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국의 전근대 역사서)] 海東名將傳 [목차] == 개요 == [[조선]] 후기 문인이던 [[홍양호]](洪良浩, 1724년~1802년)가 [[1794년]]([[정조]] 18)에 저술한 역사서. [[삼국시대]] 부터 [[조선]] [[인조]] 시대 까지 활약한 장수들 중 홍양호가 판단하기에 뛰어난 활약을 한 장수들의 일대기를 모아 저술했다. 편찬 의도는 서문에서 드러나는데 [[임진왜란]]에 이어 [[병자호란]]으로 국가가 피폐해진 역사를 한탄하며 외침이 있던 것은 우리가 무(武)을 낮추고 문(文)만을 우대하기 때문으로 우리나라에 뛰어난 사람은 많지만 모두 이치와 학문을 따지는 이들 뿐이라고 비판하고 있다. 홍양호가 집필한 원본은 남아있지 않으며 가장 오래된 판본은 1816년에 간행된 본이다. 1911년 조선광문회(朝鮮光文會)에서 중간하였다. == 목록 == 특정 인물 아래에 붙어있는 목록의 경우 특정인물을 다루면서 함께 소개되는 인물들을 말한다. === 권 1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8.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a2d5b; color: white; font-size: .8em" 신라}}} [[김유신]](金庾信) : [[신라]]의 재상이자 군인. [[삼국통일전쟁]] 당시 [[신라]]군의 총 사령관으로 활약하며 [[신라]]의 통일을 이끌었다.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8.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a2d5b; color: white; font-size: .8em" 신라}}} [[장보고]](張保皐) : [[신라]]의 호족. [[완도]]에 [[청해진]]을 설치하고 한중일을 잇는 무역로를 관리하며 막대한 부와 권력을 쥐었다.[* 이런 명성 덕에 [[한국]], [[중국]], [[일본]]에 사당이 있는 유일한 한국사 인물이다.]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8.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a2d5b; color: white; font-size: .8em" 신라}}} [[정연(통일신라)|정연]](鄭年) : [[신라]]의 호족. 장보고와 함께 당나라 유학을 지냈으며 이후 [[달벌대전]]에 참전해 활약했다.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8.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a2d5b; color: white; font-size: .8em" 신라}}} [[침나]](沈那) : 신라의 장수. 백제군이 용맹하게 싸워 날아다니는 장수(飛將)[* 날 비(飛), 싸울 장(將)]라는 별칭으로 부르며 두려워 했다.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8.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a2d5b; color: white; font-size: .8em" 신라}}} [[소나(신라)|소나]](素那) : 침나의 아들로 [[말갈]]과의 싸움 당시 9시간 동안 홀로 수천명의 말갈군에 맞서 싸우다 전사했다.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00; color: yellow; font-size: .8em" 고구려}}} [[부분노]](扶芬奴) : [[고구려]]의 창업군주인 [[동명성왕]]의 측근으로 [[행인국]] 정벌과 [[선비족]] 토벌의 1등 공신이었다.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00; color: yellow; font-size: .8em" 고구려}}} [[을지문덕]](乙支文德) : [[고구려]]의 군인. 제 2차 [[고수전쟁]] 당시 [[고구려]]군의 총 사령관으로 [[살수대첩]]을 이끌었다.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00; color: yellow; font-size: .8em" 고구려}}} [[안시성주]](安市城主) : [[고구려]]의 군인. [[고당전쟁]] 당시 [[당태종]]의 친정군을 상대로 [[안시성 전투]]를 승리로 이끌었다.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8.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8080; color: yellow; font-size: .8em" 백제}}} [[흑치상지]](黑齒常之) : [[백제]]의 군인이자 호족. [[백제부흥운동]]을 이끌었고 백제부흥군의 몰락 이후에는 [[당나라|당]]에 귀화했다.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8.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edc89; color: #670000; font-size: .8em" 고려}}} [[유금필]](庾黔弼) : [[고려]]의 [[개국공신|삼한벽상공신]]. 단 한번도 패배하지 않은 명장으로 [[왕건]]이 위기에 빠질때마다 나타나 승리를 이끌었다.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8.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edc89; color: #670000; font-size: .8em" 고려}}} [[강감찬]](姜邯贊) : [[고려]]의 재상. [[제3차 여요전쟁]] 당시 고려군 총 지휘를 담당햇으며 [[귀주 대첩]]을 승리로 이끌었다.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8.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edc89; color: #670000; font-size: .8em" 고려}}} [[양규]](楊規) : [[고려]]의 문인이자 군인. [[제2차 여요전쟁]] 당시 서북면을 총괄하는 지휘관으로 [[요성종]]의 본대를 상대로 게릴라전을 펼쳤다.