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회원수정)] [include(틀:한국의 성씨)] [목차] == 解 == 우리나라 고대 성씨 중 하나. 백제 대성팔족 해씨의 후예로 추정된다. 한자 解는 음차어이며, 박씨와 함께 말 그대로 [[태양]]을 상징하는 몇 안되는 순우리말 성씨 중에 하나이다. 북부여와 고구려 건국신화에 나오는 [[해모수|해모수(解慕漱)]]를 시조로 하며, 부여의 왕성(王姓)이었다. [[해모수]]를 [[한국의 성씨#s-5|마찬가지로 조상으로 보는]] 고구려 왕성(王姓) [[횡성 고씨|고씨]]나 백제 왕성(王姓) [[부여 서씨|서씨]], [[의령 여씨|여씨]]는 그 후손이 현존하지만, 정작 해(解)씨는 2015년 통계청 조사 상으로는 겨우 9명만 있는 것으로 나온다. == 海 == 모든 서씨 시조 [[서신일]](徐神逸) 시제는 매년 11월 첫째주 토요일 오전 10시에 효양산 이천시 부발읍 산촌리 산21(경기 이천시 부발읍 산촌리 329)에서 거행된다. [[서필]] (徐弼)선생,[[서희]] (徐熙)선생 시제는 매년 11월 첫째주 토요일 오후 2시에 경기 여주시 산북면 후리에서 거행된다. [[이천서씨]]는 통일신라 아간대부 [[서신일]](徐神逸),내의령 [[서필]](徐弼),내사령 [[서희]](徐熙),문하시중 [[서눌]](徐訥) 좌복야 [[서유걸]](徐惟傑),평장사 [[서정]](徐靖),우복야 [[서균]](徐均) 판대부사 서린(徐嶙), 평장사 [[서공]](徐恭) 추밀원사 [[서순]](徐淳) 등 7대가 연속 재상이 되어 고려의 최고 문벌 귀족 가문으로 성장한다. [[고려]] 초기에 나라의 기틀의 튼튼히 한 [[서필]](徐弼)이다. 이어 손자 [[서희]](徐熙)와 증손자 [[서눌]](徐訥) [[서유걸]](徐惟傑) [[서유위]](徐惟偉) [[서주행]](徐周行), 고손자 [[서정(고려)|서정]](徐靖) [[서존]](徐存),[[서균(고려)|서균]](徐鈞) [[서린(고려)|서린]](徐璘), [[서원(고려)|서원]](徐元) [[서공(고려)|서공]](徐恭) [[서성(고려)|서성]](徐成) [[서순(고려)|서순]](徐淳),[[서숭조]],[[서희찬]],[[서능]](徐稜),[[서효손]],[[서신계]], [[서린(고려1)|서린]](徐鱗),[[서성윤]],[[서념]],[[서원경(고려)|서원경]],[[서충(고려)|서충]],[[서신(고려)|서신]],[[서윤(고려)|서윤]],[[서후상]],[[서윤현(고려)|서윤현]] 등이 15대를 이어 [[재상]]이 되었다. 대구달성서씨(大丘達城徐氏) 계보는 [[서신일]](徐神逸 아간대부 정2품.부총리 재상)-[[서필]](徐弼 내의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희]](徐熙 내사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주행]](徐周行 달성군)-[[서한(고려)|서한]](徐閈 군기소윤 종3품.차관)-[[서신(고려1)|서신]](徐愼 이부판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무질]](徐無疾 밀직사 종2품.부총리 재상)-[[서진(고려)|서진]](徐晉 판도판서 정3품.장관)-[[서기준(고려)|서기준]](徐奇俊 문하시중찬성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영(고려)|서영]](徐穎 문하시중찬성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균형]](徐鈞衡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 [[서익진]](徐益進 판전객시사 종2품.부총리 재상)-[[서침]](徐沈 조봉대부 정3품.장관) [[서의(고려3)|서의]](徐義 호조전서 정3품.장관) 이다 [[연산 서씨]] 계보는 [[서신일]](徐神逸 아간대부 정2품.부총리 재상)-[[서필]](徐弼 내의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희]](徐熙 내사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유걸]](徐惟傑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존]](徐存 병부상서 정3품. 장관)-[[서청습]](徐淸習 판전의시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효리]](徐孝理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찬]](徐贊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희팔]](徐希八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직]](徐稷 연성군)-[[서준영(고려)|서준영]](徐俊英 연성군)- [[서보(고려1)|서보]](徐寶 공조전서.정3품 .장관) 으로 이어진다. [[부여 서씨]] 계보는 [[온조왕]](溫祚王)-[[근초고왕]](近肖古王)-[[무령왕]](武寧王)-[[의자왕]](義慈王)-[[부여융]](扶餘隆)-[[서신일]](徐神逸 아간대부 정2품.부총리 재상)-[[서필]](徐弼 내의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희]](徐熙 내사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유걸]](徐惟傑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존]](徐存 병부상서 정3품. 