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진(희성)의 정경)] [include(틀:역대 한(전국시대) 군주)] |||||| '''{{{#ece5b6 한(韓)씨 가문 5대 종주[br]{{{+1 헌자}}}[br]獻子}}}''' |||||||||| |||| '''[[성씨|{{{#ece5b6 성}}}]]''' ||희(姬) || |||| '''[[본관|{{{#ece5b6 씨}}}]]''' ||한(韓) || |||| '''[[휘|{{{#ece5b6 휘}}}]]''' ||궐(厥) || |||| '''{{{#ece5b6 아버지}}}''' ||한자여(韓子輿) || || '''{{{#ece5b6 생몰 기간}}}''' || 음력 ||기원전 ???년 ~ 기원전 566년 이후 || || '''{{{#ece5b6 재위 기간}}}''' || 음력 ||기원전 ???년 ~ 기원전 566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춘추시대 한씨 5대 종주. == 생애 == 어릴때 아버지가 죽어서 조돈의 집에서 자랐다. 조돈의 추천으로 사마가 된다. 기원전 597년 필 전투에 사마로 참전했다. 진의 장수들이 주전파와 주화파가 나뉘어 다투다가 주전파인 선곡(先縠)이 자신이 지휘하는 군대를 이끌고 독단적으로 강을 넘어가버린다. 이에 한궐은 '선곡이 위험에 빠지면 너의 죄가 커진다. 네가 사령관인데 군이 명을 따르지 않으면 너의 죄이다. 강을 넘어 싸워서 지면 6명의 지휘관들이 죄를 나누게 된다.'라고 중군장인 순림보한테 조언한다. 순림보는 황하를 건넜고 이어지는 [[필 전투]]에서 대패한다. 기원전 589년 미계 전투에 참전했다. 기원전 588년 12월,진나라가 6군 체제로 개편하고 한궐, [[조괄(춘추시대)|조괄]], 공삭, 한천, 조전 등이 미계 전투의 공로에 대한 포상으로 경이 되었다. 기원전 585년, 진나라가 천도를 계획한다. 한궐이 신전(新田) 땅을 추천하자 진경공이 그의 주장을 따라 신전으로 천도했다. 같은해, 초나라가 정나라를 공격하자 진나라가 구원에 나서 채나라의 요각 땅에서 초군과 만났고 초군이 퇴각한다. 이어서 진나라가 채나라를 침략하자 초나라가 신申과 식息의 군사를 데리고 상수에서 진군과 대치했다. 조동과 조괄이 싸우자고 난서에게 청하자 난서는 허락하려 했다. 이때 순수, 사섭, 한궐이 돌아가는 것이 낫다고 간언하자 난서는 군을 돌렸다. 기원전 583년, [[조문자|조무]]가 조씨의 후사를 이을 수 있게 도왔다. 기원전 575년 언릉 전투에 참전했다. 기원전 576년, 삼극(三郤), 즉 극기(郤錡), 극주(郤犫), 극지(郤至)가 백종(伯宗)을 참소하여 죽였고 백종의 아들 백주리(百州犁)는 초나라로 망명한다. 한헌자가 이를 보고 극씨가 화를 면치 못할 것이라 말한다. 기원전 575년, [[언릉 전투]]가 일어났다. 한궐이 하군을 지휘했다. 기원전 574년, 난서와 중항언이 [[진여공]]을 사로잡고 사개와 한궐을 불렀으나 둘다 거절했다. 이에 중항언이 한궐을 공격하려 했지만 난서가 말렸다. 기원전 573년 [[난무자|난서]]의 뒤를 이어 진(晉)나라의 정경이 되었다. 기원전 566년 10월, 한궐이 노령으로 사직하고 한무기를 후사로 삼으려 했지만 한무기는 고질병을 이유로 동생 [[한선자|한기]]한테 양보한다. [[지무자|지앵]]이 뒤를 이어 정경이 된다. [[분류:춘추전국시대/인물]][[분류:춘추전국시대의 재상]][[분류:한(韓)나라의 군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