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록밴드]] 등이 [[합주]]를 하는 장소.[* [[관현악단]]이 [[리허설]]를 하는 장소도 엄연히 합주실이라 할 수 있으나 대게는 [[강당]]에서 하기 마련이므로..] 보통 [[소음]]문제 때문에 대부분 [[지하]]에서 영업하며 비치된 [[앰프]] 등의 음향장비 및 [[악기]]의 퀄리티[* [[일렉트릭 기타]]와 [[베이스 기타]]는 직접 들고 다니면 되지만 [[드럼]]이나 [[신디사이저]]의 경우 들고다니기 벅차기 때문에 보통 악기가 비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물론 성능은 기대하면 안된다--], 넓이, [[방음]]·흡음, 냉·난방설비, 기타 편의시설(정수기, 화장실 등등) 수준 등에 비례하여 가격이 책정된다. --물론 비싼곳은 시간당 10만원 이상 나가기도 하는데,-- 보통 시간당 1~3만원 내외이지만 레코딩이 가능한 룸은 더 비싸기도 하다. 레코딩 페이도 추가로 받는다. 왜이리 비싸냐 싶기도 하지만 시설이 좋을 수록 에어컨 및 난방기는 물론 제습기, 온도계, 습도계, 공기정화기 등을 상시 비치하여 관리를 철저히 함은 물론이고 그 비싸디 비싼 정말 제대로 된 흡음/방음시설이 되어있다 == 합주실 이용 == 밴드 자체에서 합주실을 갖고 있다면 몰라도, 직장인 밴드나 [[학교]] [[스쿨 밴드]]의 경우는 합주실을 대여하여 사용하는 일이 불가피하다. 일반적으로 [[방음]]장치[* 편의상 방음이라고 하지만 흡음판넬만 한두겹 붙여놓아 방음효과는 고사하고 약간의 흡음효과만 보는 곳이 대부분. 하지만 최근에는 수준이 꽤 되는 합주실도 생겨나고 있다. --검은색 뽁뽁이 붙여놓고 방음장치라고 우기는 곳도 많다.--][* 참고로 정말 제대로 된 방음시설을 시공하려면 돈이 아무리 적어도 평당 백만원 이상 든다! 덧붙여 대기업 임원 회의실 수준의 방음시설이라면 평당 500만원 이상이다.]를 해놓은 방 안에 [[기타]] 앰프[* Marshall JCM2000이 가장 흔하다.] 두세대와 [[베이스]] 우퍼 앰프, [[드럼]]세트와 [[키보드]]를 비치해놓고 있으며, 멀티이펙터와 패치케이블에 믹서까지 있는 경우도 있다. 사용료를 받고 악기를 대여해주기도 한다. 사용시간이 끝나기 5분 전에는 정리를 시작하는 것이 다음에 사용할 사람들에 대한 예의이다. 고가의 장비를 다루는 곳인만큼 음식물을 갖고 들어가지 않는 것도 상식이다. == 여담 == 한달 이상 장기계약을 할 경우 어느정도 요금을 할인해주는 경우가 많다. 서울에서 가장 합주실이 많은 곳은 [[홍대입구역]], [[합정역]]을 중심으로 한 [[홍대거리]] 마포구 일대와 [[건국대학교]]가 위치한 [[건대거리]] 일대이다. 음악인 커뮤니티인 [[뮬(사이트)|뮬]]에서 홍대, 건대 키워드로 검색하면 지겹도록 나온다. 이외에도 각 대학교 앞에 최소한 하나씩은 있다. [[분류: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