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알렉산더 해밀턴)] ||<-2>
[[디즈니+|[[파일:Disney+ 로고.svg|width=60]]]] [[디즈니+/오리지널 영화 목록|{{{#000 '''오리지널'''}}}]][br]'''{{{+1 해밀턴}}}''' (2020)[br]Hamilton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Hamilton Film Disney Plus.jpg|width=100%]]}}}|| || '''장르''' ||실존 인물, 역사, 뮤지컬|| || '''감독''' ||토마스 케일|| || '''각본''' ||[[린 마누엘 미란다]]|| || '''원작''' ||론 처노 - 《알렉산더 해밀턴》[br]린 마누엘 미란다 - 뮤지컬 《[[해밀턴(뮤지컬)|해밀턴]]》|| || '''제작''' ||토마스 케일[br][[린 마누엘 미란다]][br]제프리 셀러|| || '''주연''' ||[[다비드 디그스]][br]러네이 엘리스 골즈베리[br][[조나단 그로프]][br]크리스토퍼 잭슨[br]자스민 시퍼스 존스[br][[린 마누엘 미란다]][br]레슬리 오덤 주니어[br]오키에리에테 오나오도완[br][[앤서니 라모스]][br]필리파 수|| || '''촬영''' ||디틀랜 퀸|| || '''편집''' ||조나 모런|| || '''음악''' ||린 마누엘 미란다|| || '''미술''' ||데이빗 코린스|| || '''의상''' ||폴 타즈웰|| || '''촬영 기간''' ||[[2016년]] 6월|| || '''제작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월트 디즈니 픽처스]][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린 마누엘 미란다|5000 Broadway Productions]][br][[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0]]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0]] [[파일:영국 국기.svg|width=20]] 네비스 프로덕션[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올드320 시카모어 프로덕션[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래디컬미디어|| || '''배급사''' ||[[파일:세계 지도.svg|width=20]] [[디즈니+]]|| || '''공개일'''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2020년]] [[7월 3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1년]] [[11월 12일]]|| || '''화면비''' ||1.85 : 1|| || '''상영 시간''' ||160분|| || '''제작비''' ||$12,500,000|| || '''독점 스트리밍''' ||[[디즈니+|[[파일:Disney+ 로고.svg|width=70&theme=light]][[파일:Disney+ 로고 화이트.svg|width=70&theme=dark]]]] [[https://www.disneyplus.com/ko-kr/movies/hamilton/3uPmBHWlO6HJ|▶]] || || '''상영 등급''' ||'''[[15세 이용가|[[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height=30]] {{{#373a3c,#dddddd 15세 이상 관람가}}}]]'''|| [목차] [clearfix] == 개요 == 2020년 [[디즈니+]] 독점으로 공개된 [[대안콘텐츠|공연실황영화]]로 [[해밀턴(뮤지컬)|동명의 브로드웨이 뮤지컬]]의 오리지널 캐스트 공연을 촬영해 편집한 영화이다. == 공개 전 정보 == 2016년 [[공영방송서비스|PBS]]의 공연 관련 다큐멘터리 시리즈 Great Performances 팀은 뮤지컬 해밀턴 편을 제작하기로 했다.[[https://playbill.com/article/hamilton-will-be-filmed-mixtape-and-documentary-released-this-fall| ]] 이에 따라 컨텐츠 제작업체 RadicalMedia는 자료화면으로 쓰기 위해 해밀턴의 6월 26일 공연과 28일 공연을 촬영했다.[[https://playbill.com/article/hamilton-capturing-the-original-cast-on-film-this-week| ]] 이러한 오리지널 캐스트 공연 영상과 출연·제작진 인터뷰, 역사 해설 등을 엮어 탄생한 다큐멘터리는 [[https://www.pbs.org/wnet/gperf/hamiltons-america-documentary/5048/|Hamilton's America]]라는 제목으로 그 해 10월 방송되었다.