[* 이로 인해 고려의 개국공신([[개국공신|삼한벽상공신]])과 동급으로 인정 받아 함께 활약했던 [[김숙흥]]과 함께 [[개국공신|삼한후벽상공신]]을 제수 받아 다른 개국공신들과 함께 초상화가 걸리는 명예를 얻었다.]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8.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edc89; color: #670000; font-size: .8em" 고려}}} [[윤관]](尹瓘) : [[고려]]의 재상이자 군인. 여진의 지속적인 침입을 막기 위해 [[고려의 여진 정벌]]을 지휘를 이끌었으며 [[동북9성]] 축조를 담당했다. === 권 2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8.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edc89; color: #670000; font-size: .8em" 고려}}} [[오연총]](吳延寵) : 고려의 재상이자 군인. [[윤관]]과 더불어 [[고려의 여진 정벌]]에 참가해 [[동북9성]] 축조를 담당했다.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8.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edc89; color: #670000; font-size: .8em" 고려}}} [[김부식]](金富軾) : 고려의 재상. [[삼국사기]]의 편찬자로 유명한 인물이며, [[묘청의 난|고려 최대 규모의 내전]] 당시 정부군의 총 지휘관으로 난을 진압했다.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8.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edc89; color: #670000; font-size: .8em" 고려}}} [[조충(고려)|조충]](趙冲) : [[고려]]의 군인. [[거란 유민들의 고려 침공]] 당시 고려군 총 사령관으로 거란 유민의 침공을 막아 냈다.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8.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edc89; color: #670000; font-size: .8em" 고려}}} [[김취려]](金就礪) : [[고려]]의 군인. [[거란 유민들의 고려 침공]] 당시 조충과 함께 거란 유민의 침공을 막아냈다.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8.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edc89; color: #670000; font-size: .8em" 고려}}} [[박서]](朴犀) : [[고려]]의 군인. 제1차 [[여몽전쟁]] 당시 [[귀주성]]의 성주로 [[귀주성 전투]]를 진두 지휘하였다.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8.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edc89; color: #670000; font-size: .8em" 고려}}} [[송문주(고려)|송문주]](宋文胄) : : [[고려]]의 군인. 제1차 [[여몽전쟁]] 당시 [[박서]], [[김경손]]과 함께 [[귀주성 전투]]에 참여했으며 이후 제3차 여몽전쟁 [[죽주산성 전투]] 당시에도 몽골군을 상대로 승리를 거둔다.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8.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edc89; color: #670000; font-size: .8em" 고려}}} [[김경손]](金慶孫) : [[고려]]의 군인. 제1차 [[여몽전쟁]] 당시 정주 전투, [[귀주성 전투]]에서 맹활약 했으며 이후 [[이연년 형제의 난]]을 진압하기도 했다.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8.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edc89; color: #670000; font-size: .8em" 고려}}} [[이자성(고려)|이자성]](李子晟) : 고려의 군인. 1차 [[여몽전쟁]] 당시 [[동선역 전투]]의 승리를 이끌었으며 이후 이통의 난, 충주 관노의 난 등을 진압하기도 했다. === 권 3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8.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edc89; color: #670000; font-size: .8em" 고려}}} [[김방경]](金方慶) : [[고려]]의 군인. [[삼별초의 난]]을 성공적으로 진압했으며, [[여몽연합군의 일본 원정]] 당시 고려군 총 사령관으로 참전했다.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8.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edc89; color: #670000; font-size: .8em" 고려}}} [[한희유]](韓希愈) : [[고려]]의 군인. 시골의 병졸로 시작해 [[대장군]] 까지 오른 입지전적인 인물로 [[삼별초의 난]], [[카다안의 침입]] 당시 맹활약 했다.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8.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edc89; color: #670000; font-size: .8em" 고려}}} [[원충갑]](元冲甲) : [[고려]]의 군인. [[카다안의 침입]] 당시 소수의 병력으로 치악성 전투를 승리로 이끌며 고려를 구해낸 공로로 정계에 진출한다.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8.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edc89; color: #670000; font-size: .8em" 고려}}} [[안우]](安祐) : [[고려]]의 군인. [[홍건적의 침공]] 당시 고려군을 이끌며 홍건적을 물리쳤다. 