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미합중국 수송사령부)] ||<-2> {{{#white '''미합중국 군사해상수송사령부'''}}}[br]{{{#white ''U.S. Navy's Military Sealift Command'''[br]MSC}}} || ||<-2> [[파일:usnmsc_emblem(new).jpg|width=300]] || ||'''역사'''||1949년 7월 9일~현재|| ||'''국가'''||[[파일:미국 국기.svg|width=23]] [[미합중국]] || ||'''[[군종]]'''||[[파일:미합중국 해군 마크.svg|width=23]] [[미합중국 해군]] || ||'''소속'''||[[파일:usfltforcom_emblem 0.png|width=23]] [[함대전력사령부|미합중국 함대전력사령부]][br][[파일:ustranscom_emblem 0.png|width=23]] [[미합중국 수송사령부]] || ||'''본부'''||[[미국]] [[버지니아 주]] [[버지니아 비치-노퍽-뉴포트 뉴스|노퍽]] || ||'''사령관'''||마이클 A. 웨틀로퍼 [[미군/계급#s-4.2|소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해상수송사령부(Military Sealift Command)는 [[군수지원함]]을 운용하는 [[미합중국 해군]]의 주요 [[사령부]]이다. == 상세 == [[파일:msc-hq_norfolk 0.jpg|width=580]]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인 1949년에 4개 기관이 따로 관리하는 복잡한 [[미군]] 해운 체계를 하나로 통합하기 위한 해상수송부문(Military Sea Transportation Service) 명칭으로 창설되었으며, [[사령관]]으로는 [[해군]] [[소장(계급)|소장]], [[부사령관]]은 해군 [[준장]]이 보임된다. 총원 가운데 8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민간인]] 비율이 매우 높기 때문에 별도의 비군인 신분의 집행국장(Executive Director)을 둔다. 또한 이는 [[함대전력사령부|함대전력사령부(USFLTFORCOM)]] 산하인 동시에 [[통합전투사령부]]의 일부인 수송사령부(USTRANSCOM)의 지휘계통을 따른다. ==# 편제 #== * 제2해양사전배치선박전대 / Maritime Prepositioning Ships Squadron 2 * 제3해양사전배치선박전대 / Maritime Prepositioning Ships Squadron 3 * 대서양 군사해상수송사령부 / Military Sealift Command Atlantic * 태평양 군사해상수송사령부 / Military Sealift Command Pacific * 유럽-아프리카 군사해상수송사령부 / Military Sealift Command Europe and Africa * 중부 군사해상수송사령부 / Military Sealift Command Central * 바레인 군사해상수송사령부 선박지원대 / Military Sealift Command Ship Support Unit Bahrain * 극동 군사해상수송사령부 / Military Sealift Command Far East * 싱가포르 군사해상수송사령부 선박지원대 / Military Sealift Command Ship Support Unit Singapore * 요코하마 군사해상수송사령부 선박지원대 / Military Sealift Command Ship Support Unit Yokohama * 괌 군사해상수송사령부 선박지원대 / Military Sealift Command Ship Support Unit Guam * 사무실 및 대표부 / Offices and Representatives * 군사해상수송사령부 보몽 대표부 / Military Sealift Command Representative Beaumont * 군사해상수송사령부 찰스턴 대표부 / Military Sealift Command Representative Charleston * 군사해상수송사령부 서니 포인트 대표부 / Military Sealift Command Representative Sunny Point * 군사해상수송사령부 포트 캐너버럴 대표부 / Military Sealift Command Representative Port Canaveral * 군사해상수송사령부 잭슨빌 대표부 / Military Sealift Command Representative Jacksonville * 군사해상수송사령부 얼 대표부 / Military Sealift Command Representative Earle * 군사해상수송사령부 진주만 대표부 / Military Sealift Command Representative