[* 10월 21일 본방과 23일 재방을 합쳐 360만여 명이 시청했으며, 제28회 [[미국 제작자 조합]]상 논픽션 프로그램 부문에 노미네이트되는 등 좋은 반응을 얻었다.] 하지만 이 다큐멘터리에서 공연 실황 영상 전체가 공개된 것은 아니었다. 풀버젼은 언제 공개될지, 심지어 공개가 되기나 할지는 미지수로 남아있었다. 2020년 2월 3일. [[월트 디즈니 스튜디오|디즈니]], [[워너 브라더스]], [[20세기 스튜디오|20세기 폭스]], [[넷플릭스]] 등이 입찰 경쟁을 벌인 끝에 디즈니가 7천5백만 달러를 지불하고 [[https://deadline.com/2020/02/disney-paid-75-million-hamilton-movie-deal-lin-manuel-miranda-largest-film-acquisition-ever-1202849929/|공연실황 배급권을 확보했다.]] 2021년 10월 15일 극장 개봉하기로 결정되었다. 2020년 5월 12일,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극장 개봉을 취소하고 2020년 7월 3일 [[디즈니+]]에 독점 공개하는 것으로 [[https://twitter.com/disneyplus/status/1260182310512549888|변경되었다.]]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DSCKfXpAGHc)]}}}|| || '''예고편''' || ---- ||
<:>{{{#e5b94c '''"Alexander Hamilton" Clip''' }}} || [[https://youtu.be/hrGwCJQoeVo|#]] || ||
<:>{{{#e5b94c '''"The Room Where It Happens" Clip''' }}} || [[https://youtu.be/BQjGGrKRL8o|#]] || ||
<:>{{{#e5b94c '''Hamilton | Streaming Exclusively July 3''' }}} || [[https://youtu.be/5EI40a-Fc1k|#]] || ||
<:>{{{#e5b94c '''"Satisfied" Clip''' }}} || [[https://youtu.be/asfLNbrSPv4|#]] || ||
<:>{{{#e5b94c '''Hamilton | Streaming Tomorrow''' }}} || [[https://youtu.be/8g7InLT0mW0|#]] || ||
<:>{{{#e5b94c '''Cultural Phenomenon''' }}} || [[https://youtu.be/V2kysfBKm7E|#]] || ||
<:>{{{#e5b94c '''Hamilton | Now Streaming''' }}} || [[https://youtu.be/_SeXt9ow52I|#]] || ||
<:>{{{#e5b94c '''"The Room Where It Happens" Clip 2''' }}} || [[https://youtu.be/UMD14n4UOVQ|#]] || ||
<:>{{{#e5b94c '''"Satisfied" Clip 2''' }}} || [[https://youtu.be/KBd8MyNe2pw|#]] || ||
<:>{{{#e5b94c '''Featurette''' }}} || [[https://youtu.be/hLWlRPiwtfw|#]] || ||
<:>{{{#e5b94c '''"Alexander Hamilton" Official Clip 2''' }}} || [[https://youtu.be/CurgvjZ7hcM|#]] || == 시놉시스 == ||
브로드웨이 뮤지컬 《해밀턴》의 무대 공연을 영상에 담은 작품. 문화적 현상이라고 불리는 이 뮤지컬을 공연, 영화, 스트리밍의 장점만을 모아서 전세계 시청자에게 선보이는 이 작품은 짜릿한 일생일대의 경험을 안겨준다. 《해밀턴》은 현재의 미국이 들려주는 과거 미국의 이야기다. 힙합, 재즈, R&B, 브로드웨이 뮤지컬을 섞은 음악을 통해 미국 건국의 아버지 알렉산더 해밀턴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이 작품은 뮤지컬 공연 역사에 한 획을 그었으며 문화, 정치, 교육에 큰 영향을 끼쳤다. 2016년 6월 브로드웨이의 리처드 로저스 극장에서 촬영된 이 작품은 시청자를 뮤지컬의 세계로 데려간다. 린 마누엘 미란다가 대본, 작곡, 작사를 맡고 토머스 케일이 연출한 《해밀턴》은 론 처노가 쓴 알렉산더 해밀턴의 전기에 영감을 받았다. 토머스 케일, 린 마누엘 미란다, 제프리 셀러가 프로듀서를 맡았으며 샌더 제이컵스와 질 퍼먼이 총괄 프로듀서를 맡았다. 토니상, 그래미상, 올리비에상, 퓰리처상을 총 11회 수상한 뮤지컬 스타들이 총출동한다. 