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대한민국 합동참모차장, rd1=대한민국 합동참모차장)] ||<-4> 각 군 [[참모차장]] || || [[합동참모차장]] || [[육군참모차장]] || [[해군참모차장]] || [[공군참모차장]] || * 한자: 合同參謨次長 * 영어: Vice Chairman of the Joint Chiefs of Staff [목차] == 개요 == == [[대한민국 국군]] == === 역대 [[대한민국 합동참모차장]]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대한민국 합동참모차장)] == [[미군]] == [include(틀:미군의 합동참모본부 소속 대장)] [[미군]]은 합동참모차장([[https://en.wikipedia.org/wiki/Vice_Chairman_of_the_Joint_Chiefs_of_Staff|Vice Chairman of the]] [[http://www.wikiwand.com/en/Vice_Chairman_of_the_Joint_Chiefs_of_Staff|Joint Chiefs of Staff]])에도 [[대장(계급)|대장]] 계급의 [[장성급 장교|장성]]이 보임된다. [[미국 상원]]의 동의가 있어야만 임명될 수 있다. 얼핏 보면 별로 하는 것도 없는 명예직인 것처럼 보이지만, 미군 합참차장의 진짜 권한은 바로 ''''합동소요감독위원회(Joint Requirement Oversight Council)'의 위원장직을 겸하는 것'''인데, 이 직책은 미군의 '''차기 군 전력 소요 등을 파악하고 획득을 감독하는 직책'''으로서 ''''국방획득회의(Defense Acquisition Board)'의 상임위원직'''도 같이 겸직하는 전력소요계통의 '''[[요직]] 중에 요직이다.''' 이로 인해서, 합참차장 보직은 미군 내 기술통 또는 전략 무기나 국제 정치 전문가들 위주로 인선이 이루어지고 있다. [[미합중국 해병대|해병대]] [[보병]] 출신으로, '''합참차장을 거쳐 합참의장까지 영전한''' [[피터 페이스]] 해병 대장은 오히려 상당히 이례적인 사례이다.[* 페이스의 후임인 [[마이크 멀린]] [[제독]]의 러닝메이트였던 [[제임스 카트라이트]] 장군은 해병대 출신이기는 하나, 보병이 아닌 '''항공장교''' 출신이며 전략사령부에서 핵전쟁, 사이버전 임무를 관장했던 인물이다. 셀버 장군의 경우는, 수송 외에도 '''국제 정치 전문가 쪽으로 [[힐러리 클린턴]]을 위한 인사 조치다.''' 클린턴의 국무장관 재임기에 '''보좌관 노릇을 하며 자주 붙어다녔던 사람인지라''' 이로 인해 인사로 지명되었다.] 사실 미군도 약간은 [[육방부]] 기질이 있는지라,[* 단순히 육군이 쪽수가 제일 많다고 육방부라 하긴 좀 그렇다. 어느 나라를 막론하고 육군은 --만들기가 쉬워서-- 군사력의 기본이며 영국 같은 섬나라도 예외는 아니다(2020년 9월, 현재 영국의 [[국방참모총장]]이 육군 출신 닉 카터 장군이며 샌드허스트 [[영국육군사관학교]]도 다트머스 [[영국해군사관학교]]보다 먼저 생겼다. 다만 이는 해군의 교육 방식이 '''범선 시대 말기까지 수년간 말단 수병처럼 배에서 구름과 동시에 공부를 하며 시험을 통과해야 임관하는 방식이었기 때문에 사관학교라는 체계가 늦게 등장해서''' 그런 것도 있지만). 오히려 예산 규모로 따지자면 미군은 '''기술군인 [[미합중국 해군|해군]]과 [[미합중국 공군|공군]]이 많은 돈을 쓰는 데다가,''' 전략사령부 등 통합군사령부 상당수도 '''해군, 공군 출신의 인사들이 차지하고 있는지라 '해방부' 내지는 '공방부'이다.''' --[[외계인 고문]]을 통해 [[크고 아름다운]] 외계의 기술을 셀 수 없이 보유한 미군의 특성을 감안하자.