참고로 아래 김득배와 이방실과 함께 묶인 이유는 셋다 정세운 암살 사건의 주범이기 때문.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8.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edc89; color: #670000; font-size: .8em" 고려}}} [[김득배]](金得培) : [[고려]]의 군인. [[홍건적의 침공]] 당시 고려군을 이끌며 홍건적을 물리쳤다.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8.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edc89; color: #670000; font-size: .8em" 고려}}} [[이방실]](李芳實) : [[고려]]의 군인. [[홍건적의 침공]] 당시 고려군을 이끌며 홍건적을 물리쳤다.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8.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edc89; color: #670000; font-size: .8em" 고려}}} [[정세운(고려)|정세운]](鄭世雲) : [[고려]]의 군인. [[홍건적의 침공]] 당시 고려군 총 사령관으로 분전했고 개경 공방전에서 승리를 이끌며 홍건적을 물리쳤다.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8.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edc89; color: #670000; font-size: .8em" 고려}}} [[안우경]](安遇慶) : [[고려]]의 군인. [[고려 말 왜구의 침입]], [[홍건적의 침공]], [[흥왕사의 변]]을 모두 겪은 인물.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8.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edc89; color: #670000; font-size: .8em" 고려}}} [[정지(고려)|정지]](鄭地) : [[고려]]의 군인. [[고려 말 왜구의 침입]] 당시 맹활약 했으며 훗날 [[위화도 회군|2차 요동 정벌군]]에도 참가했다. === 권 4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8.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edc89; color: #670000; font-size: .8em" 고려}}} [[최영]](崔瑩) : [[고려]]의 재상이자 군인. 혼란스러운 고려 말의 대부분 전투에 참여했고[* [[고려 말 왜구의 침입]], [[조일신]]의 난, [[위화도 회군|제2차 요동정벌]] 등 고려 말의 전쟁 기록에서 그의 이름을 빼놓을수가 없다.] 승리로 이끌었다.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8.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00d45; color: #f0ad73; font-size: .8em" 조선}}} [[이지란]](李之蘭) : [[조선]]의 군인. [[이성계]]를 따라 [[황산 대첩]] 등에서 맹활약 했으며 [[조선]] 건국에도 큰 역할을 맡았다.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8.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00d45; color: #f0ad73; font-size: .8em" 조선}}} [[최윤덕]](崔潤德) : [[조선]]의 군인. [[세종(조선)|세종]] 치하에서 여진 토벌군의 일원으로 참가, [[4군 6진]]을 개척하는 1등 공신이 된다.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8.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00d45; color: #f0ad73; font-size: .8em" 조선}}} [[이종생]](李從生) : [[조선]]의 군인. [[이시애의 난]] 당시 진압군 측에서 맹활약 했다.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8.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00d45; color: #f0ad73; font-size: .8em" 조선}}} [[어유소]](魚有沼) : [[조선]]의 군인. [[이시애의 난]] 당시 진압군 측에서 맹활약 했다.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8.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00d45; color: #f0ad73; font-size: .8em" 조선}}} [[이순신]](李舜臣) : [[조선]]의 군인. [[임진왜란]] / [[정유재란]] 당시 [[삼도수군통제사]]의 직책을 맡아 조선 수군을 이끌며 조선의 승리를 이끌었다.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8.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00d45; color: #f0ad73; font-size: .8em" 조선}}} [[권율]](權慄) : [[조선]]의 재상. [[임진왜란]] / [[정유재란]] 당시 [[웅치 전투]], [[이치 전투]], [[행주 대첩]]등을 이끌었으며 조선군 육군을 총괄하는 임무를 맡았다. === 권 5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8.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00d45; color: #f0ad73; font-size: .8em" 조선}}} [[곽재우]](郭再祐)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8.