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정수론)] [목차] == 개요 == {{{+1 [[合]][[同]][[式]] / congruence}}} 정수 [math(a,b,m)]에 대하여, [[약수(수학)|[math(m\mid\left(a-b\right))]]]일 때[* [math(a-b)]가 [math(m)]으로 나누어 떨어질 때([math(m)] divides [math(a-b)]). 즉, 적당한 정수 [math(k)]에 대하여 [math(a-b=km)]], [math(a)]는 법 [math(m)]에 대하여 [math(b)]와 합동이다[* [[기하학]]의 [[합동]]과는 다르다.]라고 한다.[* 영어로는 [math(a)] is congruent to [math(b)] modulo [math(m)]라고 한다. ] 이때, 기호로는 [math(a\equiv b\left(\text{mod}\,m\right))][* [math(a=b\,{mod}\,m)]와는 다르니 혼동에 주의바란다. 이뜻은 b와 m을 나눈 나머지가 a라는 뜻이다.]라고 쓴다. [math(m)]를 합동의 법(modular)이라고 한다. 간단히 말해서, "[math(a)]를 [math(m)]으로 나눈 나머지는 [math(b)]"라는 문장을 수식으로 표현한 것. [* [math(0 \leq b < m)]일 때에][* 혹은 [math(a-b=nm)], [math(n)]은 자연수.] 일반적으로 나머지는 나누는 수보다 작지만, 합동식에서는 [math(b)]값에 제한이 없다는 차이점은 존재한다. 다시 말해 [math(a\equiv b\left(\text{mod}\,m\right))]에서 b에 들어갈 수 있는 수 자체는 많이 있고, 그중에 가장 작은 양의 정수가 초등학교 때 배운 '[[나머지]]'이다. 나머지라는 개념 자체가 초등학교 시절 초반에 배우던 것이어서 보통 마치 [[분수(수학)|분수]]라는 가르치기 어려운 개념을 회피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 같아 보인다. 그러나 '''천만의 말씀'''. 나머지는 수학에서 가장 신비로운 개념 중 하나로, [[덧셈]]이나 [[곱셈]]에만 적용되는 줄 알았던 연산개념이 신기하게도 나머지에서 완전 같은 방법으로 적용된다는 점을 깨닫게 되면 정수론에 대한 관심이 꽃피게 되는 일이 많다. 대학교의 [[정수론]] 수업이나 [[이산수학#s-3|특정 수학 과목]]의 정수론 파트를 듣지 않는 한 배울 일이 없지만, [[KMO]]를 비롯한 수학 경시대회를 준비한다면 '''반드시''' 알아놔야 할 것 중 하나. [[2차 잉여]]까지는 알 필요 없지만 아래 기본적인 성질은 모두 숙지하는 것이 좋다. == 성질 == 1. 반사성(reflexivity) [math(a\equiv a\pmod{m})]이다. {{{#!folding 증명 [math(a-a=0)]이고, [math(m\cdot0=0)]이므로 [math(m\mid0)]이다. 따라서, [math(a\equiv a\pmod{m})]이다.}}} 1. 대칭성(symmetry) [math(a\equiv b\pmod{m})]이면 [math(b\equiv a\pmod{m})]이다. ([[교환법칙]]) {{{#!folding 증명 [math(a\equiv b\pmod{m})]이면 [math(m\mid\left(a-b\right))]이다. 또, [math(m\mid\left(a-b\right))]이므로 [math(m\mid\left(b-a\right))]이다. 따라서, [math(b\equiv a\pmod{m})]이다.}}} 1. 추이성(transtivity) [math(a\equiv b\pmod{m}, b\equiv c\pmod{m})]이면 [math(a\equiv c\pmod{m})]이다. {{{#!folding 증명 [math(a\equiv b\pmod{m})]이면 [math(m\mid\left(a-b\right))]이고, [math(b\equiv c\pmod{m})]이면 [math(m\mid\left(b-c\right))]이다. 그러므로 [math(m\mid{\left(a-b\right)+\left(b-c\right)})]이다. 즉, [math(m\mid\left(a-c\right))]이다. 따라서, [math(a\equiv c\pmod{m})]이다.}}} 1. 