 있다. 이 작품도 [[류준열]], [[천우희]], [[박정민(배우)|박정민]], [[박해준]] 등 탄탄한 라인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8부작으로 구성된 OTT 시리즈이지만 아직 편성은 미정이다. == 작품 특징 == 가벼워 보이지만 뒤에 가면 은근히 혹은 상당히 무겁고 진지한 메세지가 전달되는 것이 특징이며, 작품마다 해피엔딩과 새드엔딩을 많이 오간다. 《[[관상(영화)|관상]]》도 초반은 어느 정도는 유쾌했지만, 후반부에 가서는 전개가 진지해져서 웃길 틈이 거의 없어진다. 다른 작품들 《[[연애의 목적]]》, 《[[우아한 세계]]》, 《[[더 킹(영화)|더 킹]]》도 겉으로 보이는 분위기에 비해 진지한 구석이 많다. 《[[더 킹(영화)|더 킹]]》과 《[[우아한 세계]]》는 풍자가 많이 돋보이는 편. 연출적인 특징으로는 신경쓴 티가 나는 미술과 조명을 잘 활용한다는 점이다. 이런 특징 덕에 영상미가 훌륭한데, 이런 시각적인 부분뿐만 아니라 음향까지 신경을 쓸 정도로 시청각적인 모든 부분이 디테일하다. 《[[더 킹(영화)|더 킹]]》이나 《[[관상(영화)|관상]]》에서는 촬영 구도, 조명 등 다양한 연출 기법을 도전하면서 주목받았다. 특히 《[[더 킹(영화)|더 킹]]》에서의 음향 음질은 당시 한국영화 가운데 매우 깨끗했으며, 연출과 편집이 상당히 훌륭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특히 [[마틴 스콜세지]]처럼 감각적인 연출과 프리즈 프레임이나 점프컷, [[교차편집]] 등 다양한 편집 기법을 적극적으로 사용하면서 탁월하게 사용해 좋은 평을 받았다. 연출이 빠르고 세련된 감독. 다만 고증 부분에서 좋은 평은 듣는 감독은 아니다. 시대적 배경이 다른 《[[관상(영화)|관상]]》이나 《[[더 킹(영화)|더 킹]]》에서는 고증 오류가 제법 많은 편이다. 그래도 뛰어난 영상미와 연출 못지않게 신경 쓴 각색으로 이를 재치있게 넘어가는 편이라, 혹평이 크지는 않다.[* 이런 부분은 [[조성희]] 감독과도 비슷하다. [[조성희]] 감독의 작품은 아예 이것을 무시하고 하나의 세계관을 만드는 편.] 미적인 부분이 돋보이고 스토리도 재미있으며, 신파가 없어서 깔끔하고, 관객에게 불편함을 끼치지는 않으니 상업 영화 감독으로서 좋은 예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고증이 중요한 소재의 [[비상선언]]에서는 이런 점이 독이 되었다. 영화 [[비상선언]]에서는 여러 논쟁이 있다. 사회적 문제가 표출되면서 논쟁이 심화었다. 나무위키 평가에서 [[https://namu.wiki/thread/AgreeableCooingTiresomeCast|토론]]을 통해 "[[비상선언/평가 및 사건 사고#반인륜적인 집단주의 미화|반인륜적인 집단주의 미화]]"라는 소제목이 붙기도 했다. 사람에 따라서 불편을 느낄 수 있다. 극적인 연출이 과도한 부분도 많다. 영화라고는 하지만 항공기에 대한 부분은 과장이 지나친 것으로 보일 수 있다. == 여담 및 일화 == * 초등학생 때 엄마와 함께 《[[아마데우스(영화)|아마데우스]]》를 본 게 영화감독을 지망하게 된 동기. 《[[아마데우스(영화)|아마데우스]]》를 울면서 본 뒤 꿈을 적는 란에 언제나 영화감독이라고 쓰게 되었다고 한다. 동생이 있는데 동생은 [[오현고]] [[수학교사]]다. * 《[[우아한 세계]]》 이후 《[[관상(영화)|관상]]》으로 돌아오기까지 무려 6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 웹툰 《[[트레이스(웹툰)|트레이스]]》를 원작으로 하는 영화를 오랜 시간 준비했으나 결국 무산되는 바람에 《[[관상(영화)|관상]]》을 준비하기 시작했고, 준비 기간에만 2년이 걸렸다고 한다. * [[송강호]]는 《[[연애의 목적]]》을 보고 언젠가 함께 작업할 것을 제안했고, 이에 [[송강호]]를 주연으로 아예 작품 기획에 들어갔다고 한다. 대본이 나오지도 않았는데 [[송강호]]가 기획의도와 작품의 콘셉트만 듣고 출연을 결정한 작품이 바로 《[[우아한 세계]]》다.[* [[송강호]]가 이 영화에 관해 처음에 물었던 질문이 "이 영화의 인문학적 의미는 뭡니까?"였다고 한다. 