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00d45; color: #f0ad73; font-size: .8em" 조선}}} [[정문부]](鄭文孚)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8.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00d45; color: #f0ad73; font-size: .8em" 조선}}} [[황진]](黃進)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8.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00d45; color: #f0ad73; font-size: .8em" 조선}}} [[휴정(조선)|휴정]](休靜)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8.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00d45; color: #f0ad73; font-size: .8em" 조선}}} [[유정]](惟政)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8.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00d45; color: #f0ad73; font-size: .8em" 조선}}} [[영규]](靈圭)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8.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00d45; color: #f0ad73; font-size: .8em" 조선}}} [[정기룡]](鄭起龍)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8.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00d45; color: #f0ad73; font-size: .8em" 조선}}} [[김시민]](金時敏) === 권 6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8.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00d45; color: #f0ad73; font-size: .8em" 조선}}} [[이정암]](李廷馣) : [[조선]]의 재상. [[임진왜란]] 당시 의병들을 이끌고 [[연안성 전투]]를 승리로 이끌었다.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8.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00d45; color: #f0ad73; font-size: .8em" 조선}}} [[임중량]](林仲樑) : [[조선]]의 군인. 안주목사로 재임 중에 발발한 [[임진왜란]] 당시 [[고니시 유키나가]]를 상대로 승리하는 등 활약을 보였다.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8.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00d45; color: #f0ad73; font-size: .8em" 조선}}} [[김덕령]](金德齡) : [[조선]]의 군인. [[임진왜란]] 당시 맹활약 했다.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8.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00d45; color: #f0ad73; font-size: .8em" 조선}}} [[정충신]](鄭忠信) : [[조선]]의 재상이자 군인. [[이괄의 난]], [[정묘호란]], [[병자호란]] 당시 활약했으며 당시 조선 조정의 대북방전략을 담당한 인물이기도 했다.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8.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00d45; color: #f0ad73; font-size: .8em" 조선}}} [[김응하]](金應河) : [[조선]]의 군인. [[명청전쟁]]의 일부인 [[사르후 전투]]에 참가하여 전사했다.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8.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00d45; color: #f0ad73; font-size: .8em" 조선}}} [[김응해]](金應海) : [[조선]]의 군인. 김응하의 동생으로 [[병자호란]] 당시 정방산성 전투에 참가했다.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8.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00d45; color: #f0ad73; font-size: .8em" 조선}}} [[임경업]](林慶業) : [[조선]]의 군인. [[정묘호란]] 당시 백마산성을 지키며 청나라 군을 요격했다.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8.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00d45; color: #f0ad73; font-size: .8em" 조선}}} [[정봉수]](鄭鳳壽) : [[조선]]의 군인. [[임진왜란]] 당시 선전관으로 활약했으며 [[정묘호란]] 당시 용골산성 전투를 이끌었다.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8.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00d45; color: #f0ad73; font-size: .8em" 조선}}} [[유림]](柳琳)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8.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00d45; color: #f0ad73; font-size: .8em" 조선}}} [[유형]](柳珩) [[분류:조선의 도서]] [[분류:한국의 역사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