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탬파베이 레이스/로스터)] ---- ||
'''{{{#ffffff 해롤드 라미레스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00a3e0 [[마이애미 말린스|{{{#00a3e0 마이애미 말린스}}}]] 등번호 47번}}}''' || || 후안 니에베스[br](2016~2018) || {{{+1 →}}} || '''{{{#000000 해롤드 라미레스[br](2019~2020)}}}''' || {{{+1 →}}} || [[오스틴 프루이트]][br](2021) || ||<-5> '''{{{#ffffff [[클리블랜드 가디언스|{{{#ffffff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등번호 40번}}}''' || || [[바비 브래들리]][br](2019) || {{{+1 →}}} || '''해롤드 라미레스[br](2021)''' || {{{+1 →}}} || [[윌슨 라모스]][br](2021) || ||<-5> '''{{{#ffffff [[클리블랜드 가디언스|{{{#ffffff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등번호 10번}}}''' || || [[제이크 바우어스]][br](2019~2021) || {{{+1 →}}} || '''해롤드 라미레스[br](2021)''' || {{{+1 →}}} || [[브라이언 라바스티다]][br](2022) || ||<-5> '''{{{#ffffff [[탬파베이 레이스|{{{#ffffff 탬파베이 레이스}}}]] 등번호 43번}}}''' || || [[마이크 브로소]][br](2019~2021) || {{{+1 →}}} || '''{{{#092c5c 해롤드 라미레스[br](2022~)}}}''' || {{{+1 →}}} || [[현역#s-2]]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aroldRamirezRays.webp|width=100%]]}}} || ||<-2> '''탬파베이 레이스 No.43''' || ||<-2> '''{{{#092c5c {{{+2 해롤드 라미레스}}}[br] Harold Ramírez}}}''' || || '''본명''' ||아롤드 안드레스 라미레스 레무스[* 표기법상으로 스페인어의 경우 영미권 이름도 스페인어 발음대로 표기한다. 다만 실제로는 영미권 이름의 경우 영어 발음이나 영어 발음을 비슷하게 따라한 발음대로 부르는 경우가 많은 편.][br]Harold Andrés Ramírez Lemus || ||<|2> '''출생''' ||[[1994년]] [[9월 6일]] ([age(1994-09-06)]세) || ||[[볼리바르#s-2.1|볼리바르주]] [[카르타헤나(콜롬비아)|카르타헤나]]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콜롬비아)] || || '''신체''' ||178cm / 105kg || || '''포지션''' ||'''[[지명타자]]'''[* 외야 전 포지션을 소화할 수 있으나 수비력이 좋은 편은 아니며, 2022 시즌 이후로는 중견수로는 나오지 않고 있다. 대신 1루수 겸업을 시도했으나 이쪽도 성과가 그닥 좋지는 않았고, 결국 2023 시즌부터 지명타자로 나오는 빈도가 늘어나는 중이다.], [[외야수]], [[1루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2011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 ([[피츠버그 파이리츠|PIT]]) || || '''소속팀''' ||[[마이애미 말린스]] (2019~2020)[br][[클리블랜드 가디언스|클리블랜드 인디언스]] (2021) [br][[탬파베이 레이스]] (2022~) || || '''계약''' ||Arbitration / $2,200,000 || || '''연봉''' ||2023 / $2,200,000 || [목차] [clearfix] == 개요 == [[탬파베이 레이스]] 소속 [[우투우타]] [[외야수]]. == 선수 경력 == === 메이저 데뷔 이전 === 콜롬비아 카르타헤나 출신으로 2011년 7월에 [[피츠버그 파이리츠]]와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을 맺었다. 