물론 [[송강호]]는 기억하지 못한다고 한다.] [[송강호]]와는 《[[비상선언]]》까지 총 세 작품이나 호흡하고 있다. * 같은 제주출신 영화감독 양윤호, 순이삼촌의 지은이인 [[현기영]]작가와 함께 [[제주 4.3사건]] 70주년 TV 광고를 맡아 제작했다. [[http://www.headlinejeju.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328910|#]] [[https://www.youtube.com/watch?v=iN0cm-4FPgw|#]] * 2023년 8월 21일 1996년생 배우 [[이열음]]하고 열애설이 터졌다. == 필모그래피 == [include(틀:한재림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영화 === ||<#001b33> '''{{{#white 연도}}}''' ||<#001b33> '''{{{#white 제목}}}''' ||<#001b33> '''{{{#white 제작}}}''' ||<#001b33> '''{{{#white 연출}}}''' ||<#001b33> '''{{{#white 각본}}}''' ||<#001b33> '''{{{#white 비고}}}''' || ||<|2> [[2005년]] || [[내츄럴 시티]] || || || || 각색, 연출부 || || [[연애의 목적]] || || O || O || 장편 상업영화 데뷔작 || || [[2007년]] || [[우아한 세계]] || || O || O || || || [[2012년]] || [[연애의 온도]] || O || || || 기획 || || [[2013년]] || [[관상(영화)|관상]] || || O || || 각색 || || [[2015년]] || [[특종: 량첸살인기]] || O || || || 기획 || || [[2016년]] || [[더 킹(영화)|더 킹]] || O || O || O || 기획 || || [[2022년]] || [[비상선언]] || O || O || O || || === 드라마 === ||<#001b33> '''{{{#white 연도}}}''' ||<#001b33> '''{{{#white 제목}}}''' ||<#001b33> '''{{{#white 제작}}}''' ||<#001b33> '''{{{#white 연출}}}''' ||<#001b33> '''{{{#white 각본}}}''' ||<#001b33> '''{{{#white 비고}}}''' || || 미정 || [[The 8 Show]][* 원작 웹툰 《[[머니게임]]》과 《[[파이게임]]》을 합쳐 각색한 작품이다.] || O || O || O || 첫 드라마 연출작 || || 미정 || 현혹[* 동명의 웹툰 《[[현혹(웹툰)|현혹]]》을 원작으로 하는 작품이다. 기획 초기 단계다.] || O || O || O || || == 수상 경력 == ||<#001b33> '''{{{#white 연도}}}''' ||<#001b33> '''{{{#white 수상}}}''' ||<#001b33> '''{{{#white 작품}}}''' || || [[2003년]] || [[영화진흥위원회]] 시나리오 공모전 우수상 ||<|5> [[연애의 목적]] || ||<|3> [[2005년]] || 제6회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신인감독상 || || 제6회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최우수 작품상 || || 제26회 [[청룡영화상]] 각본상 || || [[2006년]] || 제43회 [[대종상|대종상영화제]] 신인감독상 || ||<|3> [[2007년]] || 제11회 판타지아 영화제 각본상 ||<|3> [[우아한 세계]] || || 제28회 [[청룡영화상]] 최우수 작품상 || || 제27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최우수 작품상 || || [[2013년]] || 제50회 [[대종상|대종상영화제]] 감독상 || [[관상(영화)|관상]] || ||<|2> [[2017년]] || 제54회 [[대종상|대종상영화제]] 시나리오상 ||<|2> [[더 킹(영화)|더 킹]] || || 제17회 [[디렉터스컷 어워즈]] 올해의 특별언급 || [[분류:한재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