더비드 디그스가 드라파예트 후작 역과 토머스 제퍼슨 역을 맡았느며, 러네 엘리스 골즈베리가 앤젤리카 슈일러 역을, 조너선 그로프가 조지 왕 역을, 크리스코퍼 잭슨이 조지 워싱턴 역을, 재스민 세퍼스 존스가 페기 슈일러 역과 마리아 레이놀즈 역을, 린 마누엘 미란다가 알렉산더 해밀턴 역을, 레슬리 오덤 주니어가 에런 버 역을, 오키에리에테 오나오도완이 허큘리스 멀리건 역과 제임스 매디슨 역을, 앤서니 라모스가 존 로런스 역과 필립 해밀턴 역을, 그리고 필리파 수가 일라이자 해밀턴 역을 맡았다. || == 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해밀턴(뮤지컬), 문단=6)] * [[라파예트 후작 질베르 뒤 모티에|라파예트 후작]], [[토머스 제퍼슨]] - [[다비드 디그스]] * 앤젤리카 스카일러 - 러네이 엘리스 골즈베리 * [[조지 3세]] - [[조나단 그로프]] * [[조지 워싱턴]] - 크리스토퍼 잭슨 * 페기 스카일러, 마리아 레이놀즈 - 자스민 시퍼스 존스 * [[알렉산더 해밀턴]] - [[린 마누엘 미란다]] * [[에런 버]] - 레슬리 오덤 주니어 * 허큘리스 멀리건, [[제임스 매디슨]] - 오키에리에테 오나오도완 * 존 로런스, 필립 해밀턴 - [[앤서니 라모스]] * 일라이자 해밀턴 - 필리파 수 앙상블 및 단역 * 총알, 앙상블 - [[아리아나 드보즈]] * 필립 스카일러, 제임스 레이놀즈, 의사, 앙상블 - 시드니 제임스 하코트 * 새뮤얼 시버리, 앙상블 - 테인 재스퍼슨 * [[찰스 리]], 앙상블 - 존 루아 * 조지 이커, 앙상블 - 에브라임 사이크스 * 앙상블 - 칼리 베티올, 호브 이스터브룩, 사샤 허칭스, 엘리자베스 주드, 오스틴 스미스, 세스 스튜어트 == [[해밀턴(뮤지컬)#s-4|줄거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해밀턴(뮤지컬), 문단=4)] == [[해밀턴(뮤지컬)/넘버|넘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해밀턴(뮤지컬)/넘버)]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hamilton-2020, critic=90, user=7.6)]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hamilton_2020, tomato=98, popcorn=89)] [include(틀:평가/IMDb, code=tt8503618, user=8.4)]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hamilton-2020, user=4.2)]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253979, presse=없음, spectateurs=4.4)]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1345846, user=8.4)] [include(틀:평가/Filmarks, code=91365, user=4.3)]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267053, user=없음)]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34961898, user=9.5)] [include(틀:평가/왓챠, code=m5mY09m, user=4.3)]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82733, light=85.71)]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141597, expert=없음, user=6.8)] [include(틀:평가/MRQE, code=hamilton-m100131581, critic=없음, user=86)] [[제레미 잔스]]는 미국의 역사라는 소재에 힙합이라는 소재를 잘 사용했고 특히 알렉산더 해밀턴과 토마스 제퍼슨의 토론이 [[8 마일(영화)|8 마일]]의 랩 배틀을 연상하게 했다며 블루레이 소장가치 있음 등급을 줬다. == 흥행 == 해밀턴이 공개된 주에 디즈니+ 앱의 다운로드 횟수가 평균보다 74% 증가한 752,451회흘 기록했다.[[https://variety.com/2020/digital/news/hamilton-disney-plus-premiere-app-downloads-72-percent-1234698795/|#]] 공개되자마자 디즈니+ 시청률 1위를 기록했다.[* 일본을 제외한 디즈니+ 서비스 국가에서 모두 1위를 기록. 