장관)-[[서청습]](徐淸習 판전의시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효리]](徐孝理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찬]](徐贊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희팔]](徐希八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춘(고려)|서춘]](徐椿 판내부사사 정2품.부총리 재상) [[서박]](徐樸 봉례공) 으로 이어진다. 남양[[당성 서씨]] 계보는 [[서간]](徐趕 태사.남양군. 종1품. 국무총리 재상)-[[서신일]](徐神逸 아간대부 정2품.부총리 재상)-[[서필]](徐弼 내의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희]](徐熙 내사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유걸]](徐惟傑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존]](徐存 병부상서 정3품. 장관)-[[서청습]](徐淸習 판전의시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효리]](徐孝理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찬]](徐贊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희팔]](徐希八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적(고려)|서적]](徐迪남양군)으로 이어진다. [[서씨일가연합회]] [[https://band.us/@seosarang]] === 본관 === 본관은 [[김해시|김해]], [[영암군|영암]], [[함양군|함양]] 등 3개가 있다. 2000년도 인구 조사 당시 김해 149명, 영암 121명, 함양 48명 등 322명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에서는 김해 142명, 기타 4명 등 총 146명으로 대폭 줄었다. === 유래 === 1930년도 국세조사 당시에는 김해 6가구, [[진주시|진주]] 1가구, 본관 불명 1가구 등 총 8가구가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지역별 ● [[전라남도]] 목포부 호남정(현 [[목포시]] 호남동) - 김해 해씨 해종한(海宗漢) 1가구 ● 전라남도 [[영암군]] 도포면 수산리 - 김해 해씨 해춘수(海春洙), 해낙서(海洛瑞), 해경욱(海京旭) 3가구 ● 전라남도 나주군 반남면 하촌리(현 [[나주시]] 반남면 성계리) - 김해 해씨 해대례(海大禮), 해일순(海溢順) 2가구 ● 전라남도 영암군 덕진면 용산리 - 진주 해씨 해종수(海宗洙) 1가구 ●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면(현 영암읍) 농덕리 - 본관 불명 해학중(海學仲) 1가구 ※ 8가구 모두 전라남도에 거주하고 있었으며, 영암군에 김해 해씨 3가구, 진주 해씨 1가구, 본관 불명 1가구, 그리고 나주시에 김해 해씨 2가구, 목포시에 김해 해씨 1가구가 나타났다. 이중 전라남도 목포부 호남정(현 목포시 호남동)에 살던 해종한(海宗漢)씨는 해씨가 [[홍무제|명 태조]] 때 중국에서 이주해 온 귀화성[* 이와 관련하여 명나라의 유명한 청백리였던 [[해서(명나라)|해서]]가 있다.]이라고 전하였으며, 전라남도 영암군 덕진면 용산리에 살던 해종수(海宗洙)씨는 그 내력에 대해 당시로부터 약 50년 전[* 1880년경]에 경상남도 진주에서 이주해왔다고 증언했다. 한편, 김해 해씨 문중에서는 시조를 명나라 [[홍무제]] 때 이부상서(吏部尙書)를 지낸 해서필(海瑞必)로 삼고 있다. 해서필은 호가 양촌(陽村)으로 홍무제의 명을 받아 대도독(大都督)의 직분으로 우리나라에 들어온 뒤 [[조선]] 개국에 공을 세워 조선 [[태조(조선)|태조]]가 그의 공훈을 높이 사 김해부원군(金海府院君)에 책봉하였다고 한다.[* 해서필(海瑞必)이 조선에서 큰 공을 세워 봉군까지 될 정도였다면, [[조선왕조실록]]에서 그의 이름을 단 한 차례라도 논하지 않았을리가 없으며, 또 다른 것들은 차치하고서라도, 이부상서는 조선시대 [[이조판서]]에 해당하는 고위직으로서 명나라 초기에 이부상서를 지낼만큼 고위관료였다면 적어도 [[바이두 백과]][*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영어판 위키백과보다 훨씬 더 방대한 양을 자랑한다.]의 이부상서(吏部尚书) 항목에 언급되었을텐데, 바이두 자체에서 검색이 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그 신원이 불확실하므로 믿기는 어려운 정보이다.] 시조의 묘는 전라남도 영암군 미암면 채지리에 있다.[[http://www.surname.info/hae/gim_hae.html|#]] === 유명인 === 이 성씨를 가진 유명인으로 프로게이머 [[해성민]]·[[해성호]] 형제와 인천지방법원 부장판사 해덕진(海德珍, 1976. 2. 21 ~ )[* 제41회 [[사법시험]] 합격, [[사법연수원]] 31기 수료.], 전라남도 [[해남군]] 출신의 복싱 챔피언 해학기(海學基)[* 전라남도 [[목포시]] [[죽교동|죽교3동]]에 살았다고 한다.]가 있다. [[분류:성씨/한국]] [include(틀:포크됨2, title=해(성씨), d=2022-07-12 11:30: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