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L_Haeri_2023_Split_1.png|width=100%]]}}} || ||<-2> '''{{{+1 Haeri}}}''' || ||<-2> '''{{{#041536 해리 강 (Harry Kang | 강한별[* 한국식 이름])}}}''' || || '''출생''' ||[[2001년]] [[2월 2일]] ([age(2001-02-02)]세)||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호주)] || || '''포지션''' ||[[미드(리그 오브 레전드)|미드]] || || '''소속''' ||[[Gravitas| Gravitas]][br](2018.12 ~ 2019.12) [[ORDER(프로게임단)/리그 오브 레전드|ORDER]][br](2019.12 ~ 2020.11) [[Team Liquid Honda#s-5|TL Academy]][br](2020.12.02 ~ 2022.12.02) [[Team Liquid Honda]][br](2022.12.03 ~ 2023.07.08) [[Team Liquid Honda#s-5|TL Challengers]][br](2023.07.08 ~ 2023.11.27) || || '''에이전시''' ||[[서지 매니지먼트|[[파일:서지 매니지먼트 로고(블랙).svg|height=16&theme=light]][[파일:서지 매니지먼트 로고.svg|height=16&theme=dark]]]]|| ||<-2> [[https://twitch.tv/haeri2|[[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https://instagram.com/haerilol?igshid=MDM4ZDc5MmU=|[[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haeri_lol, 크기=20)] || [목차] [clearfix] == 개요 == [[호주]]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現 NACL의 [[Team Liquid Honda#s-5|Team Liquid Honda Challengers]] 소속 [[미드(리그 오브 레전드)|미드 라이너]]. == 플레이 스타일 == 2023년 팀의 코리안 소환사의 컵 듀오의 힘을 바탕으로 [[솔카|크게 지지 않는 ~~임선비식~~ 라인전 수행]][* 물론 저 수식어는 데뷔시즌 1라운드의 솔카에만 해당되고 이후 타 팀의 분석과 파악이 끝난 쿼드는 오히려 답이 없는 라인전, 좋은 교전 센스로 한때 경쟁자(...)였던 [[배호영|제트]]에 가깝게 변했다.]에는 일가견이 있지만, LCS 기준 게임 초중후반을 가리지 않는 절망적인 교전 수행능력에 발목을 잡히고 만 미드라이너이다. 위의 요약만 봤을 때는 언뜻 북미 암흑기 토종 미드를 대표하던 골든글루와 [[테너 다몬테|다몬테]]의 포텐 터지기 전 울화통만 터지던 유망주 시절이 떠오를텐데, '''사실 경기를 직접 보면 그 둘의 亡주 시절보다 경기력이 더 안 좋다.''' ~~[[채광진|피글렛]]과 [[김의진(프로게이머)|레인오버]]의 팬들이라면 도저히 믿을 수 없겠지만, 사실이다...~~ 우선 챔프폭이 다르고 환경이 다르다. 골든글루와 다몬테의 경우 한때 다몬테의 장인챔프인 키아나를 제외하면 흔히 말하는 손빨 많이 타는 메이지를 선호하는 편이었고, 좋은 메카닉의 반대급부로 LCS에서 로밍, 이니시, 순간 판단 등 다방면의 게임 지능이 부족하다는 비판을 데뷔 후 오랫동안 받다가 부분적으로 극복해낸 것이다. 게다가 이 둘이 한창 활동하던 시기는 10년대 후반~20년대 초반과 달리 프로씬의 라인전 진입장벽이 그리 높다고 평가받던 시기가 아니다. 둘 다 북미 기준으로는 2부를 흔히 말하는 압도적인 체급으로 씹어먹던 2군 여포 유망주였으나 당시 북미 2부와 북미 1부의 지나친 격차, 게다가 북미와 타 메이저 지역의 격차가 겹쳐 한국 팬들 입장에서는 존재감과 인지도가 0에 수렴했던 셈이다. 반면 해리는 화려한 마이너 리그 및 아카데미 리그 커리어에도 불구하고 당시에도 소위 캐리 옵션이 높은 선수가 아니었고, 챔프폭도 팀파이트형이라고는 하지만 날로 먹기 좋게 팀에 묻어가면서도 은근히 팀적 자원 빨아먹는 ~~고혈 빠는~~ 챔피언들 위주다. 이렇다 보니 그나마 본인의 능력들 중에는 LCS 기준 비교우위로 내세워야 하는 라인전조차도 피상적인 지표에 비해 능동적인 압박 능력은 전혀 없다고 봐도 좋고, 골든글루와 다몬테 시절 [[천룡인]] 급 북미 로컬 천덕꾸러기 선수들과 비교해도 대놓고 팀내 5옵션으로 짐을 대거 덜어줬는데도 남은 짐조차 짊어지지 못했다. 롤드컵 우승 정글러 표식과의 2인 시너지도 0에 수렴했고, 대규모 교전에서의 판단력은 그 0인 시너지보다 더 심각했다. 그래도 의사소통 문제까지 감수하고 챔프폭과 라인전 체급이 답이 없는 생짜 신인 [[에인 스턴스|APA]]를 기용해야 할 정도의 교전 역캐리 능력은 프로씬에서 워낙 비상식적이라 평가받다 보니 역으로 재능의 문제뿐만 아니라 멘탈 문제도 있는 것 아니냐는 옹호론은 존재한다. 이것 역시나 위의 골든글루, 다몬테의 신인 시절과 비슷하다. 다만 그 멘탈을 감안해도 1부 경험 전 2부 퍼포먼스와 경험 후 2부 퍼포먼스 모두 팔라폭스는 물론 골든글루, 다몬테보다도 더 떨어지는데다 [[루벤 바르보사|오랜 마이너, 하부 경력과 상대적으로 많은 나이]]까지 겹치다 보니 멘탈 문제를 극복한다는 가정법을 써도 LCS에서의 기대치는 그리 높게 잡기 힘든 편이다. == 선수 경력 == === 2023 시즌 === ==== LCS 서머 2023 ==== 7월 5일 로스터에서 제외되었다. 빈 자리는 아카데미에서 콜업한 APA가 대신하게 되었다. == 여담 == * [[한국계 호주인]]으로, 한국어를 매우 유창하게 구사할 수 있다. [[https://youtu.be/IaCXVeQhOK8|팀 공식 다큐멘터리]]에서 한국인 선수 및 코치진과 한국어로 아무런 장벽 없이 대화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 동갑내기 축구선수 [[이강인]]을 묘하게 닮았다. [[분류:2001년 출생]][[분류:호주의 프로게이머/리그 오브 레전드]][[분류:한국계 호주인]][[분류:진주 강씨]][[분류:시드니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