당시 일본 내수용 디즈니+의 시청률 1위가 무엇인지는 알 수 없다.] == 수상 및 후보 == * [[제73회 프라임타임 에미상]] 최우수 버라이어티 특집상(사전 녹화) 수상 * [[제78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 최우수 뮤지컬/코미디 영화상, 뮤지컬/코미디 남우주연상(린 마누엘 미란다) 후보 * [[제26회 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 ]] 최우수 TV영화상 수상 * [[제27회 미국 배우조합상]] (SAG) 리미티드 시리즈/TV 영화 남우상(다비드 디그스) 후보 * 제32회 미국 제작자조합상 (PGA) 최우수 TV영화상 수상 * 제73회 미국 감독조합상 (DGA) 최우수 리미티드 시리즈/TV영화 감독상 수상 [[디즈니+]]가 해밀턴을 각종 시상식에 출품하면서 해밀턴이 영화인지, TV 프로그램인지, 만약 후자라면 [[TV 영화]]인지 공연 실황 방송인지 논란이 있었다. [[디즈니+]]는 고민하기 귀찮았는지 모든 시상식에 무차별적으로 출품했으며, 그 결과 각기 시상식마다 다른 결정을 내렸다. > * [[아카데미상]] - 공연 실황 영상은 영화로 인정하지 않는다는 내부 규정에 따라 출품 반려. > * [[골든 글로브]], 새틀라이트 어워즈, 피플스 초이스 어워즈, 니켈로디언 키즈 초이스 어워즈 - 영화 부문 후보로 인정. > * [[에미상]], CAS, CDG - 예능 부문 후보로 인정. > * [[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크리틱스 초이스]], [[SAG-AFTRA|SAG]] [[미국 제작자 조합|PGA]], DGA, NAACP 이미지 어워즈, 골든 릴, ACE, HCA, MUAHS - [[TV 영화]] 부문 후보로 인정. 에미상에서 해밀턴은 12개 부문 노미네이트를 달성했으며, 최우수 예능 특집 프로그램상(사전 녹화)을 수상했다. 다만 출연진과 토머스 케일 감독은 미니시리즈·TV 영화 부문 연기상 및 감독상 후보에 이름을 올렸다. 에미상 측은 "10여 년 전에 예능인상이 폐지되면서 대신 정규 예능 출연진은 코미디 시리즈 부문, 특집 예능 출연진은 TV 영화 부문 연기상에 후보 지명될 수 있도록 규정이 바뀌었다"고 설명했다.[[https://www.hollywoodreporter.com/tv/tv-news/emmys-ongoing-dispute-about-whether-or-not-hamilton-performers-are-eligible-for-acting-noms-1234966958/| ]] 실제로 2018년 NBC가 생방송으로 방영한 [[지저스 크라이스트 수퍼스타]] 라이브 뮤지컬도 마찬가지로 미니시리즈·TV 영화 부문 연기상, 감독상에 노미네이트된 바 있다. 하지만 그 경우는 방송을 위해 진행한 공연이었고, 해밀턴은 방송을 목적으로 공연을 한 게 아니라 원래 잡혀 있던 공연을 단순히 녹화한 것이다. 물론 배우들은 자신들이 영상화를 목적으로 촬영되고 있다는 것을 알았고, 극히 일부지만 관객 없이 카메라만 보고 촬영한 씬도 있다. 그럼에도 이들이 방송을 위해 연기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는 것이냐는 의문을 표하는 여론이 있었다.[[https://www.latimes.com/entertainment-arts/tv/story/2021-07-13/emmys-2021-nominations-hamilton-lin-manuel-miranda| ]] 게다가 이 공연은 2016년 6월에 촬영된 것으로, 해밀턴 출연진과 토머스 케일은 바로 이 시즌에 한 공연들로 제70회 [[토니상]]에서 연기상, 감독상을 수상하거나 노미네이트 되었다. 일각에서는 이미 토니상에서 상찬받은 연기를 굳이 에미상에서 중복 노미네이트해서 진짜 TV 연기자들의 자리를 뺏는 것은 합리적이지 않다고 비판했다.[* TV 연기자에게 에미상 노미네이트 경력은 연극, 뮤지컬 연기자에게 토니상 노미네이트 경력만큼이나 중요한 문제로, 한 번 노미네이트되는 것만으로 몸값이 올라가고 차기작 흥행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골든글로브 시상식|골든 글로브]]는 해밀턴을 TV 영화로 인정한 것이 부적절하다는 지적을 수용해 다음 해 [[제79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부터 "공연 실황 영화는 출품을 불허한다"는 내규를 신설했다. == 여담 == * [[디즈니+]]는 해밀턴의 공개를 앞두고 무료 체험 기능을 삭제했다. * [[위어드 알 얀코빅]]이 영화의 영상과 립싱크된 폴카 패러디 동영상을 올렸다.[* 곡 자체는 2018년에 나왔다. 즉 영화보다 곡이 한참 먼저다. 때문에 영화에 맞춰 곡을 립싱크한 것이 아니다. 곡에 맞춰 영상의 재생속도를 높여 립싱크시켰다.] [youtube(oNEdEDbhTQw)] * 영화 공개후 해밀턴의 사운드트랙 앨범이 [[빌보드 200]] 2위를 달성했다. * 번역하기 굉장히 까다로운 작품으로 유명하다. 그래서인지 일본은 작품이 공개되고 1년을 훌쩍 넘긴 2021년 11월이 돼서야 자막이 등록됐다. 한국 디즈니+엔 2022년 3월에 자막이 등록됐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해밀턴(뮤지컬), version=144, paragraph=7)] [[분류:디즈니+ 오리지널]][[분류:월트 디즈니 픽처스]][[분류:2020년 영화]][[분류:뮤지컬 원작 영화]][[분류:미국의 뮤지컬 영화]][[분류:미국의 역사 영화]][[분류:실화 바탕 영화]][[분류:알렉산더 해밀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