이듬해 피츠버그 루키리그 GCL 파이리츠를 시작으로 커리어를 시작했으며, 더블A에서 뛰던 2016년 8월 1일에 [[프란시스코 리리아노]], [[리즈 맥과이어]]와 함께 [[드류 허치슨]]의 반대급부로 [[토론토 블루제이스]]로 트레이드되었다. 그러나 트레이드 이후 부상으로 한 경기 출전에 그쳤고, 2017년에도 더블A에서 머물다가 시즌 종료 후 40인 로스터에서 제외되었다. 마이너로 계약이 이관되어 2018년에도 더블A에서 뛰었고, 트리플A 승격에 실패한 채 시즌 종료 후 마이너 FA 자격을 획득했다. 2018년 11월 26일, [[마이애미 말린스]]와 마이너 계약을 맺었으며 트리플A에서 시즌을 시작했다. === [[마이애미 말린스]] === 2019년 5월 11일, 40인 로스터에 포함됨과 함께 드디어 메이저 리그로 콜업되었다. 콜업 초반에 준수한 타격을 보여주면서 빠르게 빅리그에 자리잡았지만, 7월부터 페이스가 처지며 다소 애매한 성적을 기록하다가 시즌을 마무리했다. 그래도 끝내기 안타만 세 차례를 기록하는 등 나름대로 임팩트도 남겼다. 2019 시즌 성적은 119경기 타출장 .276/.312/.416 11홈런 50타점으로, 컨택은 준수했으나 18볼넷/91삼진이라는 볼삼비에서 보이듯 선구안은 과제로 남았다. 그러나 2020 시즌에는 자리를 잃으면서 단 3경기 11타석을 기록하는데 그쳤고, 2021년 2월 17일에 [[존 커티스]]가 영입되면서 [[DFA]]되었다. === [[클리블랜드 가디언스|클리블랜드 인디언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amirez.jpg|width=100%]]}}} || || '''{{{#ffffff 클리블랜드 시절의 라미레스}}}''' || 2021년 2월 24일, 웨이버 클레임을 통해 [[클리블랜드 가디언스|클리블랜드 인디언스]]로 이적했다. 개막 로스터에는 포함되지 않았다가 5월 3일에 콜업되었고, 우타 외야수 역할로 꾸준히 기회를 받았다. 시즌 중반에 햄스트링 부상으로 이탈한 시기를 제외하면 플래툰 및 로테이션을 돌면서 시즌을 완주했지만 그렇게 인상적인 활약은 아니었다. 2021 시즌 성적은 99경기 타출장 .268/.305/.398 7홈런 41타점 14볼넷/56삼진으로 마무리. 시즌 종료 후 [[DFA]]되었다. === [[탬파베이 레이스]] === ==== 2022 시즌 ==== 가디언스에서 DFA된 후 2021년 11월 22일에 [[시카고 컵스]]로 현금 트레이드되었다가, 직장폐쇄가 끝나고 스프링 트레이닝이 진행중이던 2022년 3월 25일에 [[에스테반 키로스]]와의 맞트레이드로 [[탬파베이 레이스]]로 이적했다. 레이스 이적 후에는 우타 1루수 플래툰 역할도 연습하고 있다. 시즌 초반에는 거의 타출장 3/3/3에 가까운 어정쩡한 성적에 1루 수비도 엉성해서 물음표를 남겼으나, 6월 중순부터 페이스를 쭉 끌어올리며 어느새 팀에서 가장 높은 타율을 기록하는 선수가 되었다. 8월 26일 기준으로 타출장 .330/.373/.448 5홈런 44타점에 wRC+는 141로 팀내 1위다. 여기에 1루 수비도 조금씩 늘고 있는데다 외야 전 포지션을 소화할 수 있는 유틸리티성이 더해지면서 야수진에서 없어서는 안될 존재로 자리잡는 중. 트레이드 당시만 하더라도 굳이 왜 데려왔는지 의아해하는 시선도 많았으나, 그러한 의문을 본인이 실력으로 전부 잠재우는 중이다. 다만 중간에 부상으로 한 달간 이탈한게 옥의 티로, 이로 인해 규정타석 진입도 사실상 물건너갔다. 그러나 9월 이후로는 타격 페이스가 떨어지면서 다시 이전의 성적으로 돌아가고 있다. 하필 시즌 막바지에 팀이 전반적으로 타격부진을 겪는 상황이라 더더욱 부진이 뼈아픈 상황. 정규시즌은 120경기 435타석 .300/.343/.404 6홈런 58타점으로 마무리했다. 그래도 9월 이후 부진을 겪은것 치고도 슬래시라인이 나쁘지 않아 커리어 하이를 갱신했으며, 올 시즌이 투고타저가 심해서 OPS+는 118로 준수한 편이다. 