--] 합참의장 중에는 육군 출신이 가장 많기는 한데[* 반절이 약간 안된다] 합참차장은 1987년에 취임한 초대인 공군 대장 [[로버트 헤레스]] 장군부터 11대인 공군 대장 [[존 하이튼]] 장군까지 11명 중에 공군이 5명, 해군이 4명이고, 해병대도 2명인데 '''육군 출신은 아직 없다.''' [[대한민국 합동참모차장]]은 합동참모본부의 [[참모장]] 역할을 수행하지만, 미군 합참에서의 참모장 역할은 '''수석본부장이 맡는다.''' [[소장(계급)|2성]]~[[중장|3성]] 장군, 제독들이 본부장을 맡는 본부들을 조정 및 중재하는 역할을 수석본부장이 하며, ''''수석본부장 보임 = 대장(진)' 인식이 강할 정도로''' 대부분의 수석본부장 역임자들은 대장으로의 진급에 성공했다. == [[자위대]] == [[중장]]에 상당하는 육/해/공장 계급의 간부가 임명된다. 2006년 3월 27일에 초대 통합막료부장([[https://ja.wikipedia.org/wiki/統合幕僚監部の人物一覧|統合]][[http://www.wikiwand.com/ja/統合幕僚監部の人物一覧|幕僚副長]])[* 통합막료부장의 전신인 통합막료회의사무국장([[https://ja.wikipedia.org/wiki/統合幕僚会議事務局長|統合幕僚会議]][[http://www.wikiwand.com/ja/統合幕僚会議事務局長|事務局長]])]인 가토(加藤 保) 해장이 취임했으며 8대인 [[마쓰무라 고로]](松村 五郎) 육장이 2013년 8월 22일부터 재직하고 있다. 마쓰무라 육장은 방위대학교 출신이 아닌 첫 통합막료부장이다.[* [[도쿄대학]]을 졸업했고 1981년 4월에 입대했다. 1982년에 임관해 방대 25기에 상당한다. 기갑 특기] 9명 중에 [[육자대]] 출신이 7명, [[해자대]] 출신이 3명, [[공자대]] 출신이 2명이다. == [[인민해방군]] == 부총참모장이 비슷한 역할을 맡는데 5명 정도 임명된다. 상장 2~3명에 중장 2~3명 수준. == [[중화민국군]] == [include(틀:역대 대만 부참모총장 집행관)] [[중화민국군]]에서는 [[상장(계급)|상장]]([[대장(계급)|대장]])계급으로 임명되는 부참모총장겸집행관([[https://zh.wikipedia.org/zh-tw/國防部參謀本部#.E6.AD.B7.E4.BB.BB.E5.89.AF.E5.8F.83.E8.AC.80.E7.B8.BD.E9.95.B7.E5.85.BC.E5.9F.B7.E8.A1.8C.E5.AE.98|副參謀總長]][[http://www.wikiwand.com/zh-tw/國防部參謀本部#/.E6.AD.B7.E4.BB.BB.E5.89.AF.E5.8F.83.E8.AC.80.E7.B8.BD.E9.95.B7.E5.85.BC.E5.9F.B7.E8.A1.8C.E5.AE.98|兼執行官]])과 [[중장]]계급으로 임명되는 2명의 부참모총장([[https://zh.wikipedia.org/zh-tw/國防部參謀本部|副參謀]][[http://www.wikiwand.com/zh-tw/國防部參謀本部|總長]])이 있다. == [[싱가포르군]] == == [[호주군]] == == [[영국군]] == 국방참모차장 (Vice Chief of Defense Staff) 이란 직책명으로 불리며, 대장급 장성이 임명된다. == 관련 문서 == * [[합동참모본부]] * [[합동참모의장]] * [[합참주임원사]] [[분류: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