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시적 넘겨주기, other1= 2023년 5월 13일 잠적한 국악인 출신 트로트 가수, rd1=해수(가수))] [목차] == 일반 단어 == === [[바닷물|해수]]([[海]][[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바닷물)] [[바닷물]]의 [[한자어]]이다. 반의어는 담수(淡水), [[민물]]이다. === 해수([[害]][[獸]]), 해로운 짐승 === [[호랑이]], [[멧돼지]] 등 '''인간의 기준으로''' 해를 끼치는 동물. 주로 사람을 공격하는 맹수류가 포함된다. 1. 일부 지역에 서식밀도가 너무 높아 농ㆍ림ㆍ수산업에 피해를 주는 꿩, 멧비둘기, 고라니, 멧돼지, 청설모, 두더지, 쥐류 및 오리류(오리류 중 원앙, 원앙사촌, 황오리, 알락쇠오리, 호사비오리, 뿔쇠오리, 붉은가슴흰죽지는 제외한다) 1. 비행장 주변에 출현하여 항공기 또는 특수건조물에 피해를 주거나, 군 작전에 지장을 주는 조수류(멸종위기 야생동물은 제외한다) 인가 주변에 출현하여 인명ㆍ가축에 위해를 주거나 위해 발생의 우려가 있는 멧돼지 및 맹수류(멸종위기 야생동물은 제외한다) * 참조항목 : [[해수구제사업]] === 해수([[海]][[獣]]), 바다포유류 === == 특수 용어 == === 해수([[海]][[獣]]), [[벌레공주님 후타리]]의 생물 === [[벌레공주님 후타리]]의 적 생물. 유사 개념으로 [[공수]](恐獣)도 있다. == 인물 == [[한국사]]에서는 두 사람이 존재하는데 모두 [[백제/인물|백제 사람]]이다. === 해수([[解]][[須]]), [[전지왕]]대의 대신 === [include(틀:역대 백제 상좌평)] 생몰년 미상. [[백제]] [[전지왕]]대의 대신. [[대성팔족]]중 일원인 해씨가문 출신으로 전지왕의 외척이다. 전지왕 3년이던 407년에 당시 왜(倭)에서 돌아온 전지왕의 즉위에 있어서 해씨가문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던 것으로 보여졌고[* [[해충#s-3|해충(解忠)]]의 경우에도 보여지듯이 왕위를 강탈하는 반역이 벌어지며 긴박했던 국가 내부 상황에서도 잘 대처해 전지왕이 오를수 있게 도와주었다.] 이에 대한 보상차원에서 벼슬을 내린 것으로 보여진다. 이후 [[비유왕]] 3년째인 429년 10월에 [[상좌평]] 부여신(扶餘信)이 죽자 그 뒤를 이어 상좌평에 올랐다. === 해수([[解]][[讎]]), [[무왕(백제)|무왕]]대의 좌평/장군 === 생몰년 미상. [[백제]] [[대성팔족]] 중 하나인 해씨(解氏). 602년에 신라가 백제의 서쪽 국경을 침공하자 이를 방어하기 위해 무왕은 좌평인 해수에게 보기 4만명의 [[아막성 전투|병력을 주어 막게 하였다.]] 해수는 이들 병력을 이끌고 신라의 소타(小陀), 외석(畏石), 천산(泉山), 옹잠(甕岑) 4개성을 공략했으나 신라 장군 건품(乾品)과 무은(武殷)이 군대를 이끌고 저지를 했고 시간이 흐를수록 백제군이 불리해지자 해수는 군대를 천산 서쪽의 큰 연못 한가운데로 후퇴시킨후 복병을 배치시킨채 신라군을 기다렸다. 이때 신라군의 장수 무은이 중무장한 보병 1천을 이끌고 큰 연못까지 쫒아왔고 이때 숨겨둔 복병을 동원해 신라군을 공격하니 무은이 말에서 떨어졌다. 이를 지키기 위해 무은의 아들 귀산(貴山)과 소장(小將)인 추항(箒項)이 격렬히 [[황산벌 전투|싸우다 전사하자 이를 본 신라군이 분노해 백제군을 쓸어버렸고]] 해수는 겨우 목숨만 살아 홀로 돌아왔다고 한다. === [[해수(가수)|해수]](海秀), 한국의 [[트로트]] [[가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해수(가수))] === 드라마 [[달의 연인 - 보보경심 려]]의 주인공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해수(달의 연인 - 보보경심 려))] [[분류:동음이의어]][[분류:백제의 인물]][[분류:한자어]]