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손]] ||
{{{#ffffff ''' ''anatomical snuffbox'' '''}}}[br]{{{#ffffff ''' ''(해부학코담배갑)'' '''}}} || || [[파일:해부학코담배갑프로필.jpg|width=100%]] || || 위 그림의 초록색 삼각형 부분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해부학코담배갑표면.jpg|width=100%]] || || 손등쪽 표면에서 보이는 해부학코담배갑 || 해부학코담배갑(anatomical snuffbox)은 엄지손가락을 쭉 폈을 때, 손목 가쪽(=엄지손가락 쪽)에 보이는 삼각형 모양의 오목한 홈이다. == 구조 == || [[파일:해부학코담배갑구조.png|width=100%]] || || 해부학코담배갑의 구조 || 해부학코담배갑은 다음과 같은 경계들에 의해 구별된다: * 가쪽 경계 - [[긴엄지벌림근]](abductor pollicis longus m.)과 [[짧은엄지폄근(손)|짧은엄지폄근]](extensor pollicis brevis m.)의 힘줄 * 안쪽 경계 - [[긴엄지폄근(손)|긴엄지폄근]](extensor pollicis longus m.)의 힘줄 * 몸쪽 경계 - [[노뼈]]의 붓돌기(radial styloid process) 해부학코담배갑 깊은쪽의 바닥을 이루는 것은 [[손배뼈]](scaphoid bone)와 [[큰마름뼈]](trapezium bone)이다. 해부학코담배갑의 먼쪽 꼭짓점인 꼭대기(apex) 쪽에는 첫째손허리뼈바닥(base of 1st metacarpal bone)이 위치하고 있다. === 지나가는 구조물 === [[노동맥]](radial a.), [[노쪽피부정맥]](cephalic v.), [[노신경]](radial n.) 등이 해부학코담배갑 안을 주행한다. 노동맥이 지나가므로 촉진을 통해 [[맥박]]을 느낄 수 있다. 이 혈관과 신경이 해부학코담배갑 안에서 주행하는 경로는 다음과 같다: * 노동맥: 해부학코담배갑 바닥면의 손배뼈와 큰마름뼈를 감아서 주행한다. 그 후 해부학코담배갑 꼭대기 쪽의 첫째 [[등쪽뼈사이근(손)|등쪽뼈사이근]] 두 갈래[* 한 갈래는 첫째 손허리뼈 안쪽면에서, 다른 한 갈래는 둘째 손허리뼈 가쪽면에서 일어난다.] 사이를 지나간다. * 노신경: 손에서는 감각신경으로만 작용한다. 노신경의 종말가지 중 하나인 얕은가지(supeficial branch)가 이 해부학코담배갑의 천장 쪽을 주행한다. * 노쪽피부정맥: [[아래팔노쪽피부정맥]](cephalic v. of forearm)이 해부학코담배갑 위쪽에서 형성된다. 이 정맥은 [[손등정맥그물]](dorsal venous network)에서 일어난 가지들의 문합에 의해 형성되며, 이후에는 아래팔 가쪽으로 주행하여 [[팔오금]] 쪽으로 환류한다. == 중요성 == 해부학코담배갑의 바닥을 이루는 뼈인 손배뼈는 노뼈 붓돌기와 손목관절(wrist joint)을 이루는 뼈 중 하나이다. 이 손배뼈는 [[손목뼈]]들 중에서 가장 [[골절]]이 일어나기 쉬운 뼈인데, 이 손배뼈 골절이 일어나면 해부학코담배갑을 눌렀을 때 바닥면에 골절이 일어나 있으므로 통증이 심하게 느껴질 수 있다. 그러므로 해부학코담배갑 촉진은 손배뼈 골절의 진단 도구로 이용될 수 있다. == 이름의 유래 == || [[파일:해부학적코담배 부위를 사용하는 광고.jpg|width=100%]] || 이름이 선뜻 와닿지 않는 해부학 구조물인데, 이 이름은 가루로 된 [[코담배]]를 평소엔 곽에 넣어 들고다니다가 손등에 올려놓고 흡입할 때, 이 오목한 해부학코담배갑 부위가 자주 이용되었기 때문에 붙여졌다고 한다. == 기타 == '해부학적 코담배갑(解剖学的嗅ぎタバコ入れ)'이라는 동명의 노래가 존재한다. [[https://www.nicovideo.jp/watch/sm35766635|니코동]] [[https://youtu.be/8r13vPgb9o8|유튜브]] [[https://blog.naver.com/phoyukoo129/221978167995|가사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