Pearl Harbor * 군사해상수송사령부 시애틀 대표부 / Military Sealift Command Representative Seattle * 군사해상수송사령부 디에고 가르시아 사무실 / Military Sealift Command Office Diego Garcia * 군사해상수송사령부 로타 사무실 / Military Sealift Command Office Rota * 군사해상수송사령부 수다 베이 사무실 / Military Sealift Command Office Souda Bay * 군사해상수송사령부 한국 사무실 / Military Sealift Command Office Korea * 군사해상수송사령부 오키나와 사무실 / Military Sealift Command Office Okinawa * 군사해상수송사령부 쿠웨이트 사무실 / Military Sealift Command Office Kuwait * 수송사령부 분견대, 군사해상수송사령부 / Detachment TRANSCOM, Military Sealift Command == 소속함 == [[파일:msc-colorband_t-ak-3016.jpg|width=580]] 민간 수주[* 선체분류기호(Hull classification symbol) T-가 접두어로 붙어있다.] 선박의 [[굴뚝]]에는 공통적으로 검은색-회색-바다색-금색 조합의 띠가 둘러져 있으므로 멀리서도 쉽게 식별할 수 있다. * N031 * 함대급유함(Fleet Replenishment Oiler): 선체분류기호 T-AO * N032 * 미사일추적함(Missile Range Instrumentation Ship): 선체분류기호 T-AGM * 항해시험지원함(Navigation Test Support Ship): 선체분류기호 T-AGS * 해양감시함(Ocean Surveillance Ship): 선체분류기호 T-AGOS * 해양측량함(Oceanographic Survey Ship): 선체분류기호 T-AGS * 해상X밴드레이더함(Sea-Based X-Band Radar): 선체분류기호 SBX * [[잠수함]]특수전지원함(Submarine and Special Warfare Support): 선체분류기호 T-AGSE * N033 * [[미합중국 공군|미 공군물자]]컨테이너함(Air Force Container Ship): 선체분류기호 T-AK * [[미합중국 육군|미 육군물자]]컨테이너함(Army Container Ship): 선체분류기호 T-AK * 건화물수송함(Dry Cargo Ship): 선체분류기호 T-AKE * 탄약보급함(Ammunition Ship): 선체분류기호 T-AKE * 개별화물수송함(Break-Bulk Ship): 선체분류기호 T-AK * 항공적재컨테이너함(Aviation Logistics Support Ship): 선체분류기호 T-AVR * 차량적재컨테이너함(Roll-On/Roll-Off Ship): 선체분류기호 T-AKR * [[미합중국 해병대|미 해병대]]차량적재컨테이너함(Marine Corps Container and Roll-On/Roll-Off Ship): 선체분류기호 T-AK/T-AKR * 양륙플랫폼함(Expeditionary Transfer Dock): 선체분류기호 T-ESD * N034 * 예인함(Fleet Ocean Tugs): 선체분류기호 T-ATF * 인양함(Rescue/Salvage Ships): 선체분류기호 T-ARS * [[잠수함]]보급함(Submarine Tender): 선체분류기호 AS * [[병원선|병원선(Hospital Ship)]]: 선체분류기호 [[머시급 병원선|T-AH]] * N035 * 건화물수송함(Dry Cargo Ship): 선체분류기호 T-AK * 차량적재컨테이너함(Roll-On/Roll-Off Ship): 선체분류기호 T-AKR * [[유조선|유조선(Tanker)]]: 선체분류기호 T-AOT * N036 * 건화물수송함(Dry Cargo Ship): 선체분류기호 T-AKE * 탄약보급함(Ammunition Ship): 선체분류기호 T-AKE * 고속전투보급함(Fast Combat Supply Ship): 선체분류기호 [[서플라이급|T-AOE]] * N037 * [[원정이동기지선|원정이동기지선(Expeditionary Mobile Base)]]: 선체분류기호 ESB * 상륙지휘함(Amphibious command ship): 선체분류기호 LCC * 케이블부설함(Cable layer): 선체분류기호 T-ARC * N038 * 원정고속수송함(Expeditionary Fast Transport): 선체분류기호 [[스피어헤드급|T-EPF]] == 출처 == [[http://www.msc.navy.mil/pm3/]] [[https://en.wikipedia.org/wiki/Military_Sealift_Command]] [[분류:미합중국 해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