복부호동순(compatibility with translation) [math(a\equiv b\pmod{m}, c\equiv d\pmod{m})]이면, [math(a\pm c\equiv b\pm d\pmod{m})]이다. {{{#!folding 증명 [math(a\equiv b\pmod{m})]이면 [math(m\mid\left(a-b\right))]이고, [math(c\equiv d\pmod{m})]이면 [math(m\mid\left(c-d\right))]이다. 그러므로 [math(m\mid{\left(a-b\right)\pm\left(c-d\right)})]이다. 즉, [math(m\mid{\left(a\pm c\right)-\left(b\pm d\right)})]이다. 따라서, [math(a\pm c\equiv b\pm d\pmod{m})]이다.}}} 1. compatibility with scaling [math(a\equiv b\pmod{m}, c\equiv d\pmod{m})]이면, [math(ac\equiv bd\pmod{m})]이다. {{{#!folding 증명 [math(a\equiv b\pmod{m})]이면 [math(m\mid\left(a-b\right))]이고, [math(c\equiv d\pmod{m})]이면 [math(m\mid\left(c-d\right))]이다. 그러므로 [math(m\mid{\left(a-b\right)c+\left(c-d\right)b})]이다. 즉, [math(m\mid\left(ac-bd\right))]이다. 따라서, [math(ac\equiv bd\pmod{m})]이다.}}} 1.compatibility with exponentiation [math(a\equiv b\pmod{m})]이면, [math(a^k\equiv b^k\pmod{m})]이다. {{{#!folding 증명 [math(a\equiv b\pmod{m})]이면 [math(m\mid\left(a-b\right))]이다. 또, [math(k\geq2)]일 때, [math(a^k-b^k =\left(a-b\right)\left(a^{k-1} + a^{k-2}b+\cdots +ab^{k-2}+b^{k-1}\right))]이므로, [math(m\mid\left(a^k-b^k\right))]이다. 따라서, [math(a^k\equiv b^k\pmod{m})]이다.[* [math(k=1)]일 때에는 자명하다.][* 사실 5의 증명을 반복 적용하면 된다.] }}} 1. [math(ab\equiv ac\pmod{m})]이고, [math(d=\gcd\left(a,m\right))]이면, [math(b\equiv c\pmod{\frac{m}{d}})]이다.[* 특히 a, m이 서로소일 때, [math(b\equiv c)] (mod m)이다.] {{{#!folding 증명 [math(ab\equiv ac\pmod{m})]이면, [math(m\mid a\left(b-c\right))]이다. [math(d=\gcd\left(a,m\right))]이므로, [math(a=dx_1,m=dx_2)]를 만족하는 [[정수]] [math(x_1,x_2)]가 존재한다. 또한, [math(dx_2\mid dx_1\left(b-c\right))]이다. 또, [math(x_1)]과 [math(x_2)]가 [[서로소]]이므로 [math(x_2\mid\left(b-c\right))]이다. 그런데, [math(x_2=\frac{m}{d})]이므로, [math(\frac{m}{d}\mid\left(b-c\right))]이다. 따라서, [math(b\equiv c\pmod{\frac{m}{d}})]이다. }}} 1. [math(a\equiv b\pmod{m})]이고, [math(n)]이 [math(m)]의 [[약수(수학)|약수]]이면, [math(a\equiv b\pmod{n})]이다. {{{#!folding 증명 [math(a\equiv b\pmod{m})]이면 [math(m\mid\left(a-b\right))]이다. 또 [math(n\mid m)]이면, [math(n\mid\left(a-b\right))]이다. 따라서, [math(a\equiv b\pmod{n})]이다.}}} 1. [math(a\equiv b\pmod{m})]이고, [math(d>0)]이 [math(a,b,m)]의 [[공약수]]이면, [math(\frac{a}{d}\equiv\frac{b}{d}\pmod{\frac{m}{d}})]이다.