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한화 이글스/2013년/9~10월)] [목차] == 개요 == [[2013년]] [[9월 29일]][* 7월 2연전 미편성 경기] [[무등 야구장]]에서 벌어진 [[한화 이글스/2013년|KBO 역사상 최초의 9위 팀]]과 [[KIA 타이거즈/2013년|2013년 최고의]] [[웃음후보]]가 벌인 [[단두대 매치]]. 14:10이라는 최종 스코어, 양 팀 합쳐 26안타라는 기록만 보면 화끈한 타격전처럼 보이지만 뚜껑을 열고 보면 양 팀 투수들 간의 미친듯한 [[볼질]]로 인한 강제 타격전[* 양팀투수들이 하나같이 제구가 안되다 보니 결국 어쩔 수 없이 한가운데로 던져서 얻어맞은게 대부분이다.]으로 시작된 경기는 결국 [[한화 이글스]]의 승리로 끝나면서 KIA는 다시 8위로 추락하고 만다. == 스코어보드 == ||<-15><#ff6600> {{{#ffffff 9월 29일, 17:00 ~ 21:07 (3시간 58분), [[무등 야구장|{{{#ffffff 무등 야구장}}}]] 1,707명}}} || ||<#dcdcdc,#222222> '''팀''' ||<#dcdcdc,#222222> '''선발''' ||<#dcdcdc,#222222> '''1회''' ||<#dcdcdc,#222222> '''2회''' ||<#dcdcdc,#222222> '''3회''' ||<#dcdcdc,#222222> '''4회''' ||<#dcdcdc,#222222> '''5회''' ||<#dcdcdc,#222222> '''6회''' ||<#dcdcdc,#222222> '''7회''' ||<#dcdcdc,#222222> '''8회''' ||<#dcdcdc,#222222> '''9회''' ||<#dcdcdc,#222222> '''R''' ||<#dcdcdc,#222222> '''H''' ||<#dcdcdc,#222222> '''E''' ||<#dcdcdc,#222222> '''B''' || ||<#ff6600> {{{#ffffff 한화}}} || '''[[데니 바티스타|바티스타]]''' || 1 || 0 || 4 || 1 || 5 || 0 || 0 || 0 || 3 ||<#dcdcdc,#222222> '''14''' || 15 || 2 || '''12''' || ||<#c70125> {{{#ffffff KIA}}} || '''[[듀웨인 빌로우|빌로우]]''' || 2 || 1 || 4 || 0 || 0 || 0 || 0 || 2 || 1 ||<#dcdcdc,#222222> '''10''' || 11 || 0 || '''11''' || ▲ '''결승타''': [[한상훈]](5회 1사 1,3루서 유격수 땅볼) ▲ '''승리''': [[정대훈]](2⅔이닝 무실점) ▲ '''패전''': [[신창호]](1⅔이닝 4실점 4자책점) ▲ '''홀드''': [[임기영]](1⅔이닝 무실점) ▲ '''세이브''': [[송창식(야구선수)|송창식]](1⅔이닝 1실점) == 진행 상황 == === 경기 전 === 경기 당시 순위는 [[KIA 타이거즈]]가 [[NC 다이노스]]와 공동 7위로 압도적인 9위였던 한화보다 앞서 있었지만, KIA는 9월 당시 한화보다도 못한 승률을 거두고 있었는 데다가 한화는 이미 일찌감치 9위 트래직 넘버가 소멸한 뒤이므로 승부에 부담이 없었고 [[NC 다이노스|신생팀]]보다도 못한 팀(...)이라는 타이틀을 혼자만 가지고 있을 수는 없다는 물귀신 심보로 전의는 조금 더 높아 있던 상태였다. 각 팀의 [[선발 투수]]는 이름값이나 기대에 비해 별 활약을 하지 못했던 KIA의 [[듀웨인 빌로우]]와 후반기 들어 체력적인 문제가 생겼는지 선발로서 썩 좋은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던 한화의 [[데니 바티스타]]였다. === 1회 ~ 3회 === 8위로의 추락을 막아야 할 KIA는 [[듀웨인 빌로우]]를, 유종의 미를 거두고 싶은 한화는 [[데니 바티스타]]를 선발로 냈으나 두 선발들은 각각 1회에만 1, 2점을 내주면서 경기를 어렵게 끌고 가기 시작했다. 