생애 첫 포스트시즌인 친정팀 [[클리블랜드 가디언스]]와의 와일드카드 시리즈에서는 2경기 9타수 1안타로 침묵했고, 팀도 빈공에 시달리다가 탈락했다. ==== 2023 시즌 ==== 2월 16일, 연봉 조정에서 승리해 220만 달러의 연봉을 받게 되었다. 시즌 초반이긴 하나 타격 페이스가 꽤 좋은 편이다. 주로 플래툰 지명타자로 뛰면서 간간이 코너 외야 백업을 보는데, 플래툰이라 표본이 풀타임 주전들에 비해 적긴 하지만 상당히 좋은 기세를 보이는 중. 4월 23일까지 17경기 64타석 .373/.422/.712 5홈런 10타점으로 규정타석은 채우지 못했지만 팀내 OPS 1위를 달리고 있다.[* 규정타석을 채운 선수 중에서는 [[얀디 디아스]]가 팀 내 1위.] 심지어 홈런 커리어하이가 2019년의 446타석 11홈런이던 선수가 60타석만에 5홈런을 때려내고 있는 점은 그저 놀라울 따름. 대신 지난 시즌에 시도했던 플래툰 1루수 멀티포지션은 [[이사크 파레데스]]가 빅리그에 완전히 정착하면서 [[얀디 디아스]]가 1루로 이동하게 되어 포기한 듯 하다. == 플레이 스타일 == == 연도별 기록 == ||<-19>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5]]]] {{{#FFFFFF '''해롤드 라미레스의 역대 MLB 기록'''}}} || ||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fWAR || bWAR || || 2019 ||<|2> [[마이애미 말린스|MIA]] || 119 || 446 || 116 || 20 || 3 || 11 || 54 || 50 || 2 || 18 || 91 || .276 || .312 || .416 || .728 || -0.2 || 0.1 || || 2020 || 3 || 11 || 2 || 0 || 0 || 0 || 2 || 1 || 0 || 1 || 2 || .200 || .273 || .200 || .473 || -0.1 || -0.1 || ||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fWAR || bWAR || || 2021 || [[클리블랜드 가디언스|CLE]] || 99 || 361 || 91 || 21 || 1 || 7 || 33 || 41 || 3 || 14 || 56 || .268 || .305 || .398 || .703 || 0.1 || 0.1 || ||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fWAR || bWAR || || 2022 ||<|2> [[탬파베이 레이스|TB]] || 120 || 435 || 121 || 24 || 0 || 6 || 46 || 58 || 3 || 19 || 72 || .300 || .343 || .404 || .747 || 1.2 || 1.2 || || 2023 || 122 || 434 || 125 || 19 || 2 || 12 || 58 || 68 || 5 || 22 || 79 || .313 || .353 || .460 || .813 || 1.8 || 2.1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br](5시즌)''' || 463 || 1687 || 455 || 84 || 6 || 36 || 193 || 218 || 13 || 74 || 300 || .289 || .329 || .418 || .748 || 2.8 || 3.4 || == 여담 == == 같이 보기 == * [[야구 관련 인물(MLB)]] [include(틀:탬파베이 레이스/로스터/상세)] [각주] [[분류:콜롬비아의 야구 선수]][[분류:1994년 출생]][[분류:2019년 데뷔]][[분류:카르타헤나(콜롬비아) 출신 인물]][[분류:우투우타]][[분류:외야수]][[분류:마이애미 말린스/은퇴, 이적]][[분류:클리블랜드 가디언스/은퇴, 이적]][[분류:탬파베이 레이스/현역]][[분류:콜롬비아의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분류: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