[* 특히 합동식 풀이에서 흔히 하기 쉬운 실수중 하나가 여기서 유래되는데, [math(aux\equiv bu\pmod{mu})]를 [math(ax\equiv b\pmod{mu})]로 약분해버리는 것. 이런 실수가 일어나면 최대 [math(u-1)]개의 근이 증발한다.] {{{#!folding 증명 [math(a\equiv b\pmod{m})]이면 [math(m\mid\left(a-b\right))]이다. 또, [math(d)]가 [math(a,b,m)]의 [[공약수]]이므로 [math(a=dx_1,b=dx_2,m=dx_3)]를 만족하는 정수 [math(x_1,x_2,x_3)]가 존재한다. 또한, [math(dx_3\mid d\left(x_1-x_2\right))]이다. 그러므로, [math(x_3\mid\left(x_1-x_2\right))]이다. 그런데, [math(x_1=\frac{a}{d},x_2=\frac{b}{d},x_3=\frac{m}{d})]이므로, [math(\frac{m}{d}\mid\left(\frac{a}{d}-\frac{b}{d}\right))]이다. 따라서, [math(\frac{a}{d}\equiv\frac{b}{d}\pmod{\frac{m}{d}})]이다.}}} == 일차합동식 == === 일차합동식의 정의 === 일차합동식이란, 일차방정식과 비슷하게 미지수의 차수가 1인 합동식을 의미한다. 수식으로 간단하게 표현하면 [math(ax\equiv b\left(\text{mod}\,m\right))]인 형태인 모든 합동식이 일차합동식이다. 일차방정식에 해가 존재할 조건이 있듯이, 일차합동식에도 해가 존재할 조건이 있다. [math(d=\gcd\left(a,m\right))][* d가 a와 m의 최대공약수]라 했을 때, [math(d\nmid b)]이면[* b가 d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으면] 합동식은 정수해를 갖지 않고, [math(d\mid b)][* b가 d로 나누어 떨어지면]이면 법 [math(m)]에 대해 정확히 [math(d)]개의 서로 다른 해를 갖게된다. 해의 존재성에 대한 증명은 다음과 같다. || 1. [math(d\nmid b)]인데 해가 존재한다고 가정하자. 그럼 적당한 정수 [math(y)]에 대하여 [math(ax+my=b)]가 성립한다. 그런데 [math(d\mid ax+my=b)]이므로 [math(d\mid b)]이다. 이는 가정에 모순되므로 주어진 합동식의 해는 존재하지 않는다. 1. [math(ax+my=b)]의 한 해를 [math(x_0,y_0)]라 하면, 일반해는 [math(x_k=x_0+\frac{mk}{d},y_k=y_0-\frac{ak}{d})]의 꼴이다 (단 [math(k)]는 임의의 정수).[* [[디오판토스 방정식]] 참조] 여기서 [math(x_k)]가 합동식 [math(ax\equiv b\left(\text{mod}\,m\right))]을 만족시키는 모든 해이다. [[나눗셈 정리]]에 의해 [math(k=qd+r,\,\left(0\leq r 1)]). 그렇다면 [math(cn\,|\,(a - cd) \, \rightarrow cn\,|\,c(\frac{a}{c}-d) \, \rightarrow \, n \, | \, (\frac{a}{c}-d))] 다. 이게 성립하려면 [math(a)]는 [math(c)]의 배수여야하니, [math(a)]와 [math(m)]도 서로소가 아니다. 여기까지 우리가 증명한 건 "[math(b)]와 [math(m)]이 서로소가 아니라면, [math(a)]와 [math(m)]도 서로소가 아니다"인데, 이건 예제에 나오는 명제의 [[대우#s-4]]다. 따라서 예제의 명제 "[math(a)]와 [math(m)]이 서로소라면, [math(b)]와 [math(m)]역시 서로소다"도 참이다. }}} == 관련 문서 == * [[중국인의 나머지 정리]] * [[윌슨의 정리]] * [[페르마의 소정리]] * [[오일러 정리]] * [[2차 잉여]] * [[이산 로그]] * [[수학 관련 정보]] * [[정수론]] [[분류:한자어]][[분류:수학 용어]][[분류:정수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