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2XcQ2Sm.png|height=300]] 미완성 모형의 사진. [[찰스 배비지]]는 해석기관을 완성하지 못하고 [[1871년]] 세상을 뜨게 된다. [목차] == 개요 == {{{+1 [[解]][[析]][[機]][[關]] / analytical engine}}} [[영국]]의 [[수학자]] [[찰스 배비지]]가 고안한 [[기계식 계산기]]. 50자리 [[숫자]] 1000개를 저장할 수 있다. 입력은 [[천공 카드]]를 이용했다. == 상세 == [[파일:ba5b809f-af03-4245-bb2e-b5cec4735f27-1020x721.jpg]] 완성된 해석기관을 상상한 삽화. [[CPU]]와 [[메모리]]의 기능을 기계적으로 구현하다보니 극초기 컴퓨터인 [[에니악]]처럼 크기가 매우 거대하다. 동력은 [[증기기관]]이며, [[톱니바퀴]]와 [[기어]]를 움직여서 [[계산]]을 수행한다. 보통 톱니바퀴 [[계산기]]는 [[손]]으로 [[핸들]]을 움직여서 계산하는데 이 물건은 너무 톱니바퀴가 많기 때문에 사람의 힘으로는 움직일 수가 없어서 증기기관을 동력으로 쓰는 것이다. 하위 버전인 [[차분기관]]은 [[다항식]]을 계산해서 [[로그]]값을 [[계산]]하는 용도로 설계했는데 해석기관은 설계를 더 일반화시켜서 범용적인 계산을 가능하게 했다. 차분기관과 마찬가지로 '''[[니트로 박사|시간과 예산이 부족하여]]''' 결국 완성을 보지 못했다.[* 예산의 부족과 함께 배비지가 살던 당대의 생산기술 수준으로는 부품 제작이 불가능했다는 주장도 있었다. 하지만 [[차분기관]]을 당대 기술만을 동원해 제작한 부품으로 재현하는 게 가능했기 때문에 이 주장은 현재 힘이 빠진 상황이다.] 그러나 [[에이다 러브레이스 백작부인]]은 당대에 실존하지도 못한 이 [[컴퓨터]]로 [[프로그래밍]]을 하는 천재성을 보였다. 지금도 [[양자컴퓨터]]의 알고리즘은 하드웨어가 나오기 전부터 만들어지고 있는 것과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일단은 [[튜링 기계]]의 조건을 충족하는 [[기계]]이기 때문에 현대의 [[컴퓨터]]가 할 수 있는 일은 해석기관도 전부 가능하다. == 기타 == 해석기관은 [[현대]]에 이르기까지 제작된 적은 없다. 해석기관의 바로 직전 모델이랄 수 있는 [[차분기관]] No.2가 [[1991년]] [[런던]] 과학박물관에서 [[19세기]] 당시의 기술로 제작되어 제작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인 바 있다. [[2010년]] [[영국]]의 John Graham-Cumming이 [[http://www.plan28.org/|해석기관 제작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일단 버추얼 머신을 만들어서 검증한 뒤 실기를 제작하자는 계획인데 공공모금으로 진행되는 만큼 실현될 때까지는 많은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이쪽은 그래도 아래와는 달리 2023년 3월까지도 내용이 올라오고 있는 상태. 영국과 별도로 [[미국]]에서는 한 [[벤처기업]]이 해석기관을 제작하기 위해, [[2014년]]부터 투자자를 모집한다고 한 적이 있다. 그 이후로 미국 스타트업 업계에서 소문이 끊긴 걸 보면 투자자가 없어서 프로젝트가 무산된 듯 하다. 투자 사기라고 했으면 사기라고 기사가 났을텐데 그런건 없었으니. 자매품으로 [[독일인]] 뮬러가 제작한 [[미분기관]]이 있다. [[스팀펑크]] 장르에서는 현대식 컴퓨터를 대신해 기계식 컴퓨터로 자주 등장한다. == 관련 문서 == * [[차분기관]] [[분류:컴퓨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