먼저 털린 건 [[듀웨인 빌로우]]로 2.1이닝 동안 5실점 5자책으로 무너지고 말았다. 특히 3회에만 4실점을 거하게 하며 KIA가 잡아놓은 리드를 날려먹었다. 하지만 KIA도 가만 있진 않았다. 바로 바티스타를 3회말에 털어서 마운드를 내려가게 해버렸고 3회 종료 시점에 점수는 5-7. 슬슬 대첩의 냄새가 나기 시작했다. === 4회 ~ 8회초 === 하지만 크보 최고의 웃음후보를 상대로 한화 역시 그냥은 물러가지 않았다. 4회초 한상훈의 땅볼로 1점을 만회해 6-7을 만들어놓은 한화는 5회초 일거 5득점으로 한방에 경기를 뒤집어 버렸다. 이 때 역전을 허용한 KIA 투수는 [[신창호]]였고 그 시점에 한화 마운드는 [[정대훈]]이 지키는 중이었다. KIA는 4회말부터 7회말까지 단 한 점도 득점을 못했으며 이는 결국 경기 패전의 한 요인을 차지하고 말았다. === 8회말 === 하지만 기아는 8회말에 가만히 앉아만은 있지 않으며 타어8 탈출을 위한 득점행진에 시동을 걸었다. 1사 후 [[신종길]]과 [[이범호]]의 연속안타로 기회를 잡은 기아는 [[나지완]]이 좌중간 2루타로 11-8을 만들고 뒤이어 구원투수 송창식의 폭투로 기어코 11-9[* 다만, 이 득점은 송창식 이전에 등판했던 [[박정진]]의 자책점이었다.]를 만들어 버렸다. 하 지 만 더 이상의 득점은 나지 않았고, 결국 9회초... === 9회초 === 그러나 9회초, 한화는 기아에게서 3점을 더 가져가 버리며 경기의 흐름을 완벽히 가져왔다. 1사 후 [[한상훈]]의 볼넷으로 만든 1사 1루 찬스에서 3번 [[김태균]]이 뜬공으로 물러갔지만 뒤이어 나온 [[이양기]] - [[송광민]] - [[정현석]] 이 세 명의 연속 적시타로 3점 추가. 결국 14-9를 만들고 만다. 이후 9회말에 기아가 1점을 추가했기 때문에, 결과를 놓고 봤을 때 이 점수가 없었다면 어찌 될 지 모를 상황이었다. === 9회말 === 마운드에 오른 건 [[송창식(야구선수)|송창식]]. 하지만 그도 혹사의 후유증에 시달렸는지 결국 1실점을 허용하고 말았다. 급기야 주자 2명을 깔고 [[이범호]]를 상대하는 절체절명의 상황. 하지만 [[고동진(야구선수)|고동진]]의 호수비에 이범호는 중견수 뜬공으로 물러났고, 거기서 경기는 끝. === 결과 및 총평 === 양팀 합계 '''안타 26개''', '''사사구 23개'''가 쏟아져 나왔으며, 두 팀이 기록한 안타와 사사구 수는 각각 15, 12, 11, 11개였다. KBO 한 경기 최다 사사구는 26개, 최다 볼넷은 22개로, 이에 버금가는 사사구 남발만으로도 대첩이 되기 충분했다. 더구나 정규이닝에 끝난 경기로 한정지으면 사사구 기록은 타이가 된다! 총합 24점이 났는데 홈런포는 하나도 터지지 않았다는 것 역시 특기할만한 점. [[KIA 타이거즈/2012년/4월/20일|2012년 4월 20일 경기]]와 많이 비슷한 경기였으며 심지어 마지막 공격에서 [[권성욱|담장 근처에서 공이 잡혔다]]는 것까지 비슷하다! 그러나 그 때에는 홈런포가 터졌다는 점과 이 경기는 점수가 더 많이 나왔다는점, 양팀의 볼넷 개수가 10개를 넘었다는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 날 패배로 KIA는 다시 8위로 복귀. 다음 경기가 NC와의 7위를 놓고 벌이는 단두대 매치라는 점을 감안하면 너무나도 뼈아픈 패배였다. ~~NC 선발이 [[찰리 쉬렉]]인 것은 보너스~~~~그러나 [[찰리 쉬렉]]은 호투에도 불구하고 NC의 짜디 짠 득점지원 때문에 이기지 못했다~~ 그리고 이 경기는 한화의 마지막 무등구장 경기였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929 대첩, version=43)] [[분류:KBO 리그/개별 문서가 있는 경기/2013년]][[분류:한화 이글스/2013년]][[